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전투면역 세포 백혈구의 재발견, 뉴트로필 리턴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그레텔 전략’입니다. 지난해 9월 김민수 미국 로체스터대 교수팀이 ‘사이언스’에 발표한 내용입니다. 헨젤과 그레텔이 빵가루를 흘려 지나온 길을 표시하듯, 저희도 침입자를 공격하러 출동하는 길에 ‘CXCL12’라는 화학물질로 흔적을 남깁니다. T 세포가 바로 CXCL12를 뒤따라 침입자가 있는 곳을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표준모형을 현재의 모습으로 써내려간 이론물리학자는 스티븐 와인버그다. 그는 1967년 발표한 논문에서 ‘아이소스핀’과 ‘하이퍼전하량’이라고 부르는 핵자의 양자수(입자의 특성)가 결합한 뒤 결국 낮은 에너지에서 전자기력과 약력으로 분화한다는 놀라운 구조를 밝혀냈다. 그가 이 과정에 ... ...
- [Tech & Fun]추운겨울, 물 없이 씻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미국 국립알러지감염성질환연구소 야스민 벨카이드 박사팀이 2015년 ‘네이처’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병원성 외부물질이 피부 표면에 닿자 표피포도상구균이 세포독성 T 세포(TC 세포)를 유도해 선천성 면역 보호 작용을 강화했습니다. 이런 이유로 상재균까지 모두 다 제거하는 워터프리 ... ...
- [Tech & Fun]누가 이 고요한 마음에 다시 불을 지피는가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있으며, 이런 정책들이 흡연자에게 금연에 대한 반발과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이 30개의 논문을 분석해 보니, 흡연자 중 30~40%가 가정과 사회의 부정적 시선을 민감하게 느끼며, 27%는 자신이 흡연자라는 것 때문에 차별받는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또 이것이 스트레스로 ... ...
- [가상 인터뷰]킬리피시가 빨리 죽는 건 유전자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킬리피시▶발렌자노 교수팀은 킬리피시의 수명이 짧은 이유를 유전자에서 찾았다고 발표했어요.연구팀은 먼저 킬리피시가 진화하는 과정에서 종족을 이어가는 데 유리한 방향으로 변화시킨 유전자를 알아냈어요. 이 결과를 유난히 수명이 긴 브랜트박쥐, 북극고래, 벌거숭이두더지쥐의 유전자에 ... ...
- [지식]SHERLOCK열혈 팬, 천재 수학자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가상의 인물인 모리아티에 대한 궁금증은 점점 커졌고,이 사람에 대한 연구 결과도 속속 발표됐다.악당 모리아티의 어린시절은?아서 코난 도일은 제임스 모리아티의 정체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는 글을 쓰지 않았다. 독자들은 소설 속 인물들의 대화에서 실마리를 얻어 모리아티의 출생, 성장 배경 ... ...
- [재미]동아리 탐방-인천 가좌고 ‘PAPER’ 딱딱한 통념을 접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장혜원, 조민지 학생은 가을에 열릴 학술제를 위해 작은 동아리를 결성했다. 학술제에서 발표할 연구주제로 뭐라도 떠올려야 하는 상황에서 찾은 건 ‘브리트니 갤리번의 종이접기 공식’. 장혜원 학생은 ‘접는 방법을 바꾸면 갤리번보다 더 접을 수 있지 않을까 추측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 ...
- [News & Issue]정직한 나라, 실험해 봤더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정직함’을 실험으로 측정할 수 있다면 전 세계에서 가장 정직한 나라는 어디일까. 영국 이스트앵글리아대 데이비드 휴-존스 교수팀은 국가별로 사람들의 정직함을 알아보 ... 통해 알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2015년 11월 16일 열린 ‘런던실험워크숍 2015’에서 발표됐다 ... ...
- [News & Issue]초신성의 새로운 폭발 원리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폭발한 제1a형 초신성을 세계 최초로 관측해 ‘천체물리학저널증보’ 2015년 11월 20일자에 발표했다.제1a형 초신성은 쌍으로 이뤄진 별 중 하나가 나머지 별(동반성)의 물질을 받아 폭발하는 초신성으로, 백색왜성과 적색거성의 상호작용에 의해 폭발한다는 것이 기존의 가설이었다.연구팀은 호주의 ... ...
- [News & Issue]사회성의 천재, 붉은털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원숭이와 인간이 93%의 유전자를 공유하고 있다”고 ‘사이언스’ 2015년 4월 13일자에 발표했다. 때문에 붉은털원숭이는 본의 아니게 인간을 대신해 무수히 많은 실험의 대상이 돼야 했다. 생명과학 실험은 물론 심리학, 사회학 실험까지 도맡아 했다. 인간을 위해 희생된 원숭이를 생각하며 ... ...
이전3883893903913923933943953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