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3D 프린터로 만든 제품, 독성 주의!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modeling) 방식으로 제작한 물건에서 독성이 검출됐다고 ‘환경 과학과 기술’ 11월 4일자에
발표
했다.빛을 받으면 고체로 변하는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해 원하는 부분만 고체로 만드는 STL 방식과 재료를 녹여서 쌓는 FDM 방식은 3D 프린팅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기술이다. 연구진은 두 기술의 독성을 ... ...
포스가 깨어났다, 과학으로 영접하라!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자유자재로 조종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0월 27일자에
발표
했다.연구팀은 음파가 공기를 진동시키는 힘을 이용했다. 지름이 1cm인 초음파 확성기 64개를 제작해 다양한 방식으로 배열했다. 그리고 40kHz의 초음파를 발생시킨 뒤 각 스피커의 위치와 소리를 조정하는 ... ...
양자역학과 수학을 연결하는 다리, π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위한 수입니다. 양자수가 점점 커질수록 결과가 1655년 영국의 수학자 존 왈리스가
발표
한 π의 공식에 가까워지고, 마침내 그 공식과 일치하게 됐습니다.프리드먼 교수는 “π와 양자역학이 연결돼 있다는 사실이 아름답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학술지‘수리물리학’ 11월호에 실렸습니다 ... ...
바이러스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라이둔 트바로크는 2004년 바이러스 기하학에 대한 좀 더 일반적인 이론을
발표
했다.트바로크는 두 가지 이상의 모양으로 이뤄진 바이러스 구조를 제안했다. 마치 구면으로 된 바이러스 캡시드를 단백질 타일로 맞추는 것과 같다고 해서 ‘바이러스 타일링’이라고 부른다. 이 이론은 ‘펜로즈 ... ...
[지식] 천재 수학자의 유산 라마누잔의 노트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영국의 수학자 왓슨의 자료를 보던 중에 또 다른 라마누잔의 노트를 발견했다. 이전까지
발표
되지 않았던 라마누잔의 연구 결과물이었다. 뒤늦게 알려져서 사람들은 ‘라마누잔의 잃어버린 노트’라고 부른다.고등과학원에서 정수론을 연구하는 최윤서 교수를 통해 미국의 수학자 조지 앤드류스가 ... ...
자작곡 어렵지 않아요! 음악 만드는 소프트웨어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예일대 컴퓨터과학과 도냐 퀵 박사는 ‘쿨리타’라는 인공지능 작곡프로그램을 개발해
발표
했다. 쿨리타는 기존의 악보를 이용해 음악적 요소를 분석한 뒤 음계를 조합해 새로운 음악을 만든다.퀵 박사는 음악적 소양이 있는 100명에게 쿨리타가 만든 곡과 사람이 만든 곡을 섞어 들려준 뒤 어느 ... ...
모기를 수컷으로 만드는 유전자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답니다.너희를 모두 수컷으로 만들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
됐다며?맞아요. 앞에서 얘기했듯이 우리 이집트 숲모기는 산란기의 암컷 모기만 사람들의 피를 먹고 살아요. 그러면서 황열과 뎅기열을 옮기죠. 그래서 사람들은 암컷 모기만 없앤다면 병에 걸린 사람들이 ... ...
Part1. 기나 긴 폭력의 역사, 하지만 본성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죽음으로까지 이어진, 그러니까 살인의 흔적은 흔하지 않다. 그런 의미에서 올해 5월
발표
된 스페인 연구팀의 연구 결과는 의미심장하다. 스페인 살루드카를로스3세연구소 진화 인간행동통합센터 노헤미 살라 연구원은 스페인 아타푸에르카에서 발견된 43만 년 전 호모 속 인류 두개골을 연구했다. ... ...
나는 드론 위에 막는 안티드론 기술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분야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시범사업에 참여할 15개 사업자와 사업 대상 지역 4곳을
발표
했다. 선정된 지역은 부산(중동 청사포)과 대구(달성군 구지면), 강원 영월(덕포리)과 전남 고흥(고소리) 등 4곳. 앞으로 이곳에서는 드론으로 야간 비행과 무인 자동 비행을 시험할 수 있다. 또 충돌 시 받는 ... ...
[Knowledge]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결과가 28% 가량 더 정확했다.해양동물 추적연구는 지난해에만 약 140건의 연구 성과가
발표
되는 등 최근 들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동물추적연구 분야에서 아직 걸음마 단계다. 철새추적연구도 AI가 아니었다면 하기 어려웠을 정도다. 경제적인 이윤이나 사람의 생명과 직결되는 ... ...
이전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