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스페셜
"
시작
"(으)로 총 4,79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유행병학자 레너드 컬랜드는 1953년 괌 현지에서 리티코-보딕의 원인을 규명하는 연구를
시작
했다. 그는 1960년대 소철 씨 분말인 파당을 원인으로 지목했지만 인정을 받지 못한 채 2001년 작고했다. - 메이요클리닉 제공 2006년 ‘사이언스’ 기사에는 박쥐 가설을 내놓은 폴 콕스가 50년 가까이 리티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모르는 걸 모른다고 말하자
2018.09.15
나니 마음이 진정이 되고 비로소 ‘내가 할 수 있는 것. 해야할 일’이 보이기
시작
했다. 모르는 게 있으면 언제든지 인정할 것. 괜히 아는 척 하다가 나중에 크게 망하지 말 것. 모르는 게 있으면 주변에 묻기. 도움을 청하기. 회의 준비는 미리미리 하고 내용을 미리 컨펌 받을 것 등. 내가 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 GIB 제공 예를 들어 우리나라에서 비만(서구에서는 과체중)의
시작
점인 BMI 25를 키에 따라 보면 160cm(1.6m)는 64kg, 170cm는 72.3kg, 180cm는 81kg다. 키 170cm를 기준으로 봤을 때 160cm는 느슨하고 180cm는 빡빡하다는 느낌이 들지 않는가. 반면 기하학의 원리를 적용하면 160cm는 60.2kg이고 18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비 몰러 나간다~! 정다미 연구원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8.17
맞았어요. 그때 제비와 저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이라고 느껴 제비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
하게 됐답니다.” 폐가를 찾아 전국을 돌아다니는 이유는? “제비는 사람이 사는 집에만 둥지를 튼다고 알려져 있는데, 몇 년 전엔 그 사실이 맞는지 확인해 보려고 전국의 폐가를 찾아다녔어요. ... ...
오늘은 나도 돌고래 연구자! 지구를 위한 과학, 제주 돌고래 탐사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18.08.11
연구자'들을 지원하고 그들의 땀과 열정을 공유하기 위해 기획됐습니다. 남방큰돌고래를
시작
으로 9월 제비, 10월 매미, 11월 민물고기 강좌가 이어집니다. 이 프로젝트는 다음 세대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투자하는 C Program이 함께합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화석을 토대로 재구성해보면 약 3억8500만 년 전 어류가 육지로 진출하려는 시도를
시작
했고 3억7500만 년 전 틱타알릭(Tiktaalik)이 마침내 성공했다. 3억6000만 년 전 등장한 실러캔스는 이 과정에서 다시 바다로 돌아간 종이다. 흥미롭게도 실러캔스(Coelacanth)의 게놈에는 육상 척추동물에만 있는 2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하다. 저자와 숨바꼭질을 하는 앨리스라는 소 얘기다. “가끔은 앨리스가 장난을
시작
해 내 옆에서 천천히 걷다가 갑자기 속도를 높여 달려나가 보이지 않는 곳으로 사라지기도 했다. 내가 다른 젖소와 같이 계속 느릿느릿 걸어 몇백 미터쯤 따라가면 앨리스가 숨바꼭질을 하는 게 보였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동부에 남북으로 널리 분포해 잘 살던 코알라는 18세기 유럽인들에게 발견되면서 시련이
시작
됐다. 먼저 보드라운 털 때문에 20세기 초까지도 무지막지한 사냥이 이뤄졌다. 한창이던 1870년대에서 1920년대 후반까지 수백만 마리가 희생됐다. 생태계 변화도 큰 타격을 입혔다. 사람들이 거주지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겸손해야 상대를 설득한다
2018.07.14
하면 아무도 믿지 않지만 다섯명이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하면 웅성웅성 거리기
시작
한다는 이야기가 생각나는 부분이다. 나의 지식 수준이 곧 나인 것은 아니다 한편 가장 효과가 약하고 되려 설득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야기되는 설득 방법은 잘못된 믿음이 아닌 그걸 믿고 있는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돌이의 고향에서 남방큰돌고래 연구팀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7.11
마친 뒤, 김미연 연구원은 해안도로를 따라 자동차를 천천히 움직이며 바다를 관찰하기
시작
했어요. 그리고 20분쯤 지났을까, 해안에서 1km쯤 떨어진 곳에서 회색 물체가 물 위로 쑤욱 올라왔다가 들어가는 것이 보였답니다. 남방큰돌고래가 모습을 드러낸 거예요! 제대로 보이는 건 10마리 ... ...
이전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