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스페셜
"
시작
"(으)로 총 4,790건 검색되었습니다.
완전 분해 ‘친환경 플라스틱’ 가능할까
2018.12.31
미생물을 발견하고 효소 두 개를 분리해 ‘사이언스’에 발표하면서 관련 연구가
시작
됐다. 이상엽 교수는 올해 1월 이 미생물 효소의 구조를 밝혀 PET를 분해하는 원리를 알아내고, 이를 이용해 분해 효율을 36시간 동안 32.4%까지 높이는 데 성공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 존 맥기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울증이 말하는 법
2018.12.29
비해서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이나 타인, 세상을 향한 너그러움의
시작
은 ‘그럴 수도 있지’라고 생각해보는 것이 아닐까 생각했던 적이 있다. 예컨데 갈등 상황에서 그 사람이 나를 괴롭히기 위해 일부러 그랬다거나 애초에 그 정도밖에 안 되는 인간이란 뜻이라며 상대방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받는 기쁨보다 주는 기쁨이 더 오래간다
2018.12.22
않고 쌓아두기만 했을 때는 종잇장일 뿐이지만 자신을 행복하게 해주는 방향으로 쓰기
시작
할 때 비로소 행복을 가져올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다. 또한 일반적으로 물건들은 여러번 보면 금새 익숙해지고 별 다를 것 없이 느껴지는 데 반해 경험은 ‘추억’처럼 시간이 지나도 떠올릴 때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2018년을 빛낸 획기적 연구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18.12.22
해독돼 우리 몸에 필요한 단백질이 생성되는 과정을 ‘번역’이라 한다. 번역 과정을
시작
하거나 멈추기 위해 작용하는 물질 중 하나가 단일가닥의 염기로 이뤄진 RNA 전사체다. 발달 과정에서 생기는 RNA 전사체를 따라가면 무슨 세포로도 분화될 수 있었던 배아세포가 간이나 심장등 특정 조직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고생은 과연 인간을 성장시킬까
2018.12.15
그만한 고생을 보상해줄 수 있는 무언가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고생 끝 행복
시작
같은 동화 같은 스토리는 현실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결국 애초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바라기 때문에 고생은 고생대로 하고 이후 실망과 분노까지 겪게 된다는 것이다. 삶의 의미는 기다렸다가 나중에 ... ...
[불붙은 달 탐사 경쟁]①日 민간 최초 ‘달 셔틀’ 보낸다
2018.12.11
말했다. 현재 아이스페이스는 루나 X프라이즈 종료 이후 하쿠토 프로젝트를 다시
시작
한다(Reboot)는 의미에서 ‘하쿠토-R’ 프로젝트를 가동하고 있다. 1단계로 2020년 달 궤도에 로버를 보내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고, 2단계로 2021년 달 표면에 로버를 착륙시켜 본격적인 탐사를 벌일 계획이다. ... ...
中 아무도 못 가본 달 뒷면으로 '대장정'… ‘창어 4호’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새로운 달 착륙선을 보낸다는 계획이다. - 문익스프레스 제공 NASA는 이번 달 착륙선을
시작
으로 향후 10년 동안 총 26억 달러(약 2조9120억 원)를 투입해 민간 주도의 새로운 달 탐사 임무에 나선다. 여기에는 유인 달 탐사와 우주인 4명이 생활할 수 있는 ‘달 궤도 우주정거장’ 건설 계획도 포함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몸통 검댕 나노입자의 탄생
2018.12.05
본격적인 겨울이
시작
하지도 않았는데 신문에는 벌써 ‘삼한사미(三寒四微)’라는, 수년 전 만들어진 용어가 등장하고 있다. 이 말의 원조인 ‘삼한사온(三寒四溫)’은 우리나라 겨울이 사흘은 추워도 나흘은 포근해서 버틸 수 있다는 뜻으로 ‘삼한’이 겨울의 부정적 측면이었지만, ‘사흘은 춥고 ... ...
[표지로 읽는 과학]3D프린터로 출력한 뇌 신경망 모형
동아사이언스
l
2018.12.01
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다. 반도체 회로 역시 각각의 노드(회로가 연결된 부분)의
시작
과 끝이 분명하게 분리되도록 설계된다. 11월 29일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신경계와 닮은 물리적 네트워크를 설계한 뒤 3D(입체)프린팅 기술로 인쇄한 모형 뇌 신경망을 표지에 ... ...
“16년 전부터 매달린 엔진 드디어 날아...2021 누리호 향해 중단 없이 연구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11.30
전 팀장은 “당장 이번 발사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부서별로 세밀하게 분석하는 작업을
시작
할 것”이라며 “할 일은 더 많고 시간은 짧은 만큼 여러 일을 동시에 진행하며 시간을 줄여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전영두 항우연 발사체체계종합팀장. 고흥=윤신영 기자 발사체의 성공은 눈부시지만, ... ...
이전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