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뉴스
"
알
"(으)로 총 4,29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이해력 떨어지는 건 ‘내 탓’ 아닌 ‘뇌 탓’
2014.08.31
멜리스 교수는 “1990년대까지는 플레이아데스 성단까지 거리가 430광년으로
알
려졌는데, 이 결과가 더 정확하다”며 “이번 결과는 430광년을 기준으로 만든 ‘성단 형성 모델’에 신뢰성을 부여하는 결과”라고 말했다. ... ...
악명 높은 ‘프랑켄 푸드’가 식량난 해결할까
2014.08.31
‘파동’으로 대표되는 양자역학은 우리와 멀리 동떨어진 존재가 아니다. 잠을 깨우는
알
람소리가 바로 파동이다. 아침에 눈을 떠 ‘앞을 보는’ 극히 평범한 행위는 양자역학에서 ‘측정’이라는 아주 복잡하고 오묘한 현상과 관계가 있다. 책은 아침에서 시작해 취침에 이르기까지 집에서 ... ...
에볼라의 저주, 기니 주술사에서 시작됐다
2014.08.29
생물학과 교수는 “2004년 유행했던 바이러스가 그간 어디에 퍼져 있었는지는 아직
알
수 없다”며 “10년 전 인간을 감염시켰던 에볼라 바이러스가 과일박쥐 등 자연 숙주에게로 돌아갔다가 올해 다시 인간을 감염시켰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또 “현재 유행 중인 에볼라 ... ...
여기는 몽골 고비사막, 공룡이 꿈틀댄다
과학동아
l
2014.08.29
아마추어의 참여 전통이 긴 일본에서는 2011년 학계를 놀라게 한 세계 최대의 공룡
알
집단산란지 화석을 일반인이 처음 발견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고생물학 분야에서 아마추어 화석사냥꾼의 활약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 관장은 “화석 탐사에는 손과 눈이 많이 필요하다”며 ... ...
전기 대신 열로 작동하는 차세대 메모리소자
2014.08.27
발생시키기 위해 전기를 이용했지만 메모리소자가 작동하는 속도가 얼마나 나오는지를
알
수가 없어 정보처리 능력을 예측하기 어려웠다. 연구진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기가 아닌 열을 이용해 스핀전류를 발생시키는 방법을 고안해냈다. 1조분의 1초의 짧은 시간 동안 작동하는 레이저를 ... ...
보습력 높고 잘 뭉치는 ‘명품’ 흙으로 산사태 복원
2014.08.25
구간(왼쪽에서 첫 번째)이 기존 공법이 다른 공법에 비해 녹화속도 가 월등히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국내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중소기업과 협력해 훼손 비탈면의 침식을 방지하는 새로운 생태복원 녹화기술을 개발했다. 공사현장 등에서 토양이 드러난 비탈면의 유실을 ... ...
‘질병 주식회사’에서 인류 멸망 바이러스 제조?
2014.08.24
3분의 2가 손을 씻는데, 막상 게임을 해보면 전염병이 확산되는 속도가 확실히 더뎌짐을
알
수 있다. ‘어려움’ 난이도에서는 사람들이 강박적으로 손을 씻기 때문에 전파가 더욱 어렵다. 독감이나 눈병 같은 전염병이 실제로 유행할 때 보건당국이 손씻기를 권장하는 이유를 피부로 체감할 수 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모르가누코돈’과 ‘쿠에네오테리우’를 아시나요?
2014.08.24
알
수 없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이들이 먹는 곤충의 종류가 달랐다는 사실을 새로
알
았고, 이로 인해 이들은 다르게 진화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사이언스 제공 한편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에는 피지섬의 맑은 바다 속 풍경이 장식했다. 초록색 산호 품 ... ...
차세대 로켓 엔진 승자는?
2014.08.22
들어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NASA 연구진조차 “실험은 성공했지만 원리는
알
수 없다”면서 “양자진공으로 설명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양자진공이란 아무 것도 없는 공간에서 아주 짧은 순간 에너지가 생기는 현상이다. 김 교수는 “양자진공 상태에서는 일시적으로 에너지보존 ... ...
“술 그만 마셔요” 색깔로
알
려주는 첨단 셔츠
2014.08.22
이 생리대에는 혈액감지 센서가 달려 있어서 여성의 생리혈 양을 체크해 교체할 때를
알
려준다. 이 생리대를 이용하면 수시로 화장실을 들락거리거나 옷에 묻을까봐 전전긍긍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이번 행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창의재단이 웨어러블 기술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 ...
이전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