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뉴스
"
알
"(으)로 총 4,358건 검색되었습니다.
[2015 ‘세계 빛의 해’ 출범식] “학문을 넘어 세상을 빛내길”
과학동아
l
2015.01.23
저술한 책이 서구 과학에 큰 영향을 끼쳤다는 데 무한한 자부심을 느낀다”며 “이븐
알
하이삼은 오늘부터 아랍인들의 친구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친구”라고 말했다. 그는 또 “빛이 학문과 국가의 경계를 넘어 온 세상을 이롭게 비추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출범식을 시작으로 세계 ... ...
'머리 큰 아기' 엄마는 괴로워
2015.01.21
인류 진화 역사 중언제부터 시작됐을까요. 여자의 골반 화석과 신생아 화석을 보면
알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신생아는 거의 화석으로 남아있지 않습니다. 몇 개 안 되는 화석 인류의 골반 뼈는 대부분 남자의 골반입니다. 출산에 대한 정보를 얻기 힘들죠(‘루시’는 ... ...
신은 주사위를 던진다
2015.01.18
다시 보니 9000원이다. 당황했는가? 그래도 여러 번 측정하면 얼마가 나올지 그 확률은
알
수 있다. 이것이 양자역학이 할 수 있는 유일한 예측이다. 정리해보자. 측정하는 행위가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때문에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아는 것이 불가능하다. 위치와 운동량을 모르면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2015.01.14
직립보행을 했는지
알
수 없고, 따라서 원시 인류인지, 다른 유인원의 화석인지 확실하게
알
수 없습니다. 실제로 고인류학자들에 따라 두개골 형질이 고릴라에 더 가깝다고 주장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두 번째 후보는 동아프리카 케냐에서 발견된 ‘오로린 투게넨시스’입니다. 이 종 역시 600만~7 ... ...
추위 속 음주 저체온증 위험, 심각할 경우 술에 취한 듯한 ‘이상 행동’
동아닷컴
l
2015.01.14
5도 미만으로 떨어지는 심각한 저체온증에 빠지게 되면 술에 취한 듯한 행동이 나타난다.
알
수 없는 감정의 변화로 짜증을 내고 발음이 부정확해질 뿐 아니라 권태감, 피로 등을 호소하면서 자꾸 잠을 자려고 한다. 심지어 날씨가 추운데도 불구하고 옷을 벗는다거나 몸을 반복적으로 흔드는 이상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③] 장애인 돕는 인공 팔다리
2015.01.13
없이 수행한다. 하지만 그 내면을 들여다 보면 대단히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뇌로부터 출발한 운동의도가 신경을 통해 전달되면, 이 신호는 다시 근육을 수축시킨다. 이 과정에서 피부나 근육 등에 위치한 다양한 촉각신호를 참고한다. 이런 감각은 신경을 통해 다시 두뇌로 ... ...
후두암 방사선 치료 확률 높인다… 내성 환자 구분법 첫 개발
2015.01.13
치료를 병행해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며 “방사선 내성 유무를 간편하게
알
수 있는 분자진단키트를 3년 안에 개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 암 생물학 학술지 ‘온코타깃’ 1월호에 실렸다. ERp57과 STAT3이 결합된 단백질이 다량 발견될 경우 방사선 치료 예후가 ... ...
[기고/박주헌]에너지개발정책 성과, 장부로만 평가 말자
동아일보
l
2015.01.13
81%, 중국 93%, 일본 38%인 점과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의 에너지안보가 얼마나 심각한지
알
수 있다. 혹시 정치적 공세의 희생양으로 에너지 개발의 싹이 잘려나가 에너지안보가 위태로워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버릴 수가 없다. 박주헌 동덕여대 경제학과 교수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 ...
새해 목표 1위 ‘금연’ 과학적으로 성공하려면
2015.01.13
속도가 느리다. 현재 일반인이 실험에 참가하지 않는 이상 자신의 니코틴 분해 속도를
알
수 있는 방법은 아직 없다. 하지만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조만간 병원에서 혈액검사 등을 통해 일반인이 자신의 니코틴 분해 속도를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
2015.01.11
아니다. 풀러렌이 공기분자와 부딪혀서 어느 슬릿을 지났는지 ‘우주’가 원리적으로
알
수 있으면 관측이 일어난 것이다. 이와 같은 관측을 물리학자들은 ‘결어긋남(decoherence)’이라 부른다. 결어긋남이라는 용어가 좀 이상할 수도 있겠다. 파동이라도 여러 줄무늬를 보이려면 결이 잘 ... ...
이전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