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뉴스
"
알
"(으)로 총 4,297건 검색되었습니다.
햇빛만 있으면 수소가 펑펑
2014.09.23
표시하면 육각기둥 모양일 때(a) 보다 나선형 구조(d)일 때 빛을 더 잘 산란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이번에 연구팀이 제작한 광촉매는 기존 티타늄 금속산화물을 이용한 광촉매보다 수소 생산량이 무려 10배 이상 높았다. 또 물을 분해할 수 있는 효율도 6% 이상으로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더 매력적으로 느끼기 때문이다. 여기서 잠깐 방사선탄소연대측정법을 설명한다.
알
다시피 안정한 탄소는 탄소12로 탄소원자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런데 대기권에 고에너지의 우주선(cosmic ray)이 들어오면서 생성된 중성자가 질소14와 핵반응을 일으켜 탄소14와 양성자로 바뀐다. 수천 년, 수만 년의 ... ...
초파리가 연구에 도움 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9.17
모델 초파리를 사람의 질병연구에 활용하고 있다. 초파리 연구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
아볼 수 있는 강연이 마련된다. ‘초파리를 보면 사람이 보인다’라는 제목으로 진행되는 이번 강연은 9월 19일(금) 오후 6시 30분부터 부산 궁리마루에서 진행되며, 고형종 동아대 의과대학 교수가 연사로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부드럽게 말하곤 했다”고 회상했다. 올해 2월에도 사사이 박사의 실험실을 방문했던
알
바레즈-부일라 교수는 “요시키의 경력은 영감으로 가득 차 있었다”며 “그의 실현된 아이디어와 아직 실현되지 못한 아이디어가 차세대 과학자들에게 영감을 주기를 희망한다”고 글을 맺었다. 사사이 ... ...
냄비 속 만두는 왜 뱅뱅 돌까?
2014.09.14
알
을 부화시키고 새끼를 기르는 전 과정을 카메라에 담았다. 책에는 팔색조 새끼들이
알
을 깨고 나온 뒤 어미새가 잡아 온 먹이를 먹고 걸음마를 떼는 모든 과정이 160장의 사진 속에 생생하게 담겨 있다. 팔색조의 생태는 물론 팔색조를 관찰하면서 느낀 저자들의 소소한 깨달음까지 기록돼 있어 ... ...
승부차기에서는 앞선수와 같은 방향으로 슛을 날려라!
2014.09.11
이때 골키퍼가 공을 막기 위해 쓸 수 있는 최선의 전략은 자신의 다이빙 방향을 상대방이
알
수 없게 무작위로 선택하는 것뿐이다. 그러나 최근 영국의 인지과학자들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골키퍼들은 무작위로 몸을 던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의 ... ...
송편과 같이 먹은 솔잎, 진짜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9.09
모여 나는 잎의 수를 통해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잣나무도 잎의 모양을 보고 종류를
알
수 있다. 스트로브잣나무의 잎은 길이가 6~14cm로 잣나무 잎의 길이 7~12cm로 비슷하지만, 끝이 뾰족하고 잎이 가늘어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윤여창 교수는 "솔잎을 채취할 때 지역을 ... ...
헉! 초속 300m ‘초강력 슈퍼 울트라’ 토네이도
2014.09.05
영화 '인투 더 스톰'의 한 장면. - 워너브라더스 제공 시커먼 구름이 잔뜩 몰려와 하늘을 덮더니 구름 한가운데 검은 깔때기가 생긴다. 이 깔 ... 골프공만 한 우박도 토네이도의 전조다. 슈퍼셀 안에 기온이 0도 부근에서는 얼음
알
갱이가 상승과 하강을 되풀이하면서 우박을 만든다. ... ...
수학자 부자(父子), 퍼즐로 새로운 서체를 만들다
2014.09.04
만든 ‘링크 체’는 고정된 각도 안에서 선을 풀어 헤치면 어떤 글자인지 한눈에
알
기 어려워진다. 에릭 드메인은 “사람들이 이 서체와 함께 재미있게 놀 수 있으면 좋겠다”며, “아버지와 나는 정말로 퍼즐을 사랑한다. 우리가 만든 퍼즐은 누구든지 쉽게 참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심해 1000m에 활짝 핀 신비로운 버섯
2014.09.04
심해 생물 2종을 발견했다. 하지만 연구팀은 이 생물을 어떤 종으로 분류해야 할지
알
수 없었고, 이후 표본으로 만들어 박물관에 보관해왔다. 장 저스트 박사 연구팀이 1986년 발견한 미지의 심해 생물. - Jean Just 제공 최근 연구팀이 두 생물의 표본을 다시 꺼내 분석한 결과 두 생명체를 새로운 ... ...
이전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