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뉴스
"
알
"(으)로 총 4,297건 검색되었습니다.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① 숭실대학교] 올해 처음 선보이는 학과, 어떻게 뽑을까
과학동아
l
2014.11.26
기자의 질문에 이 교수는 “이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학생들이 어떤 고민을 하는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 소프트웨어학부가 특별히 바라는 인재상이 있나. “소프트웨어 개발에 열정이 있는 학생. 그리고 논리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학생. 이과생 중에 수학을 조금 못하더라도 논리에 자신이 ... ...
빛만큼 빠른 전하 움직임 첫 관측
2014.11.25
관측하는 데도 성공했다. 안 교수는 “전하의 속도와 소자 내 이동시간을 정확히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전자기기의 속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리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회(ACS)에서 발행하는 나노과학 분야 전문지 ‘ACS 나노’ 10월호에 실렸다. ... ...
심장질환 걱정된다면 이 ‘반창고’ 붙이세요
2014.11.24
발표했다. 손목의 노동맥이나 목에 흐르는 경정맥을 측정하면 심혈관 질환의 상태를
알
수 있다. 하지만 그 신호가 미약하고 잡아내기가 어려워 이전까지는 침습형의 고가 의료장비를 이용해 측정해야 하고 상시 모니터링도 어려웠다. 연구팀은 곤충의 더듬이에 돋은 융털 구조를 모방한 소자를 ... ...
사람 살리는 쥐(GEM)의 독백
2014.11.21
같은 실험동물도 많은데 굳이 왜 우리냐고? 어떻게 태어나고 죽는 지는 다른 동물로도
알
수 있다. 하지만 나이가 드는 과정과 병의 증세까지 볼 수 있는 동물은 우리밖에 없다. 그래서 몸값이 엄청 비싼 친구도 있다. 일본 출신의 ‘폴리오바이러스 리셉터’는 몸값이 940만 원이나 된다. 이 녀석의 ... ...
[채널A] 우리 위성, 평양 시내 차량 대수까지 식별
채널A
l
2014.11.19
과정도 우리 위성은 늘 우주에서 지켜보고 있었습니다. 한반도는 물론 두바이의 '버즈
알
아랍'을 비롯한 전 세계 도시들의 유명한 건축물까지 우주에서 바라본 신기한 지구촌 곳곳의 모습이 이번 토요일부터 관람객들에게 선보입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 ...
[전문가들에게 물어봤습니다, 수능 생명과학II 8번 논란]
2014.11.17
사용했다는 점에서 조절 유전자가 없도록 만든(결실된) 돌연변이 대장균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대장균 B는 아예 젖당을 분해하지 못하므로 프로모터가 없는 돌연변이다. 야생형 대장균은 돌연변이가 없는 정상 대장균이므로 잠깐의 시간 ‘Ⅰ’이 지난 뒤부터는 젖당을 분해하며 개체수가 ... ...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120~130배인 별을 세 개 발견했다. 그렇다면 어떻게 그 먼 거리에 있는 별의 질량을
알
수 있을까. 물론 별의 질량을 직접 측정하는 건 불가능하고 관측된 별의 밝기와 거리를 바탕으로 이론(모형)에 맞춰 계산한 결과다. 즉 먼 거리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별이 꽤 밝다면 질량이 엄청나게 크다는 ... ...
“성 행위 조절 단백질이 수면에도 관여”
2014.11.12
인간은 비슷한 수면 항상성을 가지고 있어 수면 항상성이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
알
수 있는 결과”라며 “향후 인간의 수면 항상성 조절 메커니즘을 밝혀내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생물학 저널 ‘플로스 바이올로지’ 10월 21일자에 실렸다. ... ...
이런 스마트한 밀대 보셨나요?
2014.11.12
교수는 “세계적인 대학과의 경쟁에서 좋은 성적을 거둬 KAIST의 교육과 연구의 우수성을
알
리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ACM UIST는 인간과 컴퓨터 간 상호작용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를 자랑하는 국제학회로, 학회 기간 내 열린 콘테스트에는 미국 카네기멜론대, 조지아공대 등 세계 24개 주요 ... ...
희귀난치성 질환으로 생긴 학습장애 치료법 찾았다
2014.11.11
학습장애를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았다. 이용석 중앙대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알
시노 시노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교수팀과 공동으로 희귀난치성 유전질환인 ‘누난증후군’이 학습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을 규명하고 치료법까지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누난증후군은 1000~250 ... ...
이전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