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일본까지 화산재 날려보낸 젊은 화산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울릉도를 방문해 나리분지 안에 일본 학자들이 찾지 못한, 60m 두께의 새로운 화산재 층을 발견했다. 화산재 층은 울릉도에서 일어났던 최근 5번의 분화 기록을 고스란히 담고 있었다. 그동안 울릉도는 오래전 활동을 멈춘 ‘사화산’으로 규정됐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울릉도는 살아있는, 그리고 ... ...
- 갑상샘암 검사 할까 말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총 1만1367명을 검진하고 2011년 2월까지 암발생을 추적조사한 결과,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다. 원전에서 멀리 떨어진 대조지역 주민과 비교해봤을 때 다른 암은 차이가 없었지만 여성에서 갑상샘암 발병률이 2.5배나 증가한 것이다.보고서에 적힌 결과는 충격적이었지만 갑상샘암과 원전 사이의 ... ...
- 고리 두른 소천체 등장에 천문학자들 ‘멘붕’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목성과 해왕성 사이에 있는 작은 천체인 ‘켄타우루스 천체’ 중 하나다. 이번에 발견된 커리클로의 고리는 지름이 각각 391km, 405km이며, 얼음 성분이 포함돼 있었다.과학자들이 고민에 빠졌다. 고리가 행성이 아니라 소천체에 있었기 때문이다. 기존 이론에 따르면 소천체는 고리를 가질 수 없다 ... ...
- 김주황의 악당예찬7 - 순식간에 재생하는 암줄기세포? 익스트리미스 군단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발견해 ‘네이 처 메디슨’에 발표했다. 그 뒤 12종류의 암에서 줄기세 포가 발견됐다. 암줄기세포는 줄기세포처럼 자기복제능 력을 가지면서 어떤 종류의 암으로도 분화할 수 있다. 발현되기 전에는 잠자는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일반 항암제에는 소멸되지 않는다.익스트리미스는 전신을 ... ...
- [knowledge] 유전자에도 피부색이 있는가 ‘인종의학’ 논란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이후 수천, 수만 개의 염기서열이 뭉텅이로 사라지거나 변하는 ‘유전자수 변이(CNV)’가 발견돼 개인별 차이가 예상보다 훨씬 크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정이 바뀌었다”고 말했다.서 교수는 “민족별 차이(ethnic differences)가 정말 없다면 모르겠지만, 흑인에게만 듣는 약이 나오는 등 특정 ... ...
- 잠과 꿈의 몽상학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비렘수면이 30% 줄고, 잠드는 데 걸리는 시간도 평소보다 5분 이상 늘어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원인은 역시 빛에 의한 멜라토닌 생성 억제였다. 이제는 ‘잠 못드는 밤 비는 내리고’라는 노래 제목을 ‘…보름달은 뜨고’라고 바꿔야 할지 모르겠다.악몽은 고통을 견디는 예방주사?문이 닫힌다. ... ...
- 지구 최남단, 하얀 사막의 장보고과학기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무렵, 독일 과학자들이 운영하는 곤드와나 기지 옆에서 만나보기 힘든 남극의 주인을 발견했어요. 작은 빙하에 우뚝 서 있는 황제펭귄이지요. 우아하고도 늠름한 모습이에요! 목덜미에 있는 노란 무늬가 정말 예쁘네요.남극의 숨은 주인, 지의류남극에서는 푸른 풀을 볼 수 없어요. 나무는 더더욱 볼 ... ...
- 수학계 최고의 스승과 제자는 누구?수학동아 l2014년 05호
- 받으면 “내용에서 오류가 안 나올 때까지 끊임없이 고민한다면, 누구든지 나와 같은 발견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대답하곤 했다.완벽함을 중시한 가우스의 이 같은 태도는 제자를 가르치는 방법에서도 잘 드러난다. 가우스의 마지막 제자인 데데킨트는 가우스의 최소 제곱법*에 대한 수업을 ... ...
- 수증기 내뿜는 ‘화난 소행성’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과학자들은 허셜우주망원경으로 소행성 세레스가 수증기를 내뿜는 현상을 발견했어요. 과학자들은 세레스에서 수증기가 뿜어 나오는 현상이 이 소행성에 물과 얼음이 존재한다는 확실한 증거라고 생각하고 있어요.세레스는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대에서 크기가 가장 큰 소행성이에요. ... ...
- 공부의 적➊ 학습장애 공부 못 하는 천재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그렇다면 어떻게 치료하는 걸까?빨리빨리 발견하고 치료하는 게 중요!난독증은 빨리 발견해서 치료하는 것이 무척 중요해. 많은 사람들이 난독증으로 글을 잘 못 읽는 것인데도 어려서 좀 늦는 거지 크면 차차 할 수 있다고 생각해 치료 시기를 놓쳐. 게다가 읽기 능력은 학업성취도와 관계가 높기 ... ...
이전3873883893903913923933943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