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옳다면 양자역학에서도 카오스를 볼 수 있어야 한다. 카오스라는 새로운 현상이 발견된 직후, 당연히 물리학자들은 ‘양자카오스’를 생각했다.카오스는 일반대중에게 나비효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북경에서 나비가 날개를 펄럭이는 것 때문에 뉴욕에 허리케인이 올 수도 있다는 얘기다. 그렇다고 ...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진화했을지 연구할 때 결 정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현재의 관측 기술로 외계 위성을 발견하는 일은 쉽지 않다. 하지만 더 좋은 망원경은 계속 만들어지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 외계행성이나 위성의 대기 성분은 물 론, 위성이 행성을 가리는 모습까지 정밀하게 관측할 날 이 올 것이다. 밝기 ... ...
- 가재 앞다리 파워 본뜬 우주소재 개발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결과, 광물화된 섬유 층이 조금씩 각도를 달리하며 나선형 계단처럼 쌓여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연구진은 이를 모사해 각 층을 10~25°씩 돌려가며 쌓은 나선형 구조물을 만들었다. 재료로는 탄소섬유와 에폭시 수지를 결합시켜 만든 복합물질을 사용했다. 그 뒤 구조를 달리 한 재료와 기존 ... ...
- “진주운석이 소중한 건 우주 궤도를 알 수 있기 때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6만여 개 중에서 태양계 어디에서 왔는지 알아낸 운석은 별로 없어요. 이미 떨어진 걸 발견했기 때문이에요. 진주 운석 같은 ‘낙하 운석’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궤도를 재현해서 태양계 어느 부분의 구성 성분을 우리가 보고 있는지 알 수 있어요.”운석과 소행성, 태양계 전반에 걸친 우주 ... ...
- 왜 세 살 기억 여든까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60% 이상 기억하던 아이들이, 8세가 되자 갑자기 40%도 기억하지 못하게 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7세에서 8세로 넘어가는 시점에 유년기의 기억이 급격히 사라져 버린 것이다. 우리의 삶은, 초등학교에 들어갈 무렵부터 새롭게 시작한다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다.하지만 이유는 아직 논쟁중이다. ... ...
- 화성 동토층에도 미생물이 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인류는 아무 것도 살 수 없을 것이라 믿었던 심해저에서 생명의 오아시스인 열수구를 발견했다. 마찬가지로 엔셀라두스의 깊은 바다 속에서 생명체를 만나게 되지 않을까. 화성 탐사가 끝나면, 아무래도 나의 다음 목표지는 엔셀라두스가 될 것 같다 ... ...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0년부터 2010년까지 월드컵 19회 동안 진행됐던 772번의 게임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발견해 2013년 스포츠물리교육지에 발표했다. 레이트 박사는 전·후반 90분을 15분씩 나눠서 각 단위마다 골이 얼마나 들어갔는지 분석했다.총 2208골이 터졌는데, 골이 가장 많이 들어간 시점은 ‘마지막 1 ... ...
- 2009년 노벨 생리의학상 캐럴 그레이더 박사 "무한반복 실험 즐겼더니 노벨상 받았죠"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사제가 노벨상을 같이 수상한 건 처음이다.]“연구는 요리처럼 하는 것”텔로머라아제를 발견한 비결에 대해 묻자 그레이더 교수는 “요리처럼 실험을 맛보면서 마음에 들 때까지 계속한 것”이라고 답했다. 먹어보고 싱거우면 양념을 더 하듯, 매 실험마다 조금씩 배우면서 답을 찾아나갔다는 ... ...
- 매년 쥐 100마리 신체검사 하는 독일마우스병원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걸쳐서 관찰해보면 이상 현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며 “유전자의 숨겨진 기능을 발견하는 게 마우스병원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고 말했다.특히 독일마우스병원은 독자적으로 구축한 방대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유명하다. 이곳에서는 지금껏 분석한 모든 쥐의 건강기록부를 저장하고 ... ...
- 무에서 시작한 우주, 끝은 어디일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수 있다.우주의 근원과 비밀을 찾는 일은 지금도 끊임없이 계속 되고 있다. 중력파를 발견한 지 약 두 달이 지난 현재 바이셉2 연구팀의 관측결과에 대한 반론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빠르면 10월에 이번 플랑크우주망원경 관측 데이터에서 빠진 영역이 메꿔질 때까지 이 논란은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 ... ...
이전3843853863873883893903913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