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왜 이렇게 떠들썩하나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이번 사건의 주인공은 남극에서 ‘바이셉2(BICEP2)’라는 망원경으로 우주를 관측하던 연구팀이었다. 이들은 우주가 태어나던 날, 즉 빅뱅 이후 처음 흘러나온 빛이 ... 떠들썩하나Part 2. 은하와 생명의 진정한 기원 드러나Part 3. 잡음없이 깨끗한 중력파를 발견하라!Part 4. “정확도 99.999999636 ... ...
- Part 4. “정확도 99.999999636%”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바이셉2 망원경의 패널에는 우주배경복사 편광성분을 감지할 수 있는 안테나들이 연결돼 있다. 컴퓨터 기판의 집적회로 구성과 비슷하다.]이번 연구 논문은 현재 ... 떠들썩하나Part 2. 은하와 생명의 진정한 기원 드러나Part 3. 잡음없이 깨끗한 중력파를 발견하라!Part 4. “정확도 99.999999636 ... ...
- 초신성 폭발의 비밀 밝힐 실마리 찾았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중심부 핵과 외곽 물질로 나뉘어있긴 하지만 그 경계가 모호하게 뒤섞이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내부에서 뒤섞인 뒤 별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중심부의 무거운 물질이 별 밖으로 튕겨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아네드 교수팀이 발표한 초신성 폭발시 별 내부의 모습. 3차원 모델로 별 내부를 ... ...
- 북극을 누빈 ‘미니’ 티라노사우루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이누피아트인의 말로, 북극곰을 뜻하는 ‘나누크’에서 딴 말이다. 나누크사우루스는 발견된 티라노사우루스 중 가장 작은 종으로, 머리부터 꼬리까지의 길이가 7m다. 가장 거대한 티라노사우루스 렉스가 12m이니, 덩치(부피)로 따지면 거의 4분의 1 가까이 작은 셈이다.이 종이 왜 극지방에서 ... ...
- 사라진 비행기, 수학 공식으로 찾는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미국 메트론 연구소의 로렌즈 스톤 박사에게 자문을 구했고, 5일 만에 바로 블랙박스가 발견되었다. 연구소에서는 풍속, 해류, 기존의 비행 패턴 등을 베이즈 정리에 대입해 분석했고, 그 결과 무려 1만 2,000피트 아래 깊은 바닷속에 있는 블랙박스를 찾아낼 수 있었다.따라서 수학자들은 이번 ... ...
- 캡틴 아메리카, 준결정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04호
- 도체의 성질은 물론 초전도 현상까지 보이는 특별한 구조의 금속 준결정 산화물을 발견했다. 이 물질은 최근 태양전지용 대체 소재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한편, 우리나라의 연세대 준결정재료연구단 김도향 교수가 2002년 준결정 구조로 마그네슘 합금 소재 개발에 성공했다. 이 물질은 기존 ...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과학동아 l2014년 04호
- 틀렸다는 것은 아니다). 2012년 1월 우리나라 주요 일간지에 “불확정성원리의 결함 발견”이라는 기사가 실렸다. 오스트리아와 일본 연구진이 ‘네이처 피직스’에 불확정성원리의 결함을 실험으로 검증했다는 논문이 실렸기 때문이다. 그러나 물리학자들의 반응은 잠잠했다. 정말로 불확정성 ... ...
- 거위 VS 오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조류독감 사건의 주범으로 몰리고 있는 가창오리. 그동안 대구 달성군 가창면에서 처음 발견된 철새라서 ‘가창’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알려져 있었어요. 하지만 가창오리는 가창면과는 전혀 연관이 없다는 사실! 꼬리가 창처럼 뾰족해서, 가창오리 떼가 우는 모습이 노래를 부르는 것 ... ...
- 4회 K의 은신처를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있을 거라구.”바로 그때, 박 형사가 현관문 옆에 있는 작은 우체통 안에서 쪽지를 발견했다. 예상대로 K가 남긴 쪽지였다. K의 은신처임이 확인되는 순간이었다.‘역시, 예상대로 이곳이 K의 은신처였어.’왕 반장이 생각해 잠겨 있을 때, 박 형사가 신발장에서 딸깍거리는 소리를 들었다.“반장님! ... ...
- PART 1. 꽃이 없었다면, 지금 당신은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그 생각을 비웃었다. 하지만 1903년에 실제로 그정도로 긴 혀를 가진 거대한 박각시나방이 발견됐다고 한다.우리의 가장 충실한 꽃가루 매개 곤충인 벌은 약 1억2000만 년 전 남미와 호주에서 나타났다. 인간이 사는 2014년에는 1만6000종 이상이란다. 벌이 잘나서가 아니다. 다 우리가 꽃잎 주고 꿀 줘가며 ... ...
이전3893903913923933943953963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