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코페르니쿠스의 원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알아낸 것도 신기한 일인데, 우린 이제 반지름 400억 광년 크기의 ‘보이는 우주’ 내에서
지구
가 어떤 방향으로 치우쳐 움직이고 있는지를 알게 된 것이다. 믿거나 말거나 이런 일이 가능하다.천문학자들은 코페르니쿠스 원리로부터 자유롭기를 갈망한다. 내가 보는 우주가 혹시 위치 때문에 정확히 ... ...
차세대 연료전지 나노 기술로 상용화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회로를 지나며 전류를 만든다. 수소이온은 다시 전자, 산소와 만나 물을 생성한다.
지구
상에 풍부한 수소를 이용해 전기를 만들고 부산물로 이산화탄소가 아닌 물이 나오기 때문에 연료전지는 깨끗한 차세대 에너지로 꼽힌다. 2040년 자동차 에너지의 약 50%, 발전 설비와 주거 설비 전력에너지의 약 20 ... ...
차가운 빛의 세계, 발광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태양에서
지구
까지 열이 전달되는 방식인 열복사처럼 자연에서 나오는 빛과 형광등이나 LED처럼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빛이 있다. 모든 물체는 온도에 따라 독특한 파장 범위의 전자기파를 물체 표면에서 방출한다. 이를 온도복사 또는 열복사라고 한다. 온도가 높은 물질일수록 파장이 짧은 강한 ... ...
[5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배출과
지구
온난화의 관계에 대해 다뤄 보자. 많은 사람들이 탄소 배출을 줄여야
지구
온난화를 막을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친환경 자동차나 친환경 에너지 개발에 힘을 쏟는 것도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 대목에서 ‘실생활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기사를 작성해 ... ...
Part1. 해저도시 건축학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탐사에 실험용 시계를 내려보냈다. 캐머런 감독은 수심 1만 900m에 달하는 마리아나 해구(
지구
에서 가장 깊은 해구)를 1인 잠수정을 타고 내려갔다. 롤렉스는 특수 제작된 실험용 시계 ‘딥씨 챌린지(Deepsea Challenge)’를 잠수정의 로봇팔에 달았다. 해저 1만2000m 수압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딥씨 ... ...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우두를 이용한 천연두 예방법( 우두법 )을 개발한 뒤, 천연두는 1977년을 마지막으로
지구
에서 사라졌다. 하지만 미국과 러시아에서 천연두 바이러스를 보관하고 있어 미생물 테러의 위협이 여전히 도사리고 있다. 또 다른 종의 마마바이러스가 전염병을 일으키고 있는 탓에 관련 연구가 계속되고 ... ...
Part3. 비판과 한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우리 우주가 우리 인간이 탄생하기 좋은 조건인 것은 그저 우연이다. 코페르니쿠스가 ‘
지구
는 우주의 중심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면, 다중우주론은 ‘우리 우주도 우주의 중심이 아니다’라고 주장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주를 뛰어넘은 사랑 가능할까 - 다중우주Part1. ... ...
지구
에서 가장 ‘핫(hot)’한 곳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랜드샛 위성이 측정한 온도는 지표면 자체의 온도기 때문이다. 마이크 카를로비츠
지구
관측소 연구원은 “태양이나 대기 복사에 의해 땅이 달궈진 정도를 반영하고 있어 지상에서 측정한 기온과는 다르다”고 ... ...
아낌없이 주는 숲 맹그로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바나콘 섬에 있는 맹그로브 숲의 모습. 이 섬에는 약 450ha의 맹그로브 숲이 있다.]필리핀 보홀섬에서 북쪽으로 약 3~4km 떨어진 작은 섬마을 ... 맹그로브가 맑게 웃으며 우리를 반겼던 한없이 착한 아이들의 꿈을 실현시켜 주고 더 나은
지구
를 물려줄 수 있는 ‘희망’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
중성미자 대결, 중국과 무승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변환상수는 상대적으로 작아서 지금 입자물리학계의 난제로 남아있다.중성미자는
지구
도 쉽게 통과할 정도로 물질과 반응하지 않아 검출이 어렵다. 매우 낮은 확률로 물질과 반응하곤 하는데 이 때를 이용해 검출해야 한다. 중성미자검출기는 이를 이용하기 위해 ‘섬광액체’와 미약한 빛도 ... ...
이전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