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스페셜
"
지구
"(으)로 총 1,969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위성 이미지로 전세계 '식물계절' 지도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9.06
연구분야의 핵심 데이터로 활용된다. 기후변화와 농업, 환경 모니터링에도 유용하다. 전
지구
규모의 LSP 지도화는 그동안 기술적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건조·열대 생태계의 복잡한 생물학적 현상을 반영하는 데 한계가 제시됐다. 연구팀은 2001년부터 2020년까지 20년치 위성 이미지를 데이터 ... ...
[사이언스게시판] '제6회 국제융합학술대회 BIEN 2025'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8.20
■ 한국과학기자협회는 20일 한국
지구
과학연합회・한국천문학회 2개 단체와 대한민국의
지구
환경 및 천문우주 과학 발전과 국민 소통 활성화를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회는 이번 협약을 통해 학술대회를 포함한 과학 언론의 연구발표 현장 취재 프로그램 공동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닮은듯 다른 입시경쟁…中 '과기 굴기'·韓 '의대 추종'
2025.07.30
다시 국가별 종합 순위에서 당당하게 1위를 지켜냈다. 핵심 기초과학인 물리·화학·
지구
과학에서 미국을 비롯한 186개국을 앞섰고 생명과학·보건의학에서 어렵사리 명성을 이어가고 있는 미국은 어렵게 종합 2위를 차지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적극적인 반(反) 과학기술 정책이 탓에 내년에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고교학점제·통합수능에 시름깊은 고교…논문표절에 묻힌 이진숙 장관 검증
2025.07.16
역시 실질적으로 분명히 구분되는 것도 아니고 물리·화학·생명과학·
지구
과학의 구분이 언제나 중요한 것도 아니다. 오히려 현대 과학의 진정한 가치를 가르치려던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융합과학' 취지를 되살리는 노력이 절실하다. ● '통합' 과목의 무한 반복 학습 올해 고교 1학년 학생들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달 뒷면, 거대 소행성 충돌로 지각구조 달라져"
동아사이언스
l
2025.07.12
창어 6호 임무를 통해 세계 최초로 달의 뒷면에서 채집한 28억년 전 토양 샘플 1935.3g이
지구
로 오면서 달의 역사가 다시 쓰이고 있다. 웨이 양 중국과학원 교수팀은 약 40억년전 달 뒷면 남극에 거대 소행성이 충돌해 지름 2500km에 달하는 남극-에이트켄(South Pole–Aitken) 분지가 생겼으며 앞면과 뒷면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우주에서 하찮은 존재"…너그러운 사회 만든다
2025.06.21
제공 우주에 관한 강의를 듣다가 이렇게나 거대한 우주에서 이렇게나 작은
지구
에,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 우리가 모여있다는 것은 기적(매우 작은 확률이라는 의미에서)이라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이야기를 들으면서 강의실을 한 번 둘러보고 또 옆에 앉아있는 친구를 바라보며 지나가는 그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수능 미적분·기하 선택하면 '이과생'이라는 억지
2025.06.18
2학년과 3학년에서 배워야 하는 미적분·기하·통계와확률은 물론 물리·화학·생명과학·
지구
과학의 심화과목(II)도 모두 수능에서 배제된다. 걷잡을 수 없이 무너지고 있는 공교육 현장에서 절실하게 필요한 것은 '통합과목' 수준의 엉터리 문·이과 '통합'이 아니다. 오히려 적성과 진로를 핑계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이재명 정부 출범…AI보다 '기초과학'이 더 절박
2025.06.04
새 정부가 귀를 기울여야 하는 목소리는 따로 있다. 수학·물리학·화학·생물학·
지구
과학·통계학을 비롯한 기초과학 분야의 학술단체가 연합한 '기초과학학회협의체'(기과협)가 기초과학에 대한 더욱 적극적인 투자와 관심을 요구하고 있다. 당장 내년부터 기초과학 분야의 과제를 매년 6000개 이상 ... ...
[과기원NOW] UNIST, 1시간 단위로 식물 광합성량 예측하는 AI 모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6.01
왼쪽부터 임정호 교수, 배세정 연구진. 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임정호
지구
환경도시건설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정지궤도 기상위성의 고빈도 복사·기상 자료를 인공지능(AI)에 학습시켜 총일차생산량을 1시간 단위로 추정하는 모델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예측 모델에는 다양한 기상 ... ...
[표지로 읽는 과학] 가장 정교한 '시조새' 화석, 비행 진화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5.05.31
외형엔 조류와 공룡의 해부학적 특징이 모두 드러나있다. 약 1억 5000만년 전
지구
를 날았던 최초의 새인 시조새의 비행 능력에 대한 단서가 새롭게 밝혀졌다. 징마이 오코너 미국 시카고 자연사박물관 연구원 연구팀은 지금까지 발견된 시조새 화석 중 가장 잘 보존된 14번째 표본을 분석한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