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black hole)’로 불리고 있다.한편 지난 2007년 영국 사우샘프턴대 토머스 매카론 박사팀은
지구
에서 5000만 광년 떨어진 거대 타원은하 NGC 4472에 있는 구상성단의 중심에 질량이 태양보다 적어도 400배는 무거운 중간질량 블랙홀이 있다는 관측결과를 ‘네이처’에 발표했다. 구상성단은 수십 광년의 ... ...
6000만 년 전 악어 잡아먹는 거대 거북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우리나라 고구려 벽화에 나오는 현무를 닮았다.댄 크세프카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해양
지구
대기과학과 교수팀은 2005년 발견된 파충류 ‘카보네미스 코프리니이(Carbonemys cofrinii)’의 뼈 화석을 복원하고, 생활사를 연구해 그 결과를 ‘시스템고생물학저널’에 발표했다. 카보네미스는 ‘석탄 ... ...
우주 불꽃놀이 ‘거대 플레어’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빛의 속도에 가깝게 튀어나오고, 감마선 등 다양한 파장의 전자기파가 일시에 방출돼
지구
의 통신에도 영향을 미친다. 지금까지 관측된 가장 강한 태양 플레어는 1859년 9월 1일 관측된 것으로, 이 때 처음으로 존재가 확인됐다.마에하라 히로유키 일본 교토대 천문학과 교수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많이 만들어내는’ 그런 가상의 생물이다. 만약 이러한 악마가
지구
에 존재한다면
지구
에는 오직 그 종만 남게 되는 것은 아닐까.허무맹랑한 이야기 같지만 생물학자들은 실제로 다윈의 악마가 될 수 있는 후보 생물을 찾고 있다. 유럽에 사는 민물지렁이 스틸라리아 라쿠스트리스(Stylaria lacustris)가 ... ...
실험 능력, 창의적 사고력을 키워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것이 중요한 포인트로 보인다. 하지만 이어지는 문항들을 살펴보면 생명과학이나
지구
과학, 화학 부분의 지식과 연결된 사고를 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캠프에서 진행되는 실험 문항은 단편적으로 지식을 활용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복합적인 사고 능력을 확인하려고 한다는 특징이 ... ...
오징어는 하늘을 나는 게 더 쉽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사실이 확인됐어요.캐나다 달후시대학교 해양생물학자인 로날드 오도르 박사는 미국
지구
물리협회의에서 오징어가 물 밖에서도 이동할 수 있으며 오히려 헤엄치는 것보다 빠르다고 발표했어요. 그는 키우던 오징어가 아침마다 2~3마리씩 수조 바깥에 죽어 있는 것을 보고 오징어가 물 밖에서 날 수 ... ...
말은 원래 고양이처럼 작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기후변화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는 동물은 포유류 전체에서 3분의 2나 된답니다. 즉
지구
가 따뜻했던 시기를 지나 점점 추워지면서 말이 지금처럼 점점 커진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발생하는 현상인 ‘조석파괴’가 일어난다. 별이 파괴되는 것이 블랙홀의 강한 조석력(
지구
에서는 달의 조석력 때문에 밀물과 썰물이 나타난다) 때문이라고 해서 조석파괴라는 이름이 붙었다.지난 40여 년 동안 이론적으로 예측됐던 조석파괴 현상이 2011년 3월 28일 드디어 관측됐다. 미국항공우주국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자기장보다 1억 배 강하다.이름 펄스장실험동소속 미국 로스알라모스국립연구소특징
지구
자기장보다 200만 배 강한 자기장날짜 2012년 3월 22일우주 탄생의 뜨거움2010년 2월, 미국 에너지국 산하 브룩헤이븐국립연구소는 중이온가속기 ‘릭(RHIC)’이 인류가 경험해보지 못한 가장 뜨거운 온도를 ... ...
"나는 초신성 박씨"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함께 생을 마감한 이름모를 어느 거대한 별에 의해 만들어졌을 것이다. 70억
지구
인은 모두 한 별의 흔적을 공유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말하는 것이 우린 모두 한 우주 안에서 태어난 형제라고 우기는 것과 뭐가 다르냐고 누가 따지면 달리 변명할 도리는 없지만, 그래도 신기하지 않은가. 우리 ... ...
이전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