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d라이브러리
"
물리
"(으)로 총 6,13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은하 두 번째 블랙홀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13E로 불리는 별의 군집체 중앙에 블랙홀로 추정되는 대상이 존재한다고 ‘천문학 & 천체
물리
학’최근호에 발표했다. 연구자들은 군집체에 속한 별들이 공간 속에서 함께 움직이는 현상을 분석해 이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즉 가운데 블랙홀의 중력에 잡혀 이들이 동행한다는 것. 블랙홀은 크게 ... ...
X-43A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細網內皮系細胞)에 있으며 파리의 일종인 플레보토무스 베루카눔(Phlebotomus verrucanum)에
물리
면 전염된다선(腺)의 실질(實質)이나 또는 배설관이 염증으로 인해 형성된 낭포 특히 임질이 경과된 뒤에 배설구가 폐쇄되어도 선분비가 계속되면 분비물이 밖으로 배출되지 못해 선강에 괴어 낭포를 ... ...
나노분자로 테라급 소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1조) 이상의 메모리를 구현할 수 있다. 현재 정 교수팀이 개발한 나노구조체를 갖고 KAIST
물리
학과 신성철 교수팀이 고밀도 자기기록소자를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혼자 연구하던 시대는 지났습니다. 혁신적인 결과가 나오려면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해야 합니다.”그래서일까. ... ...
고전
물리
학 고집한 현대
물리
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1900년 12월 14일 독일 베를린대 이론
물리
학 교수였던 막스 플랑크는 독일
물리
학회에서 한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은 고전
물리
학에 작별을 고하고 양자물 ... 원치 않았다. 프로이센의 엄격한 학자 집안에서 자라면서 생긴 보수성 때문에 쉽게 고전
물리
학을 거부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모른다”라는 말을 남겼다. L아미노산의 과잉이 정말 약한 상호작용이나 미지의
물리
적 과정의 결과로 나타난 현상이라면, 비대칭을 매개로 생명과 우주를 연결한 파스퇴르의 혜안에 경탄하지 않을 수 없다.대칭·비대칭은 환경적응의 결과많은 생물의 외모가 좌우대칭 또는 방사대칭이지만 반드시 ... ...
자성측정기 MPMS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원자핵의 운동이 작아져 전자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1908년 네덜란드
물리
학자 카머링 오네스가 최초로 4.2K(약 -269℃)에서 기체 헬륨을 액화시키는데 성공했고, 1911년 마침내 수은을 액체 헬륨으로 냉각하는 과정에서 최초로 초전도 현상을 발견했다.그런데 모든 물체가 초전도체가 ... ...
우주인 '체질'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가능성이 가장 크다.연세대 김석환 교수(천문우주학)는 “우주에 처음 발을 내딛는 만큼
물리
, 화학, 생물, 지구과학 등 여러 분야에 걸쳐 간단한 실험을 수행해 의미 있는 결과를 얻어내야 할 것”이라며 “우주카메라를 이용해 태양이나 지구의 영상을 담아오는 일도 필요하다”고 말했다.현재 ... ...
2004 노벨상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돌아갔다. 폭넓은 기초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일깨운 것이다. 올해 노벨
물리
∙화학∙생리의학상을 받은 과학자들과 그들의 업적을 살펴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04 노벨상 따라잡기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03. 냄새 맡는 후각 ... ...
2004 엽기 노벨상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삼켜 부레에 보관하다가 ‘위기상황’ 이 닥치면 항문을 통해 배출한다고 주장했다.
물리
학상을 받은 미 코네티컷대의 미셜 터베이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 7명에게 센서를 붙인 뒤 훌라후프를 돌리게 했다. 돌리는 속도를 달리하면서 뇌의 변화를 측정해 뇌가 훌라후프를 돌리기 위해서는 한번에 1 ... ...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이룬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지난 2000년 8월 10일자‘네이처’에는 영국 케임브리지대
물리
학과 앤드류 터버필드 교수팀이 만든 DNA로 만든 분자가위가 발표됐다. 각각 수십개의 염기로 이뤄진 3종류의 DNA단일가닥이 합쳐져 날이 벌어진 형태의 가위를 만든다. 여기에 ‘연료’ 라고 부르는 제4의 ... ...
이전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