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d라이브러리
"
물리
"(으)로 총 6,139건 검색되었습니다.
풀꽃이 된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3호
수 있는 기술이 있다는 거? 그러나 우리 지구의 문화는 당신네들과는 차원이 달라.
물리
적인 힘이 아닌, 위대한 다른 것이 있었다고!”선장은 격분해 소리치는 벼리의 태도를 보자 아차 싶었다. 지구인들은 감정의 동물이란 것을, 그리고 그 감정 때문에 사람을 미워하기도 하고, 집착하기도 하고 ... ...
“꿈을 담아 쏘아 올린 로켓!”-채연석 원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2호
못 만들 게 뭐가 있을쏘냐!”■채연석 원장님은1951년 충북 충주 출생1975년 경희대
물리
학과 졸업1987년 미국 미시시피주립대 항공우주공학 박사1988년 천문우주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1997년 한국항공우주연구소 KSR-Ⅲ 사업단장2002년-현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 유별난‘로켓 ... ...
원시블랙홀이 폭발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0호
블랙홀들은 태어나자마자 무더기로 폭발하며 사라졌습니다. 이것이 바로 유명한 천체
물리
학자 호킹 박사가 밝혀낸 새로운 이론 중의 하나입니다. 크기가 작은 것부터 사라졌기 때문에 큰 원시 블랙홀들은 아직까지 우주에 남아 있을 수도 있답니다 ... ...
대형유인원 화석 및 진화 지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국면을 개척했다 76년 이 공로로 이 입자를 독립적으로 발견한 S C C 팅과 함께 노벨
물리
학상을 수상했다 궤도의 법선방향으로 향한 가속도의 성분 질점이 가속도 운동을 하고 있을 때 가속도는 속도에 평행하는 성분과 수직의 성분으로 ... ...
코와 골짜기가 만든 동해 가스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땅속 1만2000m까지 석유 시추 가능 석유 탐사는 인공위성이나 비행기를 이용해 간단한
물리
검사부터 시작한다. 중력 또는 자력 검사다. 석유는 바위보다 중력도 약하고 철 성분이 없어 자력도 작기 때문에 주변 지역보다 중력과 자력이 약한 곳을 찾는 것이 석유 탐사의 1단계다.이 단계가 끝나면 ... ...
수증기 먹고 쑥쑥 자라는 탄소나노튜브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아주 잘 자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본 츠쿠바에 위치한 국립고등과학기술연구소
물리
학자인 켄지 하타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사이언스 11월 19일자에 이같은 결과를 발표했다.13년전 탄소나노튜브가 처음 개발된 이래로 탄소나노튜브는 나노테크놀로지의 총아였다. 아주 작은 관모양의 ... ...
태양흑점 주기 농작물 생산 좌지우지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농작물 생산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스라엘 하이파대 천체
물리
학자인 레브 푸스틸닉 교수와 농업경제학자인 그레고리 욤 딘 교수는 20세기 미국의 밀 가격이 태양흑점 주기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분석했다.이들은 과학기술이 발달해 농작물이 불리한 기후 조건에서도 더 잘 자라고, ... ...
1.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이룬다.표준이론1960년대 중반 셸던 글래쇼, 스티븐 와인버그, 압두스 살람 등이 입자
물리
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만든 이론. 12개의 기본입자와 그 힘을 매개하는 입자를 설정하고 있다. 작고한 이휘소 박사도 표준이론 설립에 큰 공헌을 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와 생명 탄생의 숨은 ... ...
'입자
물리
학의 메카' CERN 50주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부부, 청소년을 둔 부모가 어디에든 있었다. 어찌보면 별 관심거리가 될만하지 않은 입자
물리
연구소에 사람들이 이렇게 찾아오는게 신기할 따름이다. 과학의 발생지가 유럽임을 새삼 느끼게 해준다.이 많은 사람들이 어떻게 행사를 알고 찾아오는 것일까. 한 방문객은 “슈퍼마켓에서 우연히 행사를 ... ...
싸늘한 겨울밤에 나타난 흑마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성운에 어두운 틈새가 존재한다는 정도로만 인식됐다.말머리성운이 암흑성운으로서 천체
물리
학에서 매우 중요한 대상이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깨달은 사람은 유명한 천문학자 에드워드 버나드였다. 오늘날 암흑성운은 별의 탄생과 우주의 기원을 밝히는 아주 중요한 대상으로 연구되고 있다. ... ...
이전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