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응용과학"(으)로 총 480건 검색되었습니다.
- 초간편 진단키트로 해양환경 지킨다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선박평형수란 선박의 무게중심을 잡기 위해 배 안에 채우는 바닷물을 말한다. 배가 싣고 있던 화물이 줄어든 무게만큼 물에 잠기는 깊이가 얕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무게중심이 높아지면서 좌우 흔들림이 증가하게 되고 작은 파도에도 쉽게 전복된다. 또한, 배를 추진하는 프로펠러가 물 위로 모습 ... ...
- 국제 해양과학기술 연구 및 교육·훈련의 중추적 연구기관으로 성장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제주국제해양과학연구지원센터 연구본관동. 아직 잎이 다 자라지 않은 워싱턴 야자나무의 모습이 막 태어난 기관을 대변하는 모양새다. 제주 공항에서 제주 1132 도로를 타고 동쪽으로 약 40분을 달리면 김녕항과 월정리 해수욕장을 지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주국제해양과학연구지원센터(이하 ... ...
- 중국, 해양위성 활용 지속 증가 2015.11.12
- 중국 국가해양국은 지난 6월 15일 현재 ‘해양1호B’와 ‘해양2호A’ 위성을 궤도운영 중이며, 해양위성 지상응용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용 중이라는 내용을 담은 ‘2014년 중국해양위성운용현황’을 발표했다. 중국은 해양환경 보호, 해양재난 조기경보, 해양자원 개발과 관리, 해양권익 보호, 해양 ... ...
- 해양생물도 자원이다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2015년 6월,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에서 독특한 화보집을 냈다. 얼핏 보아서는 바다생물에 대한 화보를 담은 책같지만 다양한 종들에 대한 정보를 세세하게 담아 사실상 도감의 역할이 크다. 또한 어종별 어획고의 변화 양상과 생물자원 활용방안도 담겨 있어 수산자원에 대한 통계도 한 눈에 볼 ... ...
-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2015.11.02
- 박테리아가 있는 곳 어디서나 박테리오파지가 있다. - 펠릭스 데렐 필자가 예전부터 궁금한 게 하나 있다. 1960년대 미항공우주국(NASA)의 과학자들이 아폴로 11호의 달착륙선 이글(Eagle)을 설계할 때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 이하 파지)의 모습을 참고했을까 하는 점이다. 달 표면에 착륙한 달착륙선 ... ...
- 방사선 기술로 만든 화장품 쓰임새에 따라 유익한 방사선!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0.23
- 최근 건강과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노화와 주름을 막아준다는 각종 기능성 화장품이 각광받고 있다. 남성들이 피부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남성 전용 화장품도 인기다. 중국에서는 한국 화장품을 사재기하는 사람이 있을 정도로 인기가 매우 높다고 한다. 한국 화장품이 인기가 높 ... ...
- “막연하기만 했던 '환경'과 '에너지', 몸소 배웠죠”동아사이언스 l2015.10.22
- 7월 16일, 경기도 남양주금곡초등학교에서 진행된 '지멘스그린스쿨'에서 아이들을 지도한 대학생 봉사자들과 전문강사들. - (주)한국지멘스 제공 “단순한 지식봉사가 아니라, 다양한 체험학습을 통해 ‘환경’과 ‘에너지’의 중요성을 아이들 스스로가 깨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어서 더욱 의미 ... ...
- 반도체와 단백질로 물에서 수소를 생산한다동아사이언스 l2015.10.01
- 인공광합성에 대한 연구가 세계 각국에서 이뤄지고 있다. 그만큼 경쟁도 치열하다. 다양한 접근 방법으로 인공광합성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최근 국내 연구진이 단백질과 반도체 입자를 결합해 수소를 생산해내는 시스템을 개발해 화제가 됐다. 바로 서울대 재료공학부 남기태 교수 연구팀이다. ... ...
- 인공광합성공동연구센터, 미국 인공광합성 연구의 최전선을 가다2015.10.01
- 미국 인공광합성공동연구센터(JCAP)는 세계적 인공광합성 연구센터다. JCAP의 양대 센터 중 하나인 ‘버클리 랩(Berkeley Lab)’의 부서장 프랜시스 울 박사와의 e메일 인터뷰를 통해 인공광합성 연구의 최신 흐름을 들어봤다. 미국의 인공광합성 연구는 인공광합성공동연구센터(Joint Center for Artificial ... ...
- 한국도 인공광합성 연구로 달린다동아사이언스 l2015.08.20
- 최근 인공광합성 분야에서 국내 연구진의 활약이 눈부시다. 한국인공광합성연구센터가 앞장서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한국화학연구원, 서울대, KAIST, 경북대 등이 놀라운 성과를 내고 있다. 한국인공광합성연구센터에서 개발한 물 환원 전극과 이를 이용해 만든 수소 발생장치.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