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응용과학"(으)로 총 1,9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극 접착제 바꿔 전기차 배터리 용량 1.5배 '업'동아사이언스 l2025.07.30
- (왼쪽부터) 박수진 포스텍 화학과 교수, 한동엽 박사, 김성룡 통합과정생, 문홍철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포스텍 제공.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기존보다 1.5배 높이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번 충전으로 스마트폰을 좀 더 오래 사용하고 전기차를 보다 오래 주행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이다. ... ...
- 공작새 깃털로 레이저 만들 수 있다동아사이언스 l2025.07.29
- 공작의 꼬리 깃털은 색소 없이도 표면의 미세구조를 통해 선명한 파란색과 녹색 등 다양한 색을 낼 수 있다. 공작 깃털 표면 구조를 활용해 레이저를 구현할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공작은 수컷의 화려한 꼬리 깃털이 특징이다. 과학자들이 공작 꼬리 깃털 표면의 미세구 ... ...
- 반려견 사진 찍어 VR·AR에 '쏙'동아사이언스 l2025.07.24
- 주경돈 울산과학기술원(UNIST) 인공지능대학원 교수팀이 개발한 AI 모델 '도그리콘(DogRecon)'으로 개 사진 한 장만을 사용해 실내에서 움직이는 3차원 아바타를 생성한 모습. UNIST 제공 단 한 장의 사진만으로 반려견의 3차원(3D) 아바타를 만들어 움직임까지 구현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이 나왔다. ... ...
- 단백질·mRNA 필요할 때만 꺼내 쓰는 '릴리저'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5.07.23
- 왼쪽부터 이채연 KAIST 생명과학과 박사후연구원, 허원도 교수. KA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세포 내에 특정 단백질이나 유전정보 mRNA를 저장했다가 원하는 순간에 빛을 조사해 방출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단백질과 mRNA의 활용 시점을 정밀하게 조절해 신약 개발과 세포치료제 등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 ... ...
- 백민경 서울대 교수, APEC 아스파이어상 우승…AI 단백질 구조예측 기여동아사이언스 l2025.07.23
- 백민경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백민경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아스파이어상에서 최종 수상자로 선정됐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단백질 구조 예측 분야 기여로 생명과학 연구과 신약 개발에 획기적 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
- 붙였다 떼는 것만으로 전기 신호 만드는 필름동아사이언스 l2025.07.22
- 왼쪽부터 정훈의 교수, 이희진 연구원, 강동관 연구원, 강정화 연구원. UNIST 제공. 필름을 붙였다 떼는 것만으로도 전기 신호를 만드는 접착 필름이 개발됐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도둑이 문을 여는 순간 경고음이 울리고, 액자가 떨어지기 전에 스마트폰에 알림이 가는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울 ... ...
- 지질연, 동티모르 지구과학연구소와 11년 만에 교류 재개동아사이언스 l2025.07.22
- 21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동티모르 지구과학연구소(IGTL) 업무협약 체결 후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권이균 지질연 원장, 베네비데스 주한 동티모르 대사, 산토스 IGTL 소장. 지질연 제공 한국지질자원연구원(지질연)이 신흥 개발국 동티모르와 2014년 이후 11년 만에 지질조사·자 ... ...
- [재생의료 최전선]⑧ 파킨슨병 진행 되돌리는 세포치료제로 세계 시장 도전동아사이언스 l2025.07.18
- 조명수 에스바이오메딕스 연구소장이 인터뷰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 [편집자주] 첨단재생바이오법 개정안이 지난 2월 시행되면서 임상시험 목적으로만 허용되던 첨단재생의료가 치료 목적으로 활용 가능해졌다. 정부가 첨단바이오 기술을 국가 핵심전략기술로 지정하면서 ... ...
- 역대 세번째로 비싼 공룡 화석 팔렸다…무려 420억원동아사이언스 l2025.07.17
- 소더비 관계자가 16일(현지 시간) 경매 준비 과정에서 어린 세라토사우루스 골격을 다루고 있다. 에두아르도 무노즈/로이터 제공. 1억5000만년 전 육식 공룡 '세라토사우루스'의 화석이 경매에서 400억 원 넘는 금액에 팔렸다. 공룡 화석 경매 역사상 세 번째로 높은 금액이다. 뉴욕타임즈는 16일(현 ... ...
- 포스텍에 정년 70세 교수 4명 탄생…국내 첫 정년연장 조기결정제도동아사이언스 l2025.07.17
- 포스텍 캠퍼스. 포스텍 제공 교수들이 가장 크게 느끼는 불안 중 하나인 ‘정년 걱정’을 50세에 앞서 해소해주는 파격적인 제도가 국내 대학에서 처음으로 도입됐다. 포스텍은 국내 대학 최초로 ‘정년연장 조기결정제도’를 시행하고 첫 수혜자 4명을 선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정년연장 조기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