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동체
액체
유형
동체
뉴스
"
유체
"(으)로 총 411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침속 미세 침방울 60m이상 퍼져”
동아일보
l
2015.06.16
밝혔다. 연구 결과는 지난해 4월 영국 케임브리지대 출판사가 격주로 발간하는 학술지 ‘
유체
역학(Journal of Fluid Mechanics)’에 실렸다. 재채기를 하는 사람이 뿜어내는 비말과 연무질을 초고속 촬영한 결과, 크기가 5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이상인 비말은 곧장 땅에 떨어졌지만, 1μm 이하로 ... ...
[신문과 놀자!/별별과학백과]공기방울-분뇨로도 전기 만들어요
동아일보
l
2015.05.13
배터리로 쓸 수 있을 것”이라며 “균형을 잡기 위해 배 밑바닥에 싣는 물을 자기
유체
로 바꿔서 배에 전기를 공급하는 방법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 똥에서 모은 가스로 모터를 돌려 돌려∼ 소나 돼지가 배설한 똥을 발효시키면 소중한 전기 연료이자 ‘바이오가스’인 ‘메탄가스’를 얻을 ... ...
유리막대 안 들어가는 마이크로 시약은 어떻게 섞을까요?
2015.05.06
일으키고, 이로 인해 소용돌이가 생긴다. 이렇게 만든 소용돌이를 이용해 마이크로
유체
를 섞자 8㎛ 이내 공간에서 99% 이상 잘 섞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박 교수는 “고가의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한 공정으로도 마이크로 시약을 혼합할 수 있다”면서 “향후 마이크로 재생 에너지 발생, ... ...
노벨상 탄 ‘장소세포’, 공간 지각에도 관여한다
2015.05.04
영상의 아래 부분에는 자신과 똑같은 옷을 입은 사람의 몸이 나오게 했다. 마치 자신이
유체
이탈해서 다른 곳에 있는 자신을 보는 것처럼 느끼게 만든 것이다. 연구팀이 실험 참가자들의 위치를 계속 바꿔가면서 뇌가 자신의 몸이 마치 ‘순간이동’을 하고 있는 것처럼 느끼게 만들면서 실험한 ... ...
미래형 배터리 전기흐름 원리 찾았다
2015.04.15
없었다. 김 교수팀은 먼저 나노구조물 속에서 액체의 흐름을 관찰할 수 있는 나노
유체
역학장치를 만들었다. 이 장치를 이용해 실험을 계속한 결과, 액체와 고체의 접촉면에 생긴 전기층 내부로 흐르는 전류량이 액체를 따라 흐르는 전류량보다 훨씬 많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발견했다. 연구팀의 ... ...
AIDS 환자 위협하는 ‘작은와포자충’ 10분만에 찾아낸다
2015.04.15
중국 푸동대 생명의과학연구소 교수팀은 초소형 작은와포자충 진단장치을 개발해 미세
유체
역학분야 국제 학술지인 ‘바이오마이크로플루이딕스(Biomicrofluidics)’ 14일자에 발표했다. 작은와포자충은 사람의 호흡기와 장 점막에 붙어 살아가는 기생충으로 지름이 5~7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 ... ...
조조가 동탁 암살에 실패한 이유는 ‘입사각’과 ‘반사각’
2015.04.12
뇌과학의 미래를 조망한다. 또 과거에는 공상과학(SF)의 소재로만 여겨졌던 텔레파시와
유체
이탈 같은 현상에 대한 과학자들의 이해가 현재 어디까지 진척되었는지도 소개한다. 그리고 로봇에 마음을 불어넣으려 하는 각종 연구들을 통해 자신이 던진 질문인 ‘마음의 실체’에 대한 답을 ... ...
반도체 회로 3차원으로 그리는 방법 찾아냈다
2015.03.25
판 13일자로 게재됐다. 한편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를 2013년 작고한 콜로이드 및
유체
역학 분야의 대가였던 고(故) 양승만 KAIST 생명화학과 교수에게 헌정했다. 새롭게 개발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해 형성된 미세 구조의 모습. 뾰족하거나 둥근 3차원 구조를 자유롭게 깎을 수 있다. - ... ...
보글보글 공기방울에서 전기 만들었다
2015.03.03
바뀌고 그 영향으로 전기가 생산됐다. 연구팀은 “실험실에서는 3~5mL의 소량의 자기
유체
에서 발전을 했기 때문에 발전량이 많지 않았지만 1L 규모에서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켤 수 있을 정도의 전기를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송 교수는 “연구를 계속 진행하면 5년 내 상용화가 가능할 ... ...
산책 땐 ‘아메리카노’보다 ‘라떼’를…
2015.02.25
프린스턴대 연구팀은 액체 위에 얹은 거품이 액체의 움직임을 줄인다는 연구 결과를 ‘
유체
물리학회지(journal Physics of Fluids)’ 24일자에 발표했다. 에밀리 드레사이유 박사는 “라떼가 잘 넘치지 않는 현상을 보고 이번 연구의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밝혔다. 같은 연구팀의 알방 소레 박사는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