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동체
액체
유형
동체
뉴스
"
유체
"(으)로 총 411건 검색되었습니다.
입자물리,
유체
역학까지 동원… 과학자의 집회인원 계산법
2016.11.23
수 있는 독특한 계산법을 내놓고 있다. 입자물리 프로그램으로 촛불의 숫자를 세 보거나,
유체
역학을 이용해 군중의 이동속도를 계산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동원됐다. ●“촛불 숫자로 추정 가능… 입자물리 소프트웨어 응용했다” 박인규 서울시립대 물리학과 교수는 입자물리 실험에 쓰는 ... ...
곤충로봇 이용해 나방 날갯짓의 비밀 풀었다
2016.11.10
수조에서 곤충을 모방한 로봇이 날갯짓으로 소용돌이를 일으키며 전진하고 있다. 작은 사진은 날갯짓 로봇을 확대한 모습. 장조원 한국항공대 교수팀 ... 기기를 개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유체
역학저널’ 3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2016년 마블 최고의 기대작 ‘닥터 스트레인지’ 그는 누구인가? 캐릭터 전격 분석!
2016.10.25
몸을 빠져 나오는 장면이 등장한다. 히어로가 된 이후에는 닥터 스트레인지 스스로
유체
이탈 능력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3) 에너지 블라스트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제공 슈퍼 히어로라면 흔히 갖고 있는 능력이다. 예고편을 보면 닥터 스트레인지의 손에서 불꽃과도 같은 에너지 ... ...
[2016 노벨 물리학상] 평평한 2차원에서 일어나는 기묘한 현상
2016.10.05
사실로 드러나면서, 응집물질물리학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양자홀
유체
와 자성을 띄는 원자의 사슬 모두 이 새로운 유형의 위상상태에 포함된다. 이후 연구자들은 일차원 실이나 이차원의 얇은 판 구조뿐만 아니라 3차원 구조를 갖는 물질에서도 몇 가지의 새로운 위상 상태를 ... ...
유사 블랙홀로 호킹복사 관찰했다!
2016.08.29
가두는 블랙홀이다. 여기에서는 중력 대신
유체
의 흐름이, 광자 대신 포논이 등장한다.
유체
의 흐름을 강물의 흐름으로, 음파를 물고기로 표현한 그림을 보자. 강물을 거스르는 물고기의 속도에는 한계가 있다. 상류에서는 물의 흐름이 느려 물고기는 이를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그런데 중간에 ... ...
온 몸이 문어처럼 움직인다고? 초소형 소프트 로봇 개발
2016.08.25
25일자에 발표했다. 옥토봇은 살아있는 생물처럼 몸속에 액체와 기체가 흐르는 ‘미소
유체
논리회로’로 작동한다. 백금(Pt) 촉매로 과산화수소수를 분해시켜 발생하는 산소 기체의 압력(평균 0.01기압)이 동력이다. 소량의 과산화수소수만 보충해 주면 배터리가 따로 필요 없다. 소프트 로봇은 ... ...
화성탐사에 활용 가능한 ‘휴대용 제약공장’ 개발
2016.07.31
있다. 효모를 특정 화학 물질에 노출시킬 경우 약물 단백질 1회분을 합성할 수 있다. 미세
유체
칩은 산성도(pH), 온도, 산소량 등을 세포가 살기 적합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진은 반응기 속 효모에 ‘에스트로겐 베타(β)-에스트라디올’이란 화학물질을 넣자 재조합 인간 성장 ... ...
바닷물에서 리튬 금속 이온만 쏙 빼내
2016.06.20
일어날 수밖에 없어서 이온을 정밀하게 포집하는 데 한계로 작용했다. 연구진은 나노
유체
역학장치를 이용해 액체에 강한 전기장을 국부적으로 발생시키는 방식을 택했다. 그 결과 수화된 이온에서 물분자가 벗겨지면서 이온 이동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활용해 리튬, ... ...
어른보다 어린이가 더 똑똑한 ○○○?
2016.06.09
어떨까요? Julia Loepelt 제공 뉴질랜드의 웰링턴빅토리아대의 연구진은 카카앵무새의
유체
가 같은 지역의 성체보다 문제해결능력이 더 뛰어나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연구진은 뉴질랜드 북섬 웰링턴에 위치한 ‘질란디아 생태보호구(Zealandia Sanctuary)’에 서식하는, 태어난 지 4개월에서 13년 된 ... ...
1만 분의 1초 ‘찰나’의 화학반응 조절
2016.05.06
포항공대 교수. - 포항공대 제공 김동표 포스텍 미세
유체
응용화학연구단 교수팀이 1만 분의 1초 수준으로 화학반응이 ‘찰나’에 일어나도록 돕는 3차원 반응기를 개발해 세계적인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 6일자에 발표했다. 여러 종류의 화학 물질을 섞어 새로운 화합물을 만들 때 반응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