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동체
액체
유형
동체
뉴스
"
유체
"(으)로 총 429건 검색되었습니다.
층간소음 원천봉쇄 가능해졌다
2015.02.11
기계硏 연구팀이 새롭게 개발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기술을 설명하고 있다 -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제공 최근 ‘층간소음’은 살인사건까지 유발하는 등 이웃간 갈등의 큰 원인이 되고 있다. 국내 연구진이 층간소음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기계연구원 초 ... ...
액정 모니터는 네모에 딱딱하다고?
2015.01.29
핵심 재료로 폭넓게 연구되고 있다. 연구팀은 머리카락 굵기의 모세관으로 제작한
유체
소자를 이용해 기름과 물, 액정의 이중구조를 만들고 자외선을 쏘여 캡슐을 만들었다. 가운데 액정을 물로 둘러싼 구조다. 이렇게 만들어진 캡슐은 액체처럼 유연하면서도 공기 중에서 안정적인 ... ...
손톱만한 실험실을 만드는 그녀
동아사이언스
l
2015.01.16
저널은 영국왕립학회에서 발간하는 화학, 물리학, 생물학 및 바이오공학을 위한 미세
유체
기술과 마이크로타스 분야의 전문 국제학술지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저널 편집위원으로서 랩온어칩 분야의 논문 심사와 편집 방향에 대한 자문을 하게 됐어요. 우리나라 대표로 참여하게 되어 뿌듯한 ... ...
NASA, 토성 거대 구름 공개…크림 녹는 듯 한 형상
동아닷컴
l
2014.11.26
과 비교하면 상상을 초월하는 크기다. 나사는 “토성 구름 사진은 가스형 행성의 대기내
유체
움직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지구의 허리케인과 유사한 토성의 극소용돌이는 무려 10년 이상은 지속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카시니호는 1997년 지구를 떠나 2004년 토성 궤도에 안착해 선회비행을 ... ...
‘한국판 퀴리 부인’ 찾아보니…
2014.10.17
평가받는다. 화학과 출신인 정 연구원이 현재 공동연구를 하고 있는 사람들은
유체
역학 전공자, 물리학자, 공정 장비 기술자 등 다양하다. 그는 “미국에서 물리학자가 대부분인 조직에서 연구하면서 다른 분야 전문가들과 소통할 때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음을 경험했다”고 말했다. 그는 ... ...
“학부 3학년부터 실험실 생활 시작했죠”
2014.09.24
4학년 학생(23·사진)이 같은 과 김근형 교수팀의 지도를 받아 진행한 연구 논문이
유체
-플라스마 분야 상위 10%에 속하는 학술지 ‘플라스마 가공과 고분자’ 17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고 24일 밝혔다. 학부생이 연구에 참여하는 경우는 종종 있지만 연구를 주도해 주요 학술지에 제1저자로 논문을 ... ...
로켓 소녀에서 국가 안보 지킴이로
동아사이언스
l
2014.09.02
활동 등에도 빠지지 않고 더 열심히 학교 생활을 했다.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기계공학 열
유체
전공을 마친 송 연구원은 대다수의 여성 과학자들이 택하는 국공립연구소나 대학이 아닌 기업을 택했다. 실질적인 결과물을 바라는 민간 기업에서 본인이 연구 결과를 바로 실험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 ...
골프공 구멍, 그렇게 중요했어?
과학동아
l
2014.07.16
성 교수는 스포츠 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체
역학을 설명하고, 더욱 좋은 기록을 위해
유체
역학을 스포츠에 응용하는 사례를 다양하게 소개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대구 달성초등학교 정재훈 교사가 ‘발명 아닌 발명!’이라는 제목으로 도입강연을 진행한다. 한국연구재단은 ‘금요일에 ... ...
노벨상 수상자들의 ‘반전’ 매력에 풍덩
과학동아
l
2014.07.04
사라지는 초
유체
의 존재를 예측해 2003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앤서니 레깃 박사는 초
유체
에서 원자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해 마치 힙합가수처럼 양손 검지를 위로 치켜 올렸다. 그림을 들고 있을 손이 없자 전지를 치마처럼 허리에 둘둘 감아 테이프로 고정시켰다. KAIST 총장을 지낸 ... ...
설익은 바이오 미세
유체
기술
과학동아
l
2014.03.16
동영상을 첨부해 이해를 도왔다. 또 사이언스는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마이크로
유체
역학실험실 김호영 교수팀이 관찰한 흥미로운 표면장력 작용 사례를 동영상과 함께 소개하기도 했다. 연구팀은 쌍떡잎식물 펠라르고늄(Pelargonium) 씨앗에 수염처럼 달려있는 까끄라기가 습도 변화에 따라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