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문하면 답해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감싸는 씨방이 자라 열매가 되면 ‘참열매’, 씨방 이외에 꽃받침, 또는 꽃을 구성하는 모든 부분이 붙어 있는 꽃턱 같은 다른 구조물이 발달해서 만들어진 열매를 ‘헛열매’라고 합니다. 우리가 자주 먹는 감, 수박, 복숭아 같은 과일이 참열매에 속하고, 사과나 석류 등은 헛열매입니다. 딸기는 ... ...
- 모트모트 콜라보 노트 사용후기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과학동아가 문구 브랜드 ‘모트모트’와 함께한 두 번째 콜라보레이션 제품 ‘과학덕후 세트 2탄’이 출시됐습니다. 벌써 노트 사용후기가 속속 들 ... 쓰여있는 “DARE MIGHTY THINGS”란 문구는 꿈을 향해 치열하게 노력하고 있는 저와 다른 모든 고등학생들에게 어울린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달 천문대에서 은하를 보는 날이 온다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최애 은하’ 시리즈를 아껴주신 독자 분들, 그리고 앞으로 이어질 이야기를 읽어주실 모든 분들의 심장 속엔 지구를 넘어서 화성, 목성, 명왕성을 아우른 은하 스케일의 감수성이 깃들, 넓고 거대한 자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모두 밀키웨이인입니다! 지웅배 고양이와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텅 빈 초경량 금속, 에너지 절약 이끌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자제한다면 우리나라만 계산해도 1년에 수십조 원의 기름값을 절약할 수 있다. 물론 전국 모든 운전자의 습관을 바꾸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재료공학자들은 엔진의 열효율을 높이거나(3월호 ‘초내열성 금속’편 참고) 차체를 가볍게 만들어 에너지 소비를 줄일 방법을 찾고 있다. 우리가 ... ...
- [과동키즈] 누구나 자신만의 북극성이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미래의 우리 사회는 어떨지 흥미로운 이야기로 가득했어요. 20년이 지나니 정말 모든 사람과 물건이 인터넷으로 연결되고 전기차가 다니는 세상이에요. 처음 영재학교에 입학했을 때는 마냥 신났어요. 전국에서 모인 과학을 좋아하는 친구들이라 말이 잘 통했거든요. 가령 저는 자동차 번호판을 ... ...
- [SF 소설] 그라비토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그저 그들의 시간이 이곳과 비교도 안 되게 느리게 흐른다는 것이며 에그를 파괴한다면 모든 것이 일상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사실이었다. 시간의 간극이 너무 멀어지지 않도록 서둘러야 한다고들 말했다. 자칫 잘못하면 저 안에 있던 이들이 다시 세상의 흐름에 들어왔을 때는, 모두가 이미 사라진 ... ...
- [출동, 슈퍼M] 색종이는 왜 정사각형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모양이에요. 가로와 세로 길이가 각각 15cm인 색종이가 가장 많지요. 그런데 모든 색종이의 크기가 똑같은 것은 아니에요. 가로와 세로 길이가 각각 7.5cm로 일반 색종이보다 더 작은 색종이도 있지요. 종이학을 접을 때 주로 사용하는 색종이는 가로와 세로가 모두 5cm인 정사각형으로 그보다 더 ... ...
- [통합과학 교과서] 거울 나라의 우유는 마실 수 없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거울 나라에서 웬 배달을…?”“네. 여기 놓인 우유를 마시려고 했는데, 거울 나라는 모든 게 반대라면서 먹을 수 없다고 하더라고요. 탐정님은 혹시 이게 무슨 뜻인지 아시나요?”“그럼요. 거울 나라에서 우유를 마시지 못하는 이유는, 이성질체, 정확히는 ‘거울상 이성질체’ 때문입니다.”처음 ... ...
- 게임 회사에서 언어 AI 연구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3년 06호
- 크래프톤의 자연어 처리 및 음성팀은 어떤 일을 하나요? 기쁨 크래프톤에서 일하는 모든 사람이 업무를 좀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돕는 ‘언어 AI’를 연구하고 있어요. 회의록을 작성할 때나 외국인 직원과의 소통을 위해 통역이나 번역을 해야 할 때 지금은 시간이 꽤 걸려요. 하지만 언어 ... ...
- [러셀 탐구생활] 러셀의 삶을 뒤흔든 역설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일으킨다면 칸토어의 집합론을 폐기할 수밖에 없지요. 이것은 집합론을 토대로 하는 모든 수학적 성과가 무너짐을 의미했습니다. 이 역설에 가장 큰 타격을 받은 사람은 독일의 수학자이자 논리학자인 고틀로프 프레게였습니다. 당시 프레게는 집합론으로 산술의 기초를 정립하는 일생일대의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