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5년 후, 과학은] 맞춤형 치료의 새로운 열쇠, 장내미생물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이뤄졌습니다. 그런데 2000년대 들어 차세대 염기서열분석법(NGS)이 발전하면서, 장 속 모든 미생물의 유전체 염기서열 정보를 한 번에 해독해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적 방법으로 분석하는 방식이 장내미생물 연구의 주류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를 메타지노믹스(metagenomics)라고 부릅니다. 몸속 ... ...
- [이달의 책] “과학은 나침반보다 집에 가깝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이 책을 쓴 카밀라 팡은 다섯 살에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진단받고 오랫동안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범불안장애, 강박장애, 감각처리장애와 함께 ... 필요한 것들이 무엇인지 말하는 건, 타인들이 당신과 함께 나아가는 데 도움이 됩니다. 모든 사람은 그것을 표현할 권리가 있습니다 ... ...
- [미궁 1004] 천사 173-1호수학동아 l2023년 07호
- 따라 우주복을 입는다. 그런데 밖으로 통하는 에어록을 열려고 하니, 암호로 잠겨있다. 모든 일이 끝난 뒤 티티르와 소녀는 다시 하늘과 땅을 잇는 엘리베이터를 타고 지상으로 내려온다. 임무를 마친 소녀, 아니 천사 173-1호는 티티르와 함께 지상에 머물며 인류에게 고대 문명의 지식을 ... ...
- [전지적 독자 시점] “작년 누리호 포스터가 인상깊었어요! 이번 기사도 기대돼요!”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많다는 뜻이겠죠. 김태희 기자가 현장 취재를 갔고, 서울에 있는 편집부도 성공 여부에 모든 촉각을 기울였습니다. 발사가 실패하면 기사를 미뤄야 하는 거 아니냐는 (농담 아닌) 농담도 하면서 말이죠. 나머지 하나는 코앞에 다가온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우리의 실생활, 건강과 연결되는 주제인 ... ...
- [뉴스&인터뷰] 키를 결정하는 80%의 비밀...유전자 읽어 미래 키 알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반대도 아니었습니다. 박 교수의 대답을 그대로 실으며 기사를 마칩니다. “생명체의 모든 형질(외모, 성격, 질병감수성 등)은 유전자의 영향을 받습니다. 그러나, 유전자만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유전자의 발현은 후성유전체에 의해 후천적으로도 조절되며, 후성유전체는 잘 변하지 않는 ... ...
- [지웅배의 최애은하] 암흑물질의 비밀을 관통한 총알 은하단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중력으로 은하 속 별들을 붙잡아주는, 은하 생성의 가장 중요한 재료다. 우주의 거의 모든 은하는 이 미지의 암흑물질을 가득 머금고 있다. 그런데 암흑물질이 전혀 없는, ‘암흑물질 프리(Dark Matter Free)’ 은하라니 이것이 대체 어떻게 가능할까? 비밀을 파헤치려면 우선 각 꼬마 은하까지의 정확한 ... ...
- [과학동아 키즈] "힘든 양자통신에 도전한 이유요? 그냥 좋아하니까요"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내가 과학을 좋아한 건 언제부터였을까? 어린 시절 기억을 더듬어봐도 아빠가 사다주신 어린이용 영어 교재나 천자문 정도 외에는 떠오르지 ... 상상해본다. 그리고 좋아하는 과학을 향해 각자의 속도로 꾸준히 나아가는 이 세상 모든 전공자들을 떠올려 본다. 진심으로 응원하는 마음으로 ... ...
- 우리 동물원, 어떻게 고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검사관이 직접 방문해서 동물원을 평가할 예정입니다. 마 교수는 “수 천 종이 넘는 모든 동물마다 평가기준을 하나하나 명확하게 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검사관이 필요한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동물원을 평가한 검사관은 우선순위에 따라 고칠 부분을 안내해 동물원이 더 나아질 ... ...
- [러셀 탐구생활] 천재는 하나의 신화일 뿐이다수학동아 l2023년 07호
- 점에는 이견의 여지가 없습니다. 그럼에도 수학자들은 수학을 사랑합니다. 그 모든 괴로움을 짊어질 가치가 있을 만큼 수학은 우아하고 근사한 학문이기 때문입니다. 의 집필이 끝난 1910년, 러셀에게 논리학은 철천지원수였습니다. 그러나 어린 시절부터 수학에 매료된 그는 논리학을 ... ...
- 팩트체크5. 방사성 물질이 가라앉아 해저에 축적된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교수는 “방사성 원소가 무겁다고 반드시 가라앉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해양의 모든 원소는 퇴적물로 가라앉는 입자(먼지, 생물 사체 등)와의 흡착 성질에 따라 100만 년 이상 해수에 녹아 있기도 하고, 수년 내 가라앉기도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우라늄은 아주 무거운 원소이지만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