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뉴스%인터뷰] 독사 어금니 모방한 주사기로 코로나19 백신 맞는 날 올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신경세포가 정확히 어떤 메커니즘으로 작동하는지를 연구한 것이다. 그 결과 우리 몸의 모든 신경세포는 전기신호의 강약을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신호의 발생 빈도(주파수)를 통해서 감각을 느낀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신경세포는 아날로그 신호 체계가 아니라 디지털 신호 체계인 전기 ... ...
- [뉴스&인터뷰] 내핵 속에 핵이 하나 더? 교과서에 없는 지구 속 구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본 적 있을 것이다. 그런데 정말 지구 내부 구조가 이렇게 단순하고 깔끔하게 생겼을까? 모든 과학이 그렇듯 우리가 상식처럼 여겼던 지식은 지금 이 순간에도 조금씩 바뀌고 있다. 지질학자들과 함께, 생소한 지구 속으로 여행을 떠나보자. “이곳이 대전 지진 관측소입니다. 별 거 없죠?” 조창수 ... ...
- [러셀 탐구생활] 천재는 하나의 신화일 뿐이다수학동아 l2023년 07호
- 점에는 이견의 여지가 없습니다. 그럼에도 수학자들은 수학을 사랑합니다. 그 모든 괴로움을 짊어질 가치가 있을 만큼 수학은 우아하고 근사한 학문이기 때문입니다. 의 집필이 끝난 1910년, 러셀에게 논리학은 철천지원수였습니다. 그러나 어린 시절부터 수학에 매료된 그는 논리학을 ... ...
- [에디터 노트]막을 수도 피할 수도 없다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흔들리는 걸 느꼈거든요. 김 기자가 취재한 과학자들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거의 모든 인터뷰이들이 “확률적으로는 안전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로 말문을 뗐습니다. 확률적 분포에 대한 직관이 고도로 발달한 사람들도 판단이 쉽지 않은 문제란 뜻입니다.이런 상황에서 과학동아는 어떤 역할을 ... ...
- 팩트체크5. 방사성 물질이 가라앉아 해저에 축적된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교수는 “방사성 원소가 무겁다고 반드시 가라앉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해양의 모든 원소는 퇴적물로 가라앉는 입자(먼지, 생물 사체 등)와의 흡착 성질에 따라 100만 년 이상 해수에 녹아 있기도 하고, 수년 내 가라앉기도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우라늄은 아주 무거운 원소이지만 ... ...
- [2039:화성 일 년 살기]상추로 우주의 평화를 수호하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밖에서 농사를 지을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내는 것이다. 5년 전에 달에 세운 기지는 모든 식량을 지구에서 공수했다. 달에서는 식량이 부족해지더라도 긴급한 경우라면 5일 이내에 직접천이방식(direct transfer・대량의 연료를 소모하면서 빠르게 목표 천체로 접근하는 방식)으로 식량을 공급받을 수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 진화된 로봇 군단 현실에서 얼마나 구현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사막에서 걸을 때와 단단한 아스팔트 도로에서 걸을 때가 다른 것처럼, 로봇은 이런 모든 상황에 대한 학습이 필요합니다. 이런 학습엔 인공지능(AI) 기술까지 필요합니다. 김 교수팀은 미니 치타를 빠르게 학습시키기 위해 ‘강화학습’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다양한 상황을 주고 AI가 해결을 ... ...
- [과학동아 키즈] "힘든 양자통신에 도전한 이유요? 그냥 좋아하니까요"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내가 과학을 좋아한 건 언제부터였을까? 어린 시절 기억을 더듬어봐도 아빠가 사다주신 어린이용 영어 교재나 천자문 정도 외에는 떠오르지 ... 상상해본다. 그리고 좋아하는 과학을 향해 각자의 속도로 꾸준히 나아가는 이 세상 모든 전공자들을 떠올려 본다. 진심으로 응원하는 마음으로 ... ...
- [오늘부터 우리는! 행복한 동물원] 동물을 보러 동물원 가도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동물의 이익과 인간의 이익을 같은 정도로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고, 모든 동물들마다 주체적인 삶을 존중해 인간과 차별하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어요. 우리가 알아두어야 할 점은 ‘사람이 동물을 이용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과학적인 해답이 있는 게 아니라 철학적인 ... ...
- 질문하면 답해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감싸는 씨방이 자라 열매가 되면 ‘참열매’, 씨방 이외에 꽃받침, 또는 꽃을 구성하는 모든 부분이 붙어 있는 꽃턱 같은 다른 구조물이 발달해서 만들어진 열매를 ‘헛열매’라고 합니다. 우리가 자주 먹는 감, 수박, 복숭아 같은 과일이 참열매에 속하고, 사과나 석류 등은 헛열매입니다. 딸기는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