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측"(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사람을 대신하는 AI 비서의 세계수학동아 l2021년 05호
- 고려하기 위해 확률 모형을 세워야 해. 이 과정에서 관심있는 사건을 풀기 위해 AI가 관측한 데이터를 확률변수 X로 표시해. 데이터에 따라 변하는 값이지. 또 각각의 확률 모형을 설정하기 위한 변수를 Y로 써볼게. AI가 알고리듬에 적용된 확률 모형을 학습한다는 것은 데이터 X를 가장 잘 설명하는 ... ...
- [이달의 책] 인공위성과 함께 세계 여행을 떠나보자 외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아직 없다는 생각에서다.1992년 과학실험 목적의 우리별 1호를 발사한 이래 꾸준히 지구관측위성, 기상위성 등 인공위성을 개발 중인 한국은 세계에서 열 손가락에 꼽히는 우주 강국이지만, 아직 위성의 능력을 제대로 모르는 사람들이 더 많다. 이 책은 빅데이터 분석 등 최신 기술이 접목되며 더욱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오토마타로 배운다! 행성의 겉보기운동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내행성, 지구보다 먼 행성을 외행성이라 하지요. 매일 밤 같은 시간에 밤하늘의 천체를 관측하면 각 천체들은 전날보다 조금씩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해 있어요. 하지만 행성들이 지구, 태양과 어떤 순서로 배열됐는지에 따라 특이한 움직임을 보이기도 해요. 내행성은 지구와 태양 사이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행성, 수성을 만나 봐요! 3월 6일 새벽엔 동쪽 하늘에서 태양계 첫 번째 행성인 수성을 관측할 수 있어요. 이날은 수성의 서방의 최대이각으로 태양과 약 27°를 이루거든요. 최대이각은 수성이나 금성같은 내행성이 지구, 태양과 이루는 각도의 최댓값을 말해요. 이때가 되면 각 행성이 태양과 가장 ... ...
- [기획] 순간 포착! 빛이 번쩍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꼭대기에서 10μs(마이크로초·1μs는 100만 분의 1초) 동안 밝게 빛나는 푸른빛의 섬광*을 관측했다”며, “이 제트가 고도 약 52km까지 솟아올랐다”고 설명했습니다. 용어정리*방전 : 전기를 띠고 있는 물체가 전기를 잃는 현상.*섬광 : 짧은 순간에 발생하는 강력한 빛 ... ...
- [핫이슈] 지 프라임? 렙토쿼크? 새 입자가 LHC 실험결과 설명할까과학동아 l2021년 05호
- CERN) 거대강입자충돌기(LHC)의 4개 검출기 중 LHCb를 이용해 B중간자(B meson)의 붕괴를 관측하던 중 발견됐다. B중간자는 6종류의 쿼크 중 바닥 쿼크(bottom quark)를 포함해 총 2개의 쿼크로 이뤄진 입자다. B중간자는 다양한 경로로 붕괴하는데, 그 중 매우 드물게 또 다른 중간자인 K중간자로 붕괴하면 ... ...
- 가깝고도 먼 친척 인류...수수께끼 속 인류 데니소바인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외형을 DNA 해독 결과로 추정한 연구가 1위를 차지했다. 최초의 블랙홀 그림자 관측과 40년 만에 개발된 에볼라 치료제 등 그해에 발표된 굵직한 이슈를 제친 결과다. 고인류학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을 확인시켜줬다는 평가가 나온다. 하지만 이런 관심에도 불구하고 데니소바인의 정확한 정체는 ... ...
- [특집] 핵심만 쏙 뽑은 확률의 기본 개념수학동아 l2021년 05호
- 확률분포를 갖습니다. 이를 사전 분포라고 합니다. 아래 식처럼 우리가 현실에서 관측한 데이터와 직접 설정한 사전 분포에 따라 구한 사후분포의 값이 우리가 찾으려는 값입니다. 이때 분모에 있는 모든 데이터가 가질 확률의 합을 계산하기가 어려워 이를 쉽게 하기 위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 ...
- 2021 달라진 밥상 위의 물고기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울진 부근까지 최대 342km 북상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198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관측된 여름철 수온 22℃ 등온선과 겨울철 수온 12℃ 등온선의 위치가 점차 고위도로 옮겨갔다며, 고위도의 해역이 점차 따뜻해지자 소라 서식 분포도 함께 변했다고 설명했다. doi: 10.3390/jmse8100782비슷한 경향이 밥상 ... ...
- [수담수담] 엔지니어, 개발자에 이어 천체사진가까지 직업을 바꿔도 수학은 항상 내 곁에!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최초의 천체사진가인 권오철 작가님은 세계를 돌아다니며 해와 달, 별 등을 품은 하늘을 관측해 사진으로 남깁니다. 하지만 이 직업을 갖기까지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야 했는데요, 3월 10일 수요일에 방영된 tvN 예능 프로그램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출연해 풀어놓았던 짧은 이야기를 자세히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