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동키즈] 어린 날에 바라보던 저 달은 여전한데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근처에서 시간당 1000개 가까운 유성우가 떨어질 거라던 밤이었다. 나를 포함한 천체
관측
부원 모두 어쩌면 일생에 마지막일지도 모를 우주쇼를 놓칠 수는 없었다. 말그대로 ‘비오듯’ 쏟아지는 유성우의 모습은 상상만 해도 황홀했다.수능을 보지 않는 학년이었던 우리는 부모님을 설득해 새벽 내내 ... ...
사람 발길 닿지 않는 곳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평가했다. doi: 10.1038/ncomms12558인간발자국 점수는 지난 10년간 더 정교해졌다. 인공위성
관측
기술이 향상됐고, 더 정확하고 세밀하게 나뉜 자료들이 나왔다. 지난해 6월 미국 내셔널지오그래픽협회(NGS)와 미국 매릴랜드대 연구팀은 인간발자국을 포함한 4개의 통합자료를 토대로 인간의 영향을 나타낸 ... ...
[SF소설] 랄로랑이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 카론이 화면 위로 가운데가 움푹 내려간 선이 그려진 그래프를 보여준다. 「처음
관측
한 건 25년 전이지만 태양이 너무 어둡고 물리량을 특정하기도 어려워서 결론을 내는 데 오래 걸렸어요. 하지만 확실해요. 이 그래프의 곡선은 4만 9000광년 너머에 있는 지구가 태양 앞을 지나가면서 그린 거예요 ... ...
[한페이지 뉴스] 화성 5만 년 전에도 화산 폭발, 생명체 존재 가능성 높여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그 위에는 화산 퇴적물이 약 17.3km 너비로 분포해 있었다. 이는 화성 어떤 곳에서도
관측
할 수 없는 지형으로, 오히려 달이나 수성 표면과 더 비슷했다. 연구팀은 추가로 물질의 특성과 구성 및 분포를 조사했고, 그 결과 약 5만 3000년 전 폭발한 화산 활동에서 비롯된 지형임을 밝혔다. 당시 화산재는 ... ...
[이달의 우주날씨] 6월 금환일식! 한국에서도 볼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일식과 월식 현상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독자는 얼마나 있을까요? 6월 10일에는 달이 태양의 일부를 가려 하늘에 금가락지 모양을 만들어 ... 볼 수 있을 예정이에요. 또 2035년에는 약 150년 만에 강원도 일부 지역에서 개기일식을
관측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니 많이 기대해 주세요 ... ...
거대강입자충돌기, 빅뱅에 다가간 10년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스위스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인 제네바에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가 위치하고 있다. 우주 연구기관을 언급할 때 미국항공우주국(NASA)을 가장 먼저 꼽듯 입자나 핵 등 ... 쉽게 찾아 볼 수 없는 ‘실험적 강입자’다. 또한 입자의 질량이 클수록 빨리 붕괴해
관측
이 어렵다 ... ...
[특집] 핵심만 쏙 뽑은 확률의 기본 개념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확률분포를 갖습니다. 이를 사전 분포라고 합니다. 아래 식처럼 우리가 현실에서
관측
한 데이터와 직접 설정한 사전 분포에 따라 구한 사후분포의 값이 우리가 찾으려는 값입니다. 이때 분모에 있는 모든 데이터가 가질 확률의 합을 계산하기가 어려워 이를 쉽게 하기 위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 ...
[논문탐독] 오류에서 찾은 혁신의 실마리 주사터널현미경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1m)입니다. 독일의 물리학자 에른스트 아베가 만든 공식에 따르면 광학현미경이 구분해
관측
할 수 있는 물체의 최소 크기는 파장의 절반입니다. 약 250nm보다 작은 크기의 대상을 가시광선으로 관찰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광학현미경의 렌즈를 아무리 조합해도 0.1nm 수준인 원자의 이미지는 얻을 수 ... ...
[기획] 순간 포착! 빛이 번쩍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꼭대기에서 10μs(마이크로초·1μs는 100만 분의 1초) 동안 밝게 빛나는 푸른빛의 섬광*을
관측
했다”며, “이 제트가 고도 약 52km까지 솟아올랐다”고 설명했습니다. 용어정리*방전 : 전기를 띠고 있는 물체가 전기를 잃는 현상.*섬광 : 짧은 순간에 발생하는 강력한 빛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오토마타로 배운다! 행성의 겉보기운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내행성, 지구보다 먼 행성을 외행성이라 하지요. 매일 밤 같은 시간에 밤하늘의 천체를
관측
하면 각 천체들은 전날보다 조금씩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해 있어요. 하지만 행성들이 지구, 태양과 어떤 순서로 배열됐는지에 따라 특이한 움직임을 보이기도 해요. 내행성은 지구와 태양 사이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