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책 읽는 서울대 과학영재교육센터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정리했다. 한 예로 센터는 수학 관련 도서로 선정된 ‘박사가 사랑한 수식’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서울 어디서나 영재 발굴현재 센터에는 서울 곳곳에서 온 학생들이 모여 있다. 한때는 경제적으로 부유한 지역교육청에서 온 학생이 80%를 넘은 적이 있었다. 해당 지역의 학생은 이전부터 ... ...
-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단백질 전체의 기능과 구조를 밝히는 학문이다.“인간게놈 연구는 선진국이 주도했지만 다음 세대인 단백질 연구는 우리가 앞장서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지난 1999년, 아시아 최초로 프로테오믹스 연구기관인 연세프로테옴연구원을 세웠습니다.”국내 프로테오믹스 연구 ... ...
- 올 여름엔 김떡과 아이스떡볶이 맛볼까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멥쌀을 물에 불려 물기를 없앤 뒤 쌀가루로 빻는다. 여기에 물을 부어 반죽으로 만든 다음 고압 스팀기에서 찐다. 여기까지는 일반 떡을 만드는 방법과 같다. 하지만 한 박사팀은 반죽을 펀칭한 뒤 가래떡 성형기로 길게 뽑아냈다. 이렇게 만든 떡은 기대했던 대로 오랫동안 말랑말랑함을 유지했다. ... ...
- 새처럼 노래하는 쥐, 있다?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쥐가 유전정보 물질인 DNA를 잘못 복제하도록 해서 돌연변이 쥐를 만들었어요. 그런 다음 돌연변이 쥐끼리 교배시켜 어떤 특성을 가진 자식 쥐가 태어나는지 관찰했지요. 새 소리를 내는 쥐는 돌연변이 가운데 우연히 발견된 것으로, 새 소리를 내는 쥐는 어미 쥐와 같은 특성을 가진 아기 쥐를 ... ...
- 화학 - 생명의 근원 ‘물’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지구의 생명은 바다에서 탄생한 것으로 본다. 외계 행성에서 생명체의 흔적을 찾을 때 먼저 물이 존재하는지 살펴보는 것도 물이 생명체에 필수적인 물질이기 때문이다. 다음에서 설명하는 물의 특이한 성질을 참고해 실전 문제에 임해보자. ...
- 통합과학 논술 - 수분 포텐셜이 일어나는 이유과학동아 l2011년 02호
- 기공이 열리고 팽압이 낮아지면 기공이 닫힌다. 기공을 구성하는 공변세포의 그림은 다음과 같다. 수분이 부족할 경우 앱시스산이라는 호르몬에 의해 기공은 신속히 닫힌다. 그림(a)와 (b)는 기공개폐시 공변세포의 변화와 K+의 역할을 나타낸 것이다. 1) [난이도 중] 제시문 (가)는 신장의 구조와 ... ...
- Facebook, for social lives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나라였다면 중국과 인도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국가가 될 것이다.저커버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우리는 세계에 있는 것을 모방하고자 한다. 세계에는 신뢰가 존재한다. 따라서 핵심적으로 우리가 모방하려는 것은 그 모든 신뢰적 인간관계, 즉 ‘우정’이라 불리우는 것이다.” 그는 이 ... ...
- Part 2. 기막힌 운이 승리를 가져다준 쌍륙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자기편 안육(오른쪽 위 6칸)에, 검정편은 자기편 안육(왼쪽 위 6칸)에 말 15개를 모두 모은 다음, 안육의 一(일) 밖(종착지)으로 내보내면 이긴다. 건너편 말은 상대의 바깥육(아래쪽)으로 옮겼다가 자신의 바깥육을 거쳐, 다시 자신의 안육으로 옮긴다.규칙 ⑤ 가려는 자리에 상대방 말이 1개 있으면 ... ...
- 공주는 왜 해적이 됐을까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자, 꼬마 선생. 이것도 척척 풀어주게.” 자물쇠에는 똑같은 수식이 두 개가 있다. 예 다음의 첫 번째 식은 세 칸을 지워서, 두 번째 식은 다섯칸을 지워서 올바른 수식을 만들어야 한다. 이때 숫자는 물론 연산 기호가 있는 칸도 지울 수 있다.“약속했던 것은 잊지 않았겠죠? 보물 확인은 우리가 ... ...
- 왜 0으로는 나눌 수 없나?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어떤 수를 0으로 나누기 전에 다른 수로 나눠 봐요. 그 다음, 나누는 수는 점점 작은 수로 선택합니다. 0으로 나누면 어떻게 될지 상상하면서 말이에요. 1÷0.1=10, 1÷0.01=100, 1÷0.001=1000, 1÷0.0001=10000,…. 이렇게 나누는 수가 작아질수록 나눈 값은 점점 커집니다.나누는 수를 0.000…000001과 같 ...
이전3773783793803813823833843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