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왜 0으로는 나눌 수 없나?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어떤 수를 0으로 나누기 전에 다른 수로 나눠 봐요. 그 다음, 나누는 수는 점점 작은 수로 선택합니다. 0으로 나누면 어떻게 될지 상상하면서 말이에요. 1÷0.1=10, 1÷0.01=100, 1÷0.001=1000, 1÷0.0001=10000,…. 이렇게 나누는 수가 작아질수록 나눈 값은 점점 커집니다.나누는 수를 0.000…000001과 같 ...
- 통계로 세상을 구한 나이팅게일과학동아 l2011년 02호
- 통계 법칙을 이해해야 한다고 생각했다.박현애 서울대 간호대 부학장은 나이팅게일을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나이팅게일은 통계자료를 표나 그래프로 나타내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를 바꿨습니다. 즉 통계를 어떤 현상을 설명하는 데만 활용한 것이 아니라 그 현상을 수정하는 처방으로 ... ...
- 지구에 숨어든 외계행성의 전사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쫓고 있으며, 우리를 모조리 없애기 전까지는 멈추지 않을 것이다. 나는 넘버 포다. 다음은 나다.주인공인 존 스미스는 지구에서 수백 광년 떨어진 행성, 로리언에서 태어났다. 지구보다 오래된 로리언은 환경오염과 인구 증가, 기후변화, 식량 부족 같은 문제를 약 2만 5000년 전부터 겪었다. 그들은 ... ...
- 수학 논문으로 꿈을 이룬다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설명해 보자. 이때 종이를 접는 시행횟수를 n이라 할 때, 전체 선분의 개수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따라서 종이를 몇 번 접었는지 시행횟수를 헤아려 n값을 대입하면 전체 선분의 개수를 계산할 수 있다.같은 원리로 등성이의 개수를 구하는 식 또는 골의 개수를 구하는 식을 얻을 수 있고, 각각 ... ...
-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윷놀이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있는 소정방의 말을 잡고 한 번 더 윷을 던진다. 또 개가 나와 날걸로 말을 옮긴다. 다음에 걸 이상만 나오면 날 수 있다.소정방은 걸이 나온다. “내가 방을 무지무지 좋아해 이름에 방자가 들어간다 해” 하며 뒷밭의 말을 방으로 옮긴다. 이번에도 김유신을 밀어주기 위한 움직임이다. 방에 말을 ... ...
- 숫자행렬 단추 퍼즐수학동아 l2011년 02호
- 그리고 각 분해류에 포함되는 숫자판의 일정한 개수를 구하여라.문제5 이번에는 다음과 같이 0과 1만을 적은 숫자판을 생각하자. 앞에서는 9를 0과 같은 수로 보았으나, 여기서는 9 대신에 2를 0과 같은 수로 보기로 한다. 이렇게 0과 1만을 아무렇게나 배열하여 시작하는 숫자 퍼즐에서 분해류의 ... ...
-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MIE 수업 탐방 스케치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선생님께 여쭤봤죠. 그러자 지곡초에서 6학년 수학반을 담당하고 계신 최성호 선생님은 다음과 같이 답해주셨어요. “모든 학교에 과학실이 있는 것처럼 수학실도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지곡초에는 창의실(수학실)이 있죠.”창의실의 문이 열리자 기자들은 입을 다물 수가 없었습니다. ... ...
- 책 읽는 서울대 과학영재교육센터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정리했다. 한 예로 센터는 수학 관련 도서로 선정된 ‘박사가 사랑한 수식’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서울 어디서나 영재 발굴현재 센터에는 서울 곳곳에서 온 학생들이 모여 있다. 한때는 경제적으로 부유한 지역교육청에서 온 학생이 80%를 넘은 적이 있었다. 해당 지역의 학생은 이전부터 ...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대강 설계도를 그린 다음 동네 공업사에 가서 여러 가지 부품을 만들어 왔습니다. 그 다음 에폭시 같은 접착제나 고무줄, 테이프 같은 것으로 부품을 얼기설기 엮어서 형태를 만들었지요. 4개의 관절에는 전기모터를 달았습니다. 네 가닥의 전선을 길게 연결해 모터마다 하나씩 전기스위치에 ... ...
- 수학 논술 - 통큰 치킨과 게임 이론과학동아 l2011년 02호
- 기부하든가, 혹은 한 푼도 기부하지 않고 나온다. 사회자는 모금함에 들어있는 돈을 센 다음 그 액수의 절반의 돈을 자신의 지갑에서 꺼내 더하고, 그 돈을 두 명에게 똑같이 나눠준다. 예를 들어, A가 200만 원, B가 100만 원을 기부해 300만 원을 모금하면 사회자는 자신의 지갑에서 300만 원의 절반인 15 ... ...
이전376377378379380381382383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