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랙홀 진짜 검다' 첫 증거 발견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빨려들어가 사라지는 빛이
최초
로 포착됐다는 소식이 지난 1월 11일 잇달아 발표됐다. 미국의 찬드라 X선 천문위성과 허블우주망원경이 각각 관측한 결과가 같은 날 언론에 공개됐던 것. 그동안 주변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통해 블랙홀에 대한 간접적인 증거가 많았지만 이번처럼 직접적인 증거가 ... ...
유산균 시장의 아우토반 쎌바이오텍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부작용이 있었다. 결국 복용한 유산균이 그대로 배출되고 만 것이다.쎌바이오텍이 세계
최초
로 개발한 4세대 코팅기술은 이런 부작용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단백질로 유산균을 코팅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단백질은 인체 내에서 잘 분해되기 때문에 유산균을 둘러싼 단백질 코팅해 가격이나 품질 ... ...
미르의 사고일지와 태평양 수장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1997년 2월 미르에서 일어났던 화재는 우주공간내 승무원이 있는 선실에서 직접 발생한
최초
의 사건. 고장난 산소발생장치를 교체하던 중 일어난 화재는 발생한지 14분만에 분말소화기로 곧 진화돼 당시 미르에 탑승했던 러시아와 미국의 우주인 3명은 무사할 수 있었다.같은 해 6월에는 우주선끼리 ... ...
2. 쓰레기로 몸살 앓는 우주공간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재활용할 수 있다.무궁화 1호의 수명이 짧았던 이유지난해 초에 수명을 다한 우리나라
최초
의 통신방송위성인 무궁화 1호는 1995년 여름 발사됐다. 설계 때의 수명은 10년이었으나 발사할 때 로켓에 문제가 발생해 위성의 수명이 줄었다. 다시 말해 발사시 위성이 정상적으로 궤도에 진입을 하지 ... ...
서양의 오리온은 발목 삔 아가씨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별들이 모인 모습이란 사실은 1610년 이탈리아의 천문학자인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인류
최초
로 천체망원경을 만들어서 알아냈다. 플레이아데스가 뿌옇게 보이는 까닭은 밝은 별들이 한곳에 모여 있는데다가 그 주변에 가스가 조금 있기 때문이다.좀생이라는 우리 이름이 있다면 우리 별자리 전설도 ... ...
멸종위기동물 복제 시도 실패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노아의 방주에서 유래됐다. 홍수 위험을 피해 방주에 오르듯, 안전 하게 보호되는
최초
의 멸종위기동물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가우어는 동남아시아산인 야생동물로 서식지가 파괴되고, 사냥꾼의 표적이 되면서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멸종위기동물의 세포를 보관하는‘냉동 동물원’의 설립자인 ... ...
대폭발우주론, 또하나의 시험 통과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흡수한 증거가 발견됐다. 즉 먼 과거에도 우주배경복사가 존재했다는 사실을
최초
로 발견한 것. 이 가스구름은 수십억광년이나 떨어진 거리에 위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거리를 시간으로 따지자면 현재 우주 나이의 약 1/6밖에 되지 않았을 때다.이를 통해 수십억년 전에 존재했던 우주배경복사의 ... ...
1. 미르 태평양에 평안히 잠들라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예정대로 진행됐다면 유인 우주프로젝트의 자금지원이 민간기관에 의해 이뤄지는 사상
최초
의 사건이 될 수도 있었다.물거품으로 끝난 생명연장의 꿈미르를 1년 동안 운영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은 약 3천억원. 미르가 지구 한바퀴를 도는데 소요되는 경비는 약 5천만원이 된다. 이런 막대한 예산을 ... ...
하늘에서 내리는 미스터리 결정체 눈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눈 결정 대신 비를 내리는 빗방울을 형성한다. 이후 빠르게 눈 결정이 생성되는데, 가장
최초
로 나타나는 모습은 6각기둥 구조. 어떤 모양의 눈 결정에서도 처음 이 순간은 같다. 왜일까.X선 결정학의 도움으로 얼음의 결정구조가 밝혀졌다. 압력에 따라 얼음결정은 I(1)-XIV(14)까지 분류될 정도로 ... ...
나노세계의 요술지팡이 갖고 노는 물리학자 임지순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드러낼 것으로 보이는데 반해 FED는 최근 삼성종합기술원 김종민박사팀에 의해 세계
최초
로 개발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성과의 기반에 든든한 이론물리학자인 임지순교수가 있다는 사실을 사람들은 잘 모른다. 2003년 정도면 꿈의 디스플레이로 불릴 FED가 상용화될 전망이다. 우리의 생활과 ... ...
이전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