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 개념 창시한 신 헤파이스토스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남아있지 않습니다. 인류
최초
의 여성 판도라를 만든 신도 헤파이스토스입니다. 인류
최초
의 여성을 만들었다…. 이것은 거의 창조주의 기술 수준입니다. 하지만 아테나 여신이 영혼을 불어넣었고, 아프로디테 여신이 아름다움을, 헤르메스가 꾀를 불어넣었다고 하니 헤파이스토스가 단독으로 ... ...
2백60억원짜리
최초
민간우주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8배를 견뎌내는 훈련도 있었다니 그의 집념은 대단했다.이탈리아 이민 2세인 그는 1957년
최초
의 인공위성인 러시아의 스푸트니크가 발사됐다는 뉴스를 접하고 우주비행사가 되기로 결심했다. 대학 졸업 후에는 미항공우주국(NASA)의 제트추진연구소에 들어가기도 했으나 경쟁이 너무 치열해 뜻을 ... ...
별은 매일 4분씩 일찍 뜬다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국내
최초
로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한 대전시민천문대가 지난 5월 3일 드디어 문을 열었다. 홍보도 제대로 안된 어린이날 1천명이 넘는 사람들이 전국에서 몰려들어 우리 국민도 이제 우주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해줬다. 국내 최대 10인치 굴절망원경을 들여다보고 환호하는 ... ...
1. 깜찍한 센스 갖춘 기계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센서는 “감지대상의 상태에 대한 측정량을 신호(주로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의
최초
요소” 또는 “감각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검출소자”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센서는 원초적 정보를 채취하는 장치 또는 수단인 감지기다. 채취된 신호는 이에 대응하는 유용한 신호(전기신호)로 변환되는데, ... ...
컴퓨터에 무모한 도전장 내민 타자기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레밍턴사가 그의 특허권을 산 것이 행운이었다. 레밍턴사는 막대한 자금을 투입해 1873년
최초
로 타자기다운 타자기를 시장에 내놓았다.여기에서 타자기의 보급을 앞당긴 사람은 ‘톰소여의 모험’으로 유명한 미국의 소설가 마크 트웨인이었다. 그는 1874년 ‘타자기는 한 페이지에 엄청나게 많은 ... ...
파멸로 치닫는 투명인간의 욕망 할로우 맨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표현되잖아요.의준_ 잠깐 영화감독에 대한 얘기를 해보죠. 폴 버호벤의 영화 중 우리가
최초
로 접한 영화라면 단연 ‘로보캅’이겠죠. 그 뒤로 ‘토탈리콜’ ‘원초적 본능’ ‘쇼걸’ ‘스타쉽 트루퍼스’ 등 비주얼에 강한 작품이 많았어요. 그런 작품을 생각해보면 폴 버호벤은 주로 인간의 ... ...
세계
최초
의 유전자 변형 아기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영국의 BBC 등 일부 언론매체는 양친의 유전자 외에 다른 여성의 유전자도 이어 받은 세계
최초
의 유전자변형 아기라고 보도하며 윤리적 문제를 제기했다. 세포질 내에 존재하는 미토콘드리아 DNA는 모계 유전을 통해 아기에게도 전달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같은 방법으로 탄생한 아기 2명으로부터 ... ...
2. 식품의 신선도 감시하는 바이오 파수꾼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바이오센서 중에서 가장 실용화에 앞서 있는 것이 효소센서다. 1970년대 후반부터
최초
의 효소센서인 글루코오스센서가 시판됐다. 글루코오스센서는 혈청과 소변, 음료수와 식품의 용액상태 시료에서 글루코오스(포도당)의 농도를 측정하는데 이용됐다. 최근에는 의료용으로 인공췌장에 적용돼 ... ...
왜 극고진공상태를 얻으려 하나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까다로웠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진공기술은 현대 과학기술의 태동에 크게 이바지했다.
최초
의 노벨상 수상자 뢴트겐이 X선을 발견한 일도 진공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이뿐 아니라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전구의 발명도 마찬가지다.20세기 들어서는 산업분야에서 실제적으로 진공이 응용되기 ... ...
심해저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작가 쥘 베른이 지은 세계
최초
의 해양과학소설‘해저 2만리’. 어린 시절 누구나 한번쯤 이 소설을 읽으며 깊은 바닷속에 펼쳐진 신세계를 꿈꿔봤을 것이다.그런데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인간이 해저 세계를 직접 탐험하는 일은 더이상 공상이 아니다. 눈앞에 펼쳐진 신세계 심해를 밝히는 모험을 ... ...
이전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