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Ⅰ. 청량음료에도 수상업적 숨어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우주의 특수한 환경에서 태양의 강력한 복사열에도 견딜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최초
로 궤도비행에 성공한 존 글렌의 우주복도 테플론이 코팅된 것이었다. 우주선의 앞부분이나 기타 내열 보호막 또는 연료탱크에도 테플론이 사용되고 있다.테플론이 가장 폭넓게 쓰이는 곳은 전자산업 분야다. ... ...
디지털 시대의 메모방식 보이스 레코더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메모나 자료 관리가 훨씬 효율적이 됐다. 바로 김대리에게 소개해준 그 비법이다.
최초
의 녹음기는 토킹머신 이쯤 되면 호기심 많은 독자라면 비법이 뭘까 하고 제법 궁금해질 것이다. 그 비법이란 다름 아닌 소형 디지털 녹음기를 이용해 목소리로 메모를 하는 것을 말한다. 생각하기에 따라 아주 ... ...
소행성과 혜성 기원 밝히는 니어-슈메이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달탐사선 루나 프로스펙터가 그의 유해를 담은 작은 캡슐을 싣고 달에 가 충돌하면서
최초
로 달에 묻혀 생전의 꿈을 대신 이루게 됐다.그리고 이번 니어 탐사선에도 그의 이름이 붙여지는 영광을 얻었다 ... ...
세계에서 가장 작은 막대자석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열분해 한 후, 특수 촉매를 사용해 나노자석을 만들었다. 그는 이번 연구가 “세계
최초
로 자성체 나노 막대입자를 균일하게 만드는 기술”이라고 밝혔다.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용량이 작은 디스크 때문에 데이터를 제대로 옮기거나 저장하지 못해 곤란을 겪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멀티미디어가 ... ...
두뇌의 환각현상? 실재하는 비행체?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또 독립적인 다른 UFO 목격자들에 대해서도 문제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어요.
최초
로 UFO 목격을 주장한 두사람은 린다 코틸의 관심을 끌려고 서로 싸웠다죠. 이 두사람은 어쩌면 처음부터 신문이나 그밖의 장소에서 그녀의 이야기와 얼굴을 보고서 그녀와 친해지고, 또 유명해지기 위해 그런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순수물리 아성 깬 '응용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경우가 그 실례이다.그러나 알페로프 박사는 반도체 레이저의
최초
개발자가 아니라 처음으로 실용화가 가능한 구조를 제안해서 이를 구현하는 데에 공헌한 인물이다. 학문 차원의 연구가 아니라 상업성이나 현실성이 있는 소자 개발에 무게를 실어준 셈이다. 크로머 교수도 ... ...
만약 태초에 우주 팽창 속도가 느렸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때 이미 생명의 비밀은 싹트고 있던 셈이다. 그리고 1백억년 정도 후에 지구에서
최초
의 생명이 태어났을 때부터 지금까지 모든 원소의 원조인 수소는 DNA의 이중나선 구조에서, 또 세포막의 구조에서 어느 누구도 대신할 수 없는 독보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세포 옆에서하나의 세포를 만들기 ... ...
입는 컴퓨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전류를 만드는 기능을 연구중이다.▽컴퓨터 소형화 추세▽1940년대에니악(ENIAC) : 세계
최초
의 전자식 컴퓨터. 덩치가 무려 30t. 전선 길이가 1백30km다. 1946년 펜실베니아대의 모클리와 에커트가 만들었으며, 무어학교의 전기공학과에서 가동된 이후 9년간 사용됐다.1970년대데스크톱 PC : 1970년대 첫 ... ...
사랑의 신 에로스 베일 벗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큐피드로 알려졌다. 이는 현재 우주공간에서 집중탐사중인 소행성의 이름이기도 하다.
최초
의 소행성 궤도탐사선 니어-슈메이커를 통해 소행성 에로스에 대한 최신 결과가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최근호(9월 22일자)에 발표됐다. 탐사선은 지난 2월 14일 에로스에 접근한 이후, 35-3백50km 거리에서 ... ...
러시아 툰트라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강성호 박사가 여기에 참여했다.그가 보낸 생생한 두번째 북극 탐사기를 들어보자.국내
최초
로 러시아와의 북극해 공동연구를 위해 2000년 7월 27일 오전 11시 30분 모스크바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약 9시간 걸려 도착한 우리 일행은 모스크바대학 근처의 한 호텔에서 첫날을 보냈다. 다음날 ... ...
이전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