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실
실상
진실
실질
현실
실태
실천
d라이브러리
"
실제
"(으)로 총 6,115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만의 전속 영양사 - 유전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음식을 먹어도 다른 결과가 나올까.모든 사람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유전자일지라도
실제
로는 유전자를 구성하는 염기서열에 개인마다 차이(변이)가 있다. 이를 유전자 ‘다형성’(polymorphism)이라고 한다. 유전자 변이에 따라 유전자가 만드는 단백질이 조금씩 달라지고, 이 변화가 대사과정에 ... ...
철학 잘 해야 행복한 과학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들었다. 유럽에서 환경단체가 GMO의 위험성을 지적할 때 ‘GMO에 이런 저런 위험이 있지만
실제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식으로 접근을 해야 했단다. 그러나 과학자들이 무조건 안전하다고만 했으니 오히려 시민들의 반발을 샀다는 것이다.“과학자들은 비전문가가 자신의 일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 ...
불규칙한 바람에서 노다지를 캐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성질을 실생활에 적용해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로는 전신수영복을 꼽을 수 있다.
실제
로 지난 2004년 아테네올림픽에서는 전신수영복을 입은 남자선수가 자유형 200m 경기에서 우승을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전신수영복의 표면은 미세한 돌기가 있는 상어비늘 모양으로 물 속에서 몸 주변에 생기는 ... ...
밥을 먹으면 졸린 까닭은? 위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위와 장으로 들어온다. 예를 들어 뇌로 들어가는 혈액을 조금 나눠 위와 장으로 보내면
실제
뇌로 가는 혈액의 양은 보통 때보다 줄어든다. 뇌의 혈액량이 줄면 산소와 영양분이 부족해져 뇌가 활발한 활동을 못하므로 졸린 것이다. 일반적으로 성인의 위는 자기 주먹 2개만한 크기다. 보통 때 위의 ... ...
2. 디자인의 진화심리학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철저히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다.보기 좋은 디자인은 단순히 눈을 즐겁게 할 뿐 아니라
실제
물건을 다룰 때 효율도 높여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995년 일본의 연구자들은 현금자동지급기(ATM) 버튼의 배치에 따라 사용자가 느끼는 난이도를 측정해 봤다. 그결과 0부터 1까지의 숫자와 수정, 취소 등 ... ...
“일단 믿고 맡겨봐” 인간과 맞붙은 로봇 외과 의사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2차원 영상을 입체로 재구성해 종양의 위치를 정확히 예측하게 됐다. 또한 3차원 영상을
실제
환자 두부와 일치시킨 뒤 모니터로 환부 위치를 의사가 찾아내는 뇌 항법장치까지 개발됐다. 이 새로운 장비 덕에 요즘은 좀더 정교한 수술이 가능해졌으며 지금은 여러 병원에서 도입해 사용 중이다. 일부 ... ...
혼자 힘으로 만든 공상과학영화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상영하고 있어서 극장을 찾은 관람객들이 심심치 않게 이용할 수 있다. 영화제 행사의
실제
진행은 모두 4명의 동료들이 맡아서 하고 있었다. 며칠간 계속된 행사에 체력이 떨어진 탓인지 구석에서 새우잠을 자는 사람도 눈에 띄었다. 그러고 보니 루이스도 이제 체력을 비축해야 할 시간이었다. ... ...
지자기 북극과 남극 바뀔까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하지만 지구 내부는 온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물질이 자성을 갖기 어렵다. 또
실제
지자기를 관측했을 때의 모양은 막대자석이 만드는 것보다 훨씬 복잡했다. 무엇보다 막대자석 모델로는 쉬지 않고 끊임없이 자기장을 만들어내는 동력원을 설명할 수 없었다.그래서 등장한 것이 다이나모 이론이다. ... ...
약물로 마음을 성형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급격히 발전하고 있는 뇌기능 연구는 과거 이론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던 마음의 이론이
실제
뇌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활발히 검증하고 있다.부위별 기능 나타낸 뇌지도뇌의 어떤 부위가 어떤 기능을 할까. 이 답을 쉽게 풀기 위해서는 뇌지도가 필요하다. 과학자들은 뇌지도를 통해 정확하고 ... ...
매야, 다시 높이 날자꾸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옹골차다’등의 단어가 매사냥에서 유래한 거랍니다. 지금은 낯설기만 한 매사냥이
실제
로는 우리 문화 속에서 뿌리 깊게 자리잡고 있었던 거예요.하지만 이렇듯 우리 전통문화로써 서민의 삶과 함께하던 매사냥은 점점 사라지기 시작했답니다. 산업화로 인한 환경 파괴 그리고 쉽게 사냥할 수 ... ...
이전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