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실
실상
진실
실질
현실
실태
실천
d라이브러리
"
실제
"(으)로 총 6,115건 검색되었습니다.
4 TV, 기억을 잃어버리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드라마만 보면 기억상실증이 자주 일어나는 정신병처럼 보인다. 그러나 기억상실증은
실제
로 매우 드문 정신질환이다. 기억상실증의 남발이야말로 상당히 비과학적인 설정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나는 기억한다, 고로 존재한다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3 배움에도 ... ...
작전명 돈키호테! 소행성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소행성 한 방에 쓰러질 수 있다. 우주방위재단의 카루시 회장은 소행성의 위협을 ‘
실제
’라고 밝혔다. 우리의 어깨에 소행성의 위협에서 지구를 지켜야 할 의무가 얹혀 있다.소행성 | 태양계 형성 직후 만들어진 지름 수 km크기의 작은 천체들이 서로 부딪히면서 소행성이 만들어졌다. 소행성은 ... ...
컴퓨터와 네트워크가 여는 행복한 미래생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다가왔다. 언제 어디서나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이용한다는 뜻의 유비쿼터스는
실제
공간과 가상공간을 하나로 묶어 새로운 혁명을 예고하고 있다. 정보통신부는 최근 서울 광화문 한복판에 유비쿼터스 생활을 미리 맛볼 수 있는 전시관(유비쿼터스 드림관)을 열었다. 커피 날라주는 로봇과 외출복을 ... ...
MIT 미디어랩 - 사람 중심의 미래를 준비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연결을 통해 제공한다.이 사이트는 중학생인 노지현(안젤라) 학생이 운영하고 있지만
실제
내용은 학생의 어머니가 구성했다. 사이트 운영자가 어린 학생이기 때문인지 응결, 스모그, 편서풍, 계절풍 등 중학생이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에 대해서는 용어사전을 제공해 누구나 날씨와 관련된 정보를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초신성이 폭발할 때 지구에서 보면 갑자기 매우 밝은 새 별이 나타난 것처럼 보입니다.
실제
로는 새로 태어난 것이 아니라 종말을 맞이한 것이죠. 따라서‘가요계의 초신성’같은 말은 천문학적으로는 별로 좋은 뜻이 아닙니다. 가장 먼저 태어난 무거운 별들은 최초의 초신성이 되어 사라졌습니다 ... ...
우주관광도 식후경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이를 기준으로 NASA와 식품산업계 대표로 구성된 심사의원단은 참가팀들의 제안과
실제
가공된 우주식품을 평가하게 된다. 평가 기준은 제법 까다롭다. 먼저 재료는 NASA가 장거리 우주여행을 위해 세운 생명지원프로그램에서 지정한 농작물이어야 한다. 또 전자레인지와 냉장고, 오븐만을 이용해 ... ...
과학으로 더불어 사는 문화를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이를 위해 나 이사장은 모든 사업에서 10~20%는 아예 소외계층의 몫으로 떼어 놓았다.
실제
로 지난 4월 서울 올림픽공원에서 열린 가족과학축전에도 남산복지원의 어린이를 비롯한 소외계층 200명을 초청해 행사를 벌였다. 남산복지원은 재단 직원들이 주기적으로 방문해 자원봉사하는 곳이다. 나 ... ...
제주도보다 큰 빙산, 남극과 충돌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빙산이 갈라지면서 서로 충돌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유럽우주국(ESA)은 빙산의
실제
충돌 장면을 4월 19일 공개했다. 제주도 면적의 1.4배(약2500km2)쯤 되는 지구 최대의 빙산‘B-15A’가 남극 대륙의 한쪽 끝에 충돌하는 장면이다. B-15A는 2000년 3월 남극 대륙에서 떨어져 나간 대형 빙산이다.ESA는 1월초 ... ...
단백질 네 속을 보여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중심에 점을 찍어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그리면 어떻게 될까. 아마 분자의 구조를 얼추
실제
와 가깝게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결정적으로 원자의 크기가 서로 다르다는 사실은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 따라서 정확한 단백질 구조를 얻을 수 없다. 이것이 점으로 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이 ... ...
수천개의 젊은 별들이 만들어낸 무서운 우주 독거미 타란툴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이 빛줄기는 영락없이 타란툴라의 몸통에 달려 있는 다리처럼 보인다. 이 우주 거미가
실제
거미처럼 8개의 다리를 가졌는지는 확인하기 힘들지만 날카로운 다리의 생김새는 거미 다리와 많이 닮아 있다.지구에서 17만 광년이나 떨어진 우주공간에 지름이 1000광년도 넘는 거대한 우주 거미가 살게 된 ... ...
이전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