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료
벗
동무
교우
동지
단짝
전우
d라이브러리
"
친구
"(으)로 총 5,022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대 익룡발자국 국내서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하늘을 나는 공룡이 아니라 익룡목(目)에 속하는 중생대의 또 다른 주인공이다. 공룡의
친구
라고 할 수 있으나, 공룡은 아니라는 점이 중요하다. 익룡(翼龍, pterosaur)의 영어 이름은 ‘날개를 가진 도마뱀’이란 뜻의 라틴어에서 유래했다. 공룡이 살았던 중생대의 하늘을 지배했던 파충류인 익룡은 ... ...
'초식남'과 '건어물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구별된다.마른 오징어처럼 연애 감정마저 바싹 말라“연애를 꼭 해야 하나요? 남자
친구
는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이죠.”세련되고 지적인 이미지로 회사에서 모두의 관심을 한 몸에 받는 20대 중반의 회사원 건여울 씨(가명). 그녀는 오늘도 퇴근하자마자 집으로 향한다. 그리고 편의점에 들러 ... ...
꽃의 여왕, 장미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내가 개발한 식물을 보고 사람들이 좋아할 때 큰 보람을 느껴요.‘어린이과학동아’
친구
들에게 한 마디식물은 늘 그 자리에서 모든 환경을 인내하며 결실을 맺어요. 식물을 키우며 배우는 게 참 많답니다. 여러분도 직접 식물을 키워 보세요!김성태 (국립원예특작연구원 농학박사) 생활의 ... ...
3. 교통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원리. 참 신기하죠? 이 세상은 수학으로 가득 차 있답니다. 오늘 배운 원리들을 가족과
친구
에게 전해 보세요. 수학과 함께라면 모두 더욱 안전하게 살 수 있어요 ... ...
가위바위보 필승전략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가위가위보’라고 잘못 부르는 일은 없을 것이다. 확률을 알면 승리가 보인다
친구
4명이서 가위바위보를 하면 쉽게 승부가 나지 않는다. 가위바위보는 매우 복잡한 경우의 수를 가진 게임이기 때문이다. 4명이 동시에 하는 것과 2명씩 토너먼트 형식으로 하는 것 중 어느 것이 자 신에게 유리할까? ... ...
사과를 가장 효율적으로 쌓는 법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옳은 것으로 증명됐다.케플러 가설, 컴퓨터 동원해 증명사실 케플러와 그의 영국인
친구
는 1600년 경에 크기가 같은 대포알(당시의 대포알은 지금과 달리 공처럼 생겼다)을 어떻게 쌓아야 가장 효율적인지 이야기했는데, 케플러는 시장 상인들이 과일을 쌓듯 쌓는 방식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주장했다 ... ...
Part 2. 하나를 알면 열을 아는 즐거움!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이용한 얼굴 인식 기술이 아직 걸음마 수준인데 비해, 우리는 수많은 사람들 중에서
친구
의 얼굴을 바로 구분해 낼 수 있다.쉬운 문제를 확장하면 복잡한 문제가 보인다웬만한 사람이라면 삼각형의 넓이 구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그러면 사각형은? 오각형은? 육각형은? 칠각형은? 갈수록 어려워 ... ...
파란만장 독립투사 되기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폭탄을 던진 나석주와 한솥밥을 먹었었소. 그 일을 내가 하려고 했었는데…. 그
친구
만 생각하면….”“그럼 혹시 의열단…?”허풍은 거만한 표정으로 고개를 끄덕였다.“그렇다면 한 가지 부탁이 있습니다. 얼마 뒤 독립군에게 이 곳에 보관하고 있는 무기를 전해야 합니다. 그런데 날짜와 시간이 ... ...
걸리버 여행기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양의 고기와 마실 것을 나에게 지급하겠다는 대목에 주의해 주기를 바란다. 나중에 한
친구
에게 어떻게 그렇게 해서 그처럼 분명한 숫자에 도달할 수 있었는가를 물었다. 정신을 차린 걸리버는 키가 12~13cm밖에 되지 않는 작은 사람들에 둘러싸여 있다는 사실을 깨닫습니다. 그 곳은 작은 인간들이 ... ...
Part 1. χ가 없던 시절에는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못한
친구
도 있을 거야. 어쩌면 머리 속에 식을 떠올리며 '이게 뭐 어렵다고…'하는
친구
도 있겠지. 하지만 이집트 시대에는 숫자를 쉽게 표현하는 방법도 없었고 +, =와 같은 기호도 없었어. 오직 머리로 생각하고 말로 문제를 풀어야 했으니 간단한 문제라도 푸는 과정이 쉽지 않았어. 중국이나 ... ...
이전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