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료
벗
동무
교우
동지
단짝
전우
d라이브러리
"
친구
"(으)로 총 5,022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시아의 핫 아이콘 f(x)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분들에게 응원의 말씀을 전해 주세요.-설리: 수학을 너무 어렵게만 생각하지 말고 편한
친구
처럼 생각하면 좀 더 가까워질 수 있을 것 같아요. f (x) 노래 듣고 기분전환 하면서 즐겁게 수학을 공부했으면 좋겠어요.선배 가수나 그룹 중 특별히 존경하는 사람이나 그룹이 있나요?-빅토리아: 보아 ... ...
단백질 합성공장 리보솜 비밀 밝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를 접하고 있어 날씨 좋은 여름에는 수영도 하면서(해안에 해파리가 많아서 쏘이는
친구
들도 있었지만) 가끔이나마 한가로운 시간을 보낸 기억도 떠오른다. 평생 한길로 매진한 스타이츠 교수의 노벨상 수상을 다시 한 번 진심으로 축하한다. 엄수현 교수는 서울대 화학과에서 단백질 구조연구로 ... ...
한국 10대(代) 과학자들의 연구결실 뽐낸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생각해낸 사람이다. 그는 20세기 최고의 수학자로 추앙받는 다비트 힐베르트와 오랜
친구
였는데, 1909년 맹장염에 걸려 45세의 아까운 나이에 죽었다. 그렇지 않았다면 힐베르트보다 더 유명해졌을지도 모른다.민코프스키는 조숙한 천재성으로도 유명하다. 1882년 17세 때 프랑스의 파리과학원이 낸 ... ...
Part 1. 수학 기피증을 극복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공로로 노벨상을 받은 마리 퀴리도 수학에 푹 빠졌기로는 둘째 가라면 서러운 사람!
친구
에게 쓴 편지를 보면 "한 가지만 공부하면 피곤한 두뇌를 더 지치게 만들거든. 읽어도 전혀 머리에 들어오지 않을 때는 대수와 삼각함수를 풀지. 수학은 실수를 용납하지 않기 때문에 문제를 풀다 보면 집중력이 ... ...
삼각형은 왜 영어로 'triangle'이라고 부를까?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다. 수학놀이터에서 더 많은
친구
들과 신나게 놀 수 있도록
친구
들의 이름을 하나하나 기억해 두자! 왜 October는 8월이 아니고 10월일까? October도 원래는 8월을 의미했다. 그런데 고대 로마에서 3월을 새해 첫째 달로 계산해 8번째 해당하는 달이 October였다. 하지만 3월 앞에 ... ...
걸리버 여행기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양의 고기와 마실 것을 나에게 지급하겠다는 대목에 주의해 주기를 바란다. 나중에 한
친구
에게 어떻게 그렇게 해서 그처럼 분명한 숫자에 도달할 수 있었는가를 물었다. 정신을 차린 걸리버는 키가 12~13cm밖에 되지 않는 작은 사람들에 둘러싸여 있다는 사실을 깨닫습니다. 그 곳은 작은 인간들이 ... ...
키를 쑥쑥! 성장호르몬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서현이가 제 키가 작다고 자꾸 놀려요!”태연은 키 때문에 고민이다. 또래 아이들은 물론
친구
동생인 서현이보다 작기 때문이다. 아빠는 이 기회에 성장을 더디게 하는 태연의 나쁜 습관을 따끔하게 지적해 줘야겠다고 생각했다.“태연이 너, 밤늦게까지 게임하는 습관만 버려도 지금보다 키가 3~ ... ...
Part 3. 수학을 알면 세상이 즐겁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알고 논리적으로 생각할 줄을 알게 된다면 수학 그 자체가 매우 즐거워질 것이다. 그러니
친구
들! 즐거운 마음으로 수학을 공부해 보길 강력하게 권한다. 수학 때문에 세상이 즐거워질 것이다~!자동차? 비행기? 어떤 게 더 위험할까? 자동차와 비행기를 타고 가다 사고로 죽을 확률은 기준에 따라 ... ...
3. 교통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원리. 참 신기하죠? 이 세상은 수학으로 가득 차 있답니다. 오늘 배운 원리들을 가족과
친구
에게 전해 보세요. 수학과 함께라면 모두 더욱 안전하게 살 수 있어요 ... ...
가위바위보 필승전략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가위가위보’라고 잘못 부르는 일은 없을 것이다. 확률을 알면 승리가 보인다
친구
4명이서 가위바위보를 하면 쉽게 승부가 나지 않는다. 가위바위보는 매우 복잡한 경우의 수를 가진 게임이기 때문이다. 4명이 동시에 하는 것과 2명씩 토너먼트 형식으로 하는 것 중 어느 것이 자 신에게 유리할까? ... ...
이전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