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료
벗
동무
교우
동지
단짝
전우
d라이브러리
"
친구
"(으)로 총 5,022건 검색되었습니다.
얼굴로 말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표정 변화는 아주 작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닌 사람은 눈치채기 어렵다. 그러니 함부로
친구
를 거짓말쟁이로 몰지는 말 것! 또한 거짓말을 밥 먹듯이 하는 사람은 죄책감도 없기 때문에 이런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그래서 단순히 표정만으로 거짓말을 판단하는 것은 위험하다.표정으로 테러범을 ... ...
Part 1. 암호의 세대교체!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암호기계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어. 마침내 1918년 독일의 발명가 슈르비우스와 그의
친구
들은 전기로 작동하는 암호기계를 만들었어. ‘에니그마’라는 이름의 이 기계는 암호 역사상 최고의 성능을 자랑했지. 에니그마는 독일군에게 천군만마와 같은 힘이 됐어. 에니그마 암호는 한동안 해독될 ... ...
미국의 퍼즐 고수와 대결하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다음에 또 뵐게요.”허풍은 경성을 떠올리며 점점 감상에 젖어든다.“고독은 나의 오랜
친구
지. 나의 우수에 젖은 모습에 많은 여자들이….”“앗! 저기 저 사람 뭔가를 잃어버렸나 봐요!”도형이 가리키는 곳에 한 남자가 무언가를 찾고있다. 그 모습을 본 로이드가 다가가 인사를 건넨다.“혹시, ... ...
매스큐브와 함께 수학 완전정복!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수학동아
친구
들! 매스큐브라고 들어 봤나요? 수학을 완전 정복할 수 있다는 이 큐브를 찾아 왔어요. 서울 삼선중학교에 매스큐브의 개발자가 있다고 하는데, 소문에 ... 답을 구한
친구
도 있고 연습장에 공식을 써가며 문제를 푸는
친구
도 있었어요. 그 사이 한
친구
가 나와 칠판에 문제를 ... ...
어디서든 즐겨라! 디지털 TV의 밑그림을 그리는 수학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수학 문제를 풀려고 마음먹었다면 그 아이디어는 밥을 먹다가도, 길을 걷다가도
친구
와 이야기를 하다가도 생각 날 수 있어요.” 김 박사는 학생시절 KAIST(카이스트) 안의 정보통신연구소에서 근무하면서 수학의 위력을 한 번 더 느꼈다.“박사과정 때 학교에서 들고 나는 모든 돈을 관리했어요. ... ...
특별인터뷰 전국 여중생 수학탐구 발표대회 수상자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있어요. 여러분 중에도 분명히 풀고 풀리는 암호와의 두뇌 싸움에 도전장을 내밀
친구
가 있겠죠? 미래에 우리의 보안을 책임질 암호 전문가가 수학동아 독자 중에서 나오길 기대해 봅니다~ ... ...
2. 수학으로 마술하기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있다면 기아문제는 바로 해결되는 것이 아닐까? 사라진 1000원을 찾아라깊어가는 가을,
친구
3명이 절정에 이른 단풍 구경에 나섰다. 시외버스터미널 앞에 모여 간단한 회의에 들어갔다. 김밥과 초코바 그리고 음료수의 3종 세트가 산행에 필수 아이템이라는 의견이 모아졌다. 매번 돈을 모으기 ... ...
3. 서프라이즈! 수학으로 본 세상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확률을 차근차근 계산해 보자. 번호 1번인 수동이의 생일이 10월 1일이라고 할 때, 2번
친구
의 생일은 365일에서 10월 1일을 뺀 364일 중 하루여야 한다. 그러므로 한 반에 30명인 학생 사이에서 생일이 같은 두 사람이 있을 확률은 1-0.29=0.71다. 쉽게 표현하면 71%다. 같은 계산법으로 한 반의 학생이 23명만 ... ...
창의력은 융합에서 나온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시를 쓰기로 결심했다고 대답한다. 그러자 힐베르트는 이렇게 대답했다.“잘됐군. 그
친구
는 수학자가 되기엔 상상력이 부족하지.”수학자가 시인보다 상상력이 뛰어나다는 얘기다. 힐베르트의 일화는 수학이 상상력과 거리가 먼 딱딱한 학문이라는 흔한 편견을 통쾌히 깨뜨려 준다. 수학은 우리가 ... ...
단백질 합성공장 리보솜 비밀 밝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를 접하고 있어 날씨 좋은 여름에는 수영도 하면서(해안에 해파리가 많아서 쏘이는
친구
들도 있었지만) 가끔이나마 한가로운 시간을 보낸 기억도 떠오른다. 평생 한길로 매진한 스타이츠 교수의 노벨상 수상을 다시 한 번 진심으로 축하한다. 엄수현 교수는 서울대 화학과에서 단백질 구조연구로 ... ...
이전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