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진짜 살갗에 도전하는 인공피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진피의 구성물질을 분비하면서 진피를 재생한다. 이상적인 인공진피를 만드는 방법인
셈
이다.그러나 일반적인 세포 배양으로 진피 섬유아세포의 수를 늘려 진피 지지체에 접종한 뒤, 면역결핍 쥐에 이식하면 많은 세포가 생체내의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대부분 괴사한다. 이렇게 생존율이 낮은 ... ...
영화 매트릭스의 세계 실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있다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튜링 테스트를 통과한 컴퓨터는 인공지능 컴퓨터인
셈
이다.튜링 이후 지난 50여년 동안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결과는 눈부시다. 세계 체스 챔피언 카스파로프를 이긴 IBM의 ‘딥 블루’, 받아쓰기가 가능한 음성인식 소프트웨어, 스스로 물의 양과 빨래시간을 결정하는 ... ...
한국 최초의 우주센터 외나로도에 건설 박차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2015년까지 9기의 로켓을 발사할 계획이므로 1년에 1회 정도의 발사가 예정돼 있는
셈
이다.오히려 우주센터의 건립을 계기로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을 잘 보존하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미국에서 우주왕복선 발사로 가장 잘 알려져 있는 케네디 우주센터의 경우 부지 전체가 국립야생보호구역으로 ... ...
13일 밤 고흐의 보름달 떠오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작품과 함께 월출을 동생에게 부쳤습니다. 즉 그림을 그린 시기는 5개월 내로 좁혀진
셈
이죠. 결정적인 증거는 그림 속에 있었습니다. 그림에서는 달인지 해인지 모를 둥근 천체가 가파른 절벽에 걸려 있습니다.올슨 교수는 지난해 6월 생레미 수도원을 찾았습니다. 그곳에서 그림에 나오는 절벽을 ... ...
여름 은하수에 묻혀있는 쌍둥이 별무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8로 구분된 대상이 바로 산개성단이다. 허셸은 산개성단을 밀집도에 따라 3단계로 구분한
셈
이다. 6은 밀집된 성단, 8은 퍼져 있는 성단을 의미한다. M7은 허셸 분류 7에 속하며 산개성단으로서는 중간 정도로 밀집돼 있다고 볼 수 있다.허셸의 분류는 현대천문학에서 그리 의미가 없어졌으나, ... ...
2 외계생명체 찾는 첨단로봇들의 화성침공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6월 말 우주로 떠난다.한달도 채 안되는 기간에 무려 3대의 탐사선이 화성으로 향한
셈
이다. 화성 탐사뿐 아니라 다른 우주 탐사에서도 보기 드문 일이다. 왜 올여름 3대의 탐사선이 한꺼번에 화성 탐사를 떠나는 것일까. 화성이 지구에 유례없이 가까이 접근해 평소보다 탐사선의 여행거리가 ... ...
터널 화재 당신이라면 어디로?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바꿔 연기를 배출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15분이면 연기는 산술적으로 1.8km를 진행한
셈
이다. 그러므로 설사 정상적으로 환풍기의 방향을 바꿨다하더라도 연기배출에 효과가 있었을지 의문이다.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터널 환기시스템이 전적으로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를 배출하기 위한 장치가 ... ...
지수귀문도 해결의 열쇠 유전알고리즘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정답이 널린 것 같지만 가능한 모든 숫자 배정 방법들 중 대략 3만개 중의 하나가 정답인
셈
이다.24꼭지 문제의 정답 총수는 16꼭지보다 훨씬 많은 무려 40조개 정도로 추정된다. 이는 1백억개 중의 하나 정도 꼴로 정답이 드문드문 발견되는 것이다. 불과 16꼭지에서 24꼭지로 커지면서 정답의 수가 ... ...
생명공학이 주무르는 맛의 세계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닿는 물질이 우리에게 유리한 것인지 해로운 것인지를 분석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셈
이다.최근 생명공학계에서 인간이 느끼는 맛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인간은 맛을 어떻게 느끼는지, 생명공학에서는 어떤 맛을 주무르고 있는지 직접 확인해보자.설탕보다 단맛을 찾아라흔히 ... ...
줄기세포로 난자 만드는데 성공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해 수정란을 만들 수 있다. 인간복제가 불임의 마지막 대안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잃는
셈
이다.그러나 줄기세포를 생식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을 인간에 적용하는데 회의적인 시각도 많다. 이번실험을 진행한 쉘러 박사조차도“줄기세포로 만든난자가 모든 기능을 갖고 있고 정상적으로 수정될 ... ...
이전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