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렁에 빠져도 정신만 차리면 뜬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밀도는 그보다 큰 2g/cm3 정도입니다. 그러므로 모래수렁에서는 물보다 더 몸이 뜨기 쉬운
셈
입니다. 수영을 처음 배울 때처럼 몸을 누인 채 팔다리를 넓게 벌리면 곧 몸이 떠오르게 됩니다. 이때부터 조심스럽게 팔을 저어 빠져 나올 수 있는 것이죠.또 근처에 나무 막대기가 있다면 등을 그 위에 ... ...
진화는 1백m 경주인가 넓이뛰기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속도와 종분화 사건들 사이의 진화 속도가 뚜렷하게 차이난다는 사실을 시인하고 있는
셈
입니다.데넷(D팀): 그 보십시오. 다윈의 점진론은 그렇게 옹졸하지 않다니까요. 비유를 하나 들어볼까요.육상 종목 중에서 1백m 경기와 넓이뛰기를 비교해봅시다. 1백m 경기에 참가한 선수들이 총소리를 듣고 ... ...
왕따 당하면 두뇌는 육체적 고통 느낀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마음이 느끼는 슬픔의 9가지 형태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런 말들이 결코 허언은 아닌
셈
이다.만성적인 고통 호소하는 경우 많아사회집단에서 개인을 따돌리는 왕따 현상은 우리나라에서 점점 심각한 문제로 대두하고 있다. 국무총리산하 청소년보호위원회가 지난 8월 20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 ...
세포막의 출입구, 물·이온 통로 밝혀내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주제로 박사 후 과정을 시작했다.그가 실토했듯이 나이 30에 연구 경력을 시작한
셈
이다. 1989년 하버드대에 부임해 정교수까지 승진했다. 1996년 록펠러대로 옮긴 뒤 이온통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독학으로 생소한 X선 구조결정학 분야에 뛰어들었다. 이 도전을 시작한 후 불과 2-3년 만에 세계를 깜짝 ... ...
뇌 영상의 마법사 MRI 고안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시대에 진입하게 됐다. 결국 20세기 과학은 X선의 발견을 계기로 해서 새로운 모습을 갖춘
셈
이다.X선이 진단방사선학에 이용되는 이유는 투과하는 성질을 갖기 때문이다. 인체를 투과해 그 속의 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는 사실은 X선 발견 이전에는 상상도 하지 못했던 획기적인 일이었다. 사람 몸 속 ... ...
트로이의 목마, 몸 속을 휘젓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않을 것이다. 현대의 자유분방한 사회구조가 사람보다는 오히려 미생물에게 천국이 된
셈
이다.공포의 만성질환 에이즈 에이즈가 만성질환이라고 하면 다소 의아할지 모르겠다. 그러나 에이즈를 일으키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돼 에이즈가 발병할때까지는 10년 정도가 걸린다. 이 긴 ... ...
부작용 없는 제2의 비아그라 개발된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효과가 미미하고 예기치 않은 부작용들이 생기면서 방향을 바꿔 뜻밖의 대성공을 거둔
셈
이다. 신약 개발 사상 가장 운이 좋은 경우라고 볼 수 있다.지금까지 알려진 PDE의 유전자는 12가지다. 이 효소들은 모두 cGMP나 이와 비슷한 구조인 사이클릭아데노신모노인산(cAMP)을 분해하는 작용을 한다. cAMP ... ...
동물실험으로 독살 판정한 선조들의 지혜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실시하는 방법을 아직도 사용하는 곳이 있다. 따라서 반계법은 조선판 동물실험인
셈
이다.3.의사(縊死, 목매어 죽음)의 경우증 활투두와 사투두로 목을 맨 경우는 발이 땅에 닿고 아울러 무릎을 꿇어도 모두 죽게 된다.-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것과 달리 발이 땅에 닿아도 목을 매어 죽을 수 있다. ... ...
목숨 걸고 경고음 내는 땅다람쥐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집단 내부로부터의 붕괴를 막고 협동을 강제하는 이런 집단선택의 메커니즘을 무시한
셈
입니다.사회자: 그런데 윌슨 교수님, 언뜻 보아서는 교수님의 집단선택 메커니즘이 1960년대까지 유행했던 집단선택론과 별 차이가 없어보이는데요?데이빗 윌슨(G팀): 그렇지 않습니다. 화면을 한번 ... ...
3 달팽이가 제시한 인간 기억 메커니즘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수천개의 신경세포와 시냅스 연결을 맺고 있다. 따라서 수천가지의 신호를 받고 있는
셈
이다. 이 중 어떤 것은 흥분이고 나머지는 억제 신호일 것이다. 이때 한 세포로 전달되는 최종 신호는 흥분신호의 총합에서 억제신호의 총합을 뺀 값이다. 예를 들어 전체 신호 중 흥분신호가 억제신호보다 ... ...
이전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