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2003년 한국의 쿨한 과학상품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장치다. 목걸이나 팔찌로 착용하고 다니면서 자신을 홍보하는 움직이는 전광판인
셈
. 자기표현극대화장치라는 이름이 붙은 것도 이 때문이다. 인터넷에서 사용자들끼리 새로 만든 그림을 교환할 수도 있다. 근거리통신기능도 있어 사람들이 많이 모인 곳에서 버튼을 누르면 같은 그림을 가진 ... ...
지방에 대한 5가지 오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사실이 밝혀졌다. HDL과 LDL을 모두 증가시키는 포화지방산보다 더 해로운 성분인
셈
이다. 식물성 마가린이 동물성 버터보다 나을게 없다는 얘기다. 쇼트닝을 쓰는 감자튀김이나 통닭, 스낵류, 쿠키에도 당연히 트랜스지방산이 많이 들어있다. 지난해 7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식품 중 ... ...
1 제인구달 인간과 동물의 경계 허물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침팬지는 도구를 단순히 ‘사용’하는 것을 넘어서 ‘제작’할 줄 안다는 사실이 증명된
셈
이다.침팬지는 화가 나면 나뭇가지를 잡아 막 흔들어댄다. 하루는 화가 난 침팬지 마이크가 나뭇가지를 흔들다가 손에 바나나를 들고 있는 제인을 봤다. 마이크는 나뭇가지를 일부러 떨어뜨리고 다시 좀더 ... ...
2 침팬지도 문장 만들 줄 안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우후우후우후후∼” 제인 구달 박사는 강연을 시작할 때 언제나 청중들에게 이렇게 ‘팬트 후트’(pant hoot)로 첫인사를 한다. 팬트 후트는 침 ... 바라본다면 침팬지를 비롯한 영장류는 각자의 환경에서 훌륭한 언어들을 갖고 있는
셈
이다. 칸지가 촘스키를 만나면 맨 처음 무슨 말을 할까 ... ...
국산 고속전철 3백km 돌파하자 박수·환호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0km, 테니스 선수 서브는 시속 2백30km 정도다. 시속 3백km는 1초에 무려 83m를 날아가야 하는
셈
이다.잠시 뒤 한국형 고속전철이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한다. 통로 한가운데 천장에 설치된 모니터에서 열차 운전실의 광경을 보여주면서 속도를 정확하게 표시해 준다. 열차는 시속 1백km를 넘어 시속 ... ...
매운 고추, 효과도 화끈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혀끝과 구강점막이 얼얼해지는 상태의 영어 표현인 ‘It's hot!’의 과학적 근거가 밝혀진
셈
이다.캅사이신의 자극은 신경세포 말단에서 물질P를 분비시켜 처음에는 통증을 유발한다. 그러나 잔류된 캅사이신이 수용체에 계속 결합해 물질P를 결국 고갈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이후의 자극에 대해 ... ...
첫 키스를 부르는 크리스마스 나무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즉 겨우살이는 땅에 발붙이는 생물이 아니므로 프리그의 요청을 따르지 않아도 무방했던
셈
입니다. 독화살을 만든 사악한 신은 프리그의 허점을 노린 것이죠.겨우살이는 어떻게 다른 나무위로 올라가 뿌리를 내릴 수 있었을까요. 그 비밀은 이름에서 알 수 있습니다. 겨우살이의 고대 영어 이름은 ... ...
지자기 폭풍이 빚어낸 걸작 오로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파장이 6백-7백nm이므로 적색이다. 지구 자기장이 오로라의 신비를 벗기는 한가지 열쇠인
셈
이다.오로라는 1백-4백km 고도의 상층 대기권에 생긴다. 이보다 낮은 대기 중에 구름이 끼었거나, 불빛 때문에 하늘이 밝으면 오로라가 발생했다 하더라도 지상에 있는 사람들에게 보이지 않는다. 오로라가 ... ...
민간 우주여행선 시대 온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Orteig Prize)때문이었다. 민간인의 모험을 북돋우는 이런 상금제도가 상업비행시대를 연
셈
이다.1996년 우주여행을 꿈꾸는 일단의 공상가와 사업가들은 상금 1천만달러가 걸린 ‘X-프라이즈’(X- Prize)를 마련해 우주분야의 린드버그와 세인트루이스의 정신을 기다리고 있다. 하지만 상금을 타기 위한 ... ...
쥐라기 공원에 운석이 떨어지지 않았다면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최빈값과 최대값이 모두 가운데 축에서 멀어져 있습니다. 즉 오른쪽을 향한 추세가 있는
셈
이지요. 진화에 정말로 방향이 있다고 한다면 오른쪽 그래프처럼 그려져야 합니다. 이런 의미에서 왼쪽 그래프의 수동적 추세는 방금 전에 굴드 교수님이 비유하신 술꾼 모형과 정확히 일치합니다.도킨스 ... ...
이전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