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사진 색깔 실제와 달라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공개한 것이다. 실제 색에 가깝게 보정하는 일이 쉽지 않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해프닝인
셈
이다.이에 앞서 지난 1월 29일 영국의 일간 ‘데일리 텔레그래프’ 인터넷판은 NASA가 화성 사진에서 컬러를 조작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이 신문은 NASA가 화성 탐사로봇이 보내온 영상을 필터로 조작해 ... ...
미래에너지 수소 생산에 원자력이 돌파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발표했다. 원자력 발전소는 전기와 수소를 동시에 생산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갖는
셈
.그렇다고 현재의 원자력 발전소가 수소를 생산하는 능력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를 위해서는 차세대 원자력 발전시스템이 개발돼야 한다. 노희천 교수가 이끄는 KAIST 원자로 시스템 설계 및 해석 실험실이 ... ...
1. 복제양 돌리와 줄기세포의 만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줄기세포는 말하자면 ‘여성용’ 이라고 할 수 있다. 남성인 슈퍼맨에게는 아직 길이 먼
셈
. 황 교수도 “앞으로 남성의 경우엔 어떤 체세포를 이용해야 복제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지 연구할 계획” 이라고 밝혔다. 또 배반포기까지의 배아 복제 성공율은 높은 반면 줄기세포주를 확립한 비율이 ... ...
빛을 조작하는 자연의 나노기술 광결정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나머지는 흡수하는 성질이 있다. 몰포나비의 광구조는 파란빛만을 반사시키게 설계된
셈
이다.몰포나비 외에도 자연계에는 광구조를 갖고 있는 생물들을 종종 볼 수 있다. 반짝이는 녹색 겉날개가 아름다운 비단벌레같은 딱정벌레류나 유리새 같은 몇몇 새의 깃털에서도 발견된다. 열대림에는 ... ...
조류독감 발생 현황(2월 9일 현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흐르지 않기 때문이다 즉 램프에 흐르는 전류가 순간적으로 정지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셈
이다 하지만 교류에서는 전원의 극이 (+), (-) 등으로 끊임없이 변화하고 그때마다 서로 반대 극성의 전류가 교대되기 때문에 캐패시터에는 전기가 찰 틈이 없고 극성이 바뀌면서 충전과 방전을 반복한다 교류가 ... ...
3. 배아 줄기세포 치료이용, 그 머나먼 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환자자신의 줄기세포의 단점인 낮은 증식력을 모두 극복한 대안이 바로 배아 복제인
셈
이다.그러나 자궁에 착상만 시키면 복제인간이 만들어지는 배아 복제 연구에는 윤리 문제라는 암초가 숨어있다. “인간복제 의도는 전혀 없다”고 수차례 밝힌 황 교수 자신이 2월 18일 귀국기자회견에서 향후 ... ...
소비자 마음 읽는 독심술사 뉴로마케팅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소비자가 두 그룹의 로고에 대해 각각 전혀 다른 정서를 느끼고 있다는 것이 증명된
셈
” 이라고 말했다. 소비자들은 자신도 모르게 명품족이 되고 싶다고 생각하는 게 아닐까.명탐정 뉴로마케팅 최근 하버드경영대학원 명예교수인 제럴드 졸트먼은 “소비자의 구매 행동을 유발하는 요인은 그 ... ...
사랑에 눈먼 두뇌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합니다. 끊임없이 자신을 사랑하는지 확인받기 원한다면 이미 사랑이라는 마약에 중독된
셈
입니다.다음 단계는 상대에 대해 강한 애착을 느끼는 단계로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이라는 호르몬이 보상중추에 작용하는 시기입니다.동물 실험에서 이 두 호르몬은 짝짓기를 할 때 뿐 아니라 새끼를 낳고 ... ...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유전자를 합성해낼 수도 있게 됐다. 말하자면 건물의 설계도와 시공기술을 갖추고 있는
셈
. 이 단계에서 인공생명체, 좀더 정확하게 말하면 인공미생물은 생명과학자들이 처음으로 도전하는 꿈의 건축물인 것이다.미생물은 식품, 의약품 제조에 있어 빠질 수 없는 존재다. 수천년 동안 술, 된장, ... ...
풍선 타고 우주 향하는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이들의 생명은 우주비행복의 성능에 달려있었다. 목숨을 걸고 우주비행복을 시험한
셈
이었다. 이들이 달성한 고도는 34.67km. 파더와 로스는 이 고도에서 안전하게 살아남았지만 물에 착륙한 후 파더는 익사하고 말았다. 보통 지상으로 되돌아올 때 충격을 줄이기 위해 바다에 착륙하는데 우주복이 ... ...
이전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