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입 속 세상 다스리는 구강청정제 허와 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고 입증된 바 있다. 소금물이나 녹차도 일종의 천연 구강청정제인
셈
이다. 채소나 과일을 많이 섭취하는 것도 구강 건강을 유지하는 좋은 방법이다. 충치 예방에 효과가 있는 자일리톨이 함유돼 있기 때문이다.구강청정제는 바로 알고 사용해야 광고에서 말하는 것처럼 입 속 ... ...
우주 연못에서 뛰쳐나온 올챙이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정도가 걸린다. 때문에 이르면 4월 중순부터는 연못에서 노니는 올챙이를 볼 수 있는
셈
이다.우주에서도 올챙이를 만날 수 있다면 억지일까. 지난해 4월말 미항공우주국(NASA)에서 공개한 허블우주망원경의 영상을 살펴보자. 허블우주망원경에 새로 장착된 첨단관측카메라(ACS)의 위력을 유감없이 ... ...
가가린은 세계 최초 우주인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유인 우주비행을 시도했다. 무모할 만큼 과감한 시도가 놀라운 성공으로 이어졌던
셈
이다.미국은 1959년 12월부터 4마리의 침팬지를 먼저 우주로 보냈다. 동물 우주비행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자 1961년에는 예비시험비행인 2번의 유인 준궤도비행을 시도했다. 이 비행에도 성공하자 마침내 ... ...
미생물유전체 활용기술 개발사업단 미생물 게놈 월드컵 4강 진입의 사령탑 오태광 단장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중량을 합치면 약 3조t인데, 그 중 60%가 바로 미생물이죠. 무궁무진한 연구재료가 있는
셈
입니다.”과학기술부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의 하나인 미생물유전체 활용기술 개발사업을 맡고 있는 오태광 단장은 기자에게 대뜸 흙을 내보이며 이렇게 말한다. 그동안 미생물은 김치를 발효시키고 ... ...
진달래는 왜 초봄에 피어날까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적색광 수용체(피토크롬)가 존재한다. 과장해서 말하자면 식물은 세 종류의 눈이 있는
셈
이다. 이 가운데 광주기 인식에 주로 사용되는 광수용체가 바로 피토크롬이다. 피토크롬도 인간의 광수용체인 로돕신처럼 단백질에 발색단이 결합된 형태의 광수용체다.피토크롬이 빛을 받으면 발색단의 ... ...
머리가 편안해야 장수한다 베개의 과학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있는데, 베개가 높아야 편안하다는 생각이 오랜 시간동안 굳어져 만들어진 관용구인
셈
이다.높은 베개가 편안하다는 생각은 ‘수명세치 안락네치’라는 옛말에도 잘 드러나 있다. 이 말은 장수하려면 3치(약 9cm), 편안하려면 4치(약 12cm) 높이의 베개를 사용하라는 뜻을 담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높은 ... ...
5 분자생물학 만능시대 극복하는 통합생물학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이 Myf5가 없어진 MyoD의 기능을 대신하기 때문이다. Myf5는 MyoD의 대타이며 완충 작용제인
셈
이다.이처럼 한 체계 내부의 동적 평형은 한 구성원이 손상돼도 다른 구성원의 변조로 인해 계속 유지될 수 있다. 모듈의 이런 안정성은 전체 구성원의 네트워크나 상호작용 등을 통해 실현된다.생명의 ... ...
꽃 피게 만드는 유전자의 세계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반면, FLC는 각각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키는 기능을 한다. FLC는 사실상 개화억제자인
셈
이다. FLC를 제외한 나머지 유전자들은 그 발현량이 증가하면 개화가 촉진되고, 발현량이 감소하면 개화가 지연된다. 반면 FLC의 경우에는 발현량이 증가하면 개화가 지연되고, 발현량이 감소하면 개화가 ... ...
물리학의 눈으로 생명을 바라보는 과학자 장회익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일을 막기 위해 작은 산 살리기 운동에 동참하기도 했다. 그는 진보적인 환경운동가인
셈
이다.장 교수에 대해 얘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온생명’이론이다. 이는 그가 생명에 관해 독자적으로 정립한 이론이다. 그의 영역은 동양철학까지 뻗어나간다. 지난해 7월 장 교수는 동양철학의 대표 ... ...
① 메타게놈이 가져온 DNA 연구 혁명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수 있다. 지금까지와는 비교할 수 없는 엄청난 ‘생명공학적 노다지’가 우리 앞에 놓인
셈
이다.그렇다면 어떻게 배양불가능한 미생물 유전자원을 확보할 수 있을까? 현재 과학자들은 ‘메타게놈’(metagenome) 이라는 접근을 통해 새로운 질적 도약을 꿈꾸고 있다.게놈과 메타게놈현대는 생명공학의 ... ...
이전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