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플로팅 시티, 도시를 물에 띄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바다로 둘러싸여 수 십 년 안에 심각한 피해를 받을 수 있어요. 이에 미국 UC버클리대학교 환경계획 및 도시디자인과 크리스티나 힐 교수는 해수면 상승에 대비해 ‘플로팅 시티’를 제안했어요. 플로팅 시티는 말 그대로 물 위에 떠 있는 도시를 뜻해요. 힐 교수는 지난 10월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 ...
- Part 4. [활약3] 우주쓰레기를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때문에 1년 정도 지나면 지구로 떨어질 예정이지요. 반면 2013년 우주로 쏘아 올린 경희대학교의 큐브샛 ‘시네마’는 LINK보다 더 높은 고도에 있어요. 현재 통신이 되지 않아 임무를 수행하지 못하고 있지만, 4년째 우주에 머물고 있지요. 과학자들은 이처럼 고장이 나거나 임무를 끝내 우주에 남아 ... ...
- [과학뉴스] 개의 표정은 인간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따라 무의식적으로 근육을 움직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최근 영국 포츠머스대학교 연구팀이 개가 사람과 의사소통을 하기위해 표정을 짓는다는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다양한 품종의 1살~12살 사이 반려견 24마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어요. 개가 사람을 보고 ... ...
- Intro. 음료수 캔이 인공위성이 된다?! 큐브샛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안녕, 난 거리를 헤매는 음료수 캔이야! 밤마다 하늘에 반짝이는 별이 된 내 모습을 꿈꾸지. 다 쓰고 버려진 캔이 어떻게 별이 될 수 있냐고? 놀라지 마. 큐브샛이 되어 우주로 날아가면 밤하늘의 별처럼 반짝일 수 있다는 얘길 들었어. 내 꿈은 이루어질 수 있을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Part 2. [활약1] 뭉치면 강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국제공동연구 프로젝트지요. 우리나라에서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LINK’와 서울대학교의 ‘SUNSAT-1’, ‘SUNSAT-1b’가 참여했답니다. 이중 LINK는 지난 4월 발사되어 국제우주정거장(ISS)에 한 달 정도 머물렀다가 5월 18일쯤에 궤도에 진입했어요. 이후 1시간 만에 호주에 있는 지상국과 교신하는 데 ... ...
- Part 5. 별처럼 반짝반짝~ 캔, 인공위성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주최하는 ‘캔위성 체험 경진대회’가 매년 열리고 있어요. 고등학생과 대학생이 팀을 이뤄 캔위성을 만들고, 팀별로 정한 창작 임무를 잘 구현한 팀을 가려요.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캔위성 키트를 이용해 직접 만들고 발사해 보는 체험을 할 수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 ...
- Part 2. 독침에 농장 파괴까지, 악동 개미 습격 사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사건 1. 독으로 깜짝깜짝!외래 붉은불개미는 다른 외래 생물보다도 더 많은 관심을 받았어요. 독으로 사람에게 직접 피해를 입히는 외래 생물은 우리나라에 처음이거든요. 외래 붉은불개미는 독특한 독성분을 갖고 있어요. 바로 ‘솔레놉신’이에요. 이 독에 쏘이면 순간 뜨겁게 느껴지고, 가려움 ... ...
- Part 1. 작지만 강한 큐브샛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만들어 보는 실습이 필요했지만, 실제 크기로 만들기엔 비용이 너무 비쌌어요. 그래서 두 대학교 연구진들은 가로, 세로, 높이가 10cm인 초소형 위성을 학생들이 직접 만들어 보게 했어요. 이 초소형 위성이 지금의 ‘큐브샛’이랍니다. 이후 큐브샛은 우주 탐사에 필요한 기술을 검증하는 데에 ... ...
- [과학뉴스] 투명한 태양 전지판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무겁고 새까만 탓에 아무 곳에나 설치하기 어려웠지요. 그런데 최근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연구팀이 투명한 태양 전지판을 개발했어요. 연구팀은 태양 전지판 표면에 특정 파장의 햇빛을 흡수하는 물질을 코팅했어요. 이 물질은 적외선과 자외선 파장만을 모아서 전기로 바꾸지요. 사람이 볼 수 ... ...
- [과학뉴스] 공룡의 똥이 지구를 풍요롭게 만들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지구의 땅을 풍요롭게 만들었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 미국 노던애리조나대학교 연구팀은 거대한 초식 공룡인 용각류 공룡이 먹이를 먹고 배설할 때까지 움직이는 거리를 계산했어요. 그 결과, 공룡은 먹이를 먹고 평균 51km이상의 먼 거리를 움직인 뒤 배설을 한 것으로 나타났어요. 즉, ... ...
이전366367368369370371372373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