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틀즈의 ‘스트로베리 필즈 포에버’, 혁신에 수학을 더하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한계를 획기적인 방법으로 해결한 것이지요. 브라운 교수는 로버트 도슨 세인트 메리대학교 수학과 교수와 함께 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수학공식을 도출해 논문으로 발표했습니다. 명곡을 만들어내기 위해 수학은 필수인 걸까요? 브라운 교수는 그렇다고 말합니다. 스스로 인지했든 못했든, 위대한 ... ...
- 수학킹 만드는 보드게임 매트리킹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아무리 수학을 좋아하는 사람도 새로운 수학개념을 배울 때는 긴장하기 마련이에요. 처음보는 공식과 문제를 이해하지 못해 수학책이 꼭 외국어 소설 같은 느낌이 들지요. 물에 들어가기 전에 준비운동을 하는 것처럼, 수학을 공부할 때도 준비운동이 필요해요. 게임처럼 재밌는 준비운동을 하 ... ...
- Part 2. 호모 사이보그, 신분증이 내 몸속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미국에서 열린 마이크로칩 파티지난해 8월 1일, 미국 위스콘신주의 IT기업 ‘쓰리 스퀘어 마켓’에서 특이한 파티가 열렸어요. 바로 직원들의 손에 마이크로칩을 심는 ‘칩 파티’였지요. 이날 직원 85명 중 50명이 자신의 손에 칩을 이식 받았답니다. 이들은 칩으로 문을 열고 복사기를 사용하며, ... ...
- 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세포 + 로봇 = 사이보그?!2008년, 영국 레딩대학교 연구진은 쥐의 뇌 세포 30만 개로 움직이는 로봇을 개발 했다고 발표했어요. ‘고든’이라 불리는 이 로봇은 쥐의 뇌 세포와 연결된 전극판으로부터 전기 신호를 받아 움직여요. 이 신호의 세기에 따라 바퀴 두 개를 굴려 앞으로 나아가지요. 사람의 ... ...
- [과학뉴스] 초소형 벌 로봇, 진짜 벌처럼 윙윙~!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오랫동안 날기 위한 전력 공급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어요. 미국 코넬대학교 실비아 페라리 교수팀이 최신 반도체 ‘뉴로모픽 칩’을 로보비에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어요. 뉴로모픽 칩은 뇌의 신경세포들이 정보를 주고받는 방법을 모방해서 만든 반도체예요. 실제 사람의 ... ...
- Intro. 반 고흐도 깜짝 놀란 과학이 빛나는 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반 고흐도 깜짝 놀란 과학이 빛나는 밤Part 1. 현대 기술로 재탄생한 반 고흐의 그림Part 2. 에 숨겨진 비밀Part 3. 반 고흐의 그림을 추적하다! ...
- Part 2. 에 숨겨진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세밀하게 표현하기로 유명한 고흐도 그림은 대충 그린 것일까요? 미국 조지아대학교 연구팀은 고흐의 해바라기가 야생 해바라기의 돌연변이라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연구팀은 우선 야생 해바라기와 수술이 꽃잎 모양으로 변형된 ‘반겹 해바라기’를 교배시켜 ‘겹 해바라기’를 ... ...
- [실전! 반려동물] 개는 왜사람을 무는 걸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왜?] 개는 지금 힘 조절 연습 중!어떤 개는 택배 배달원이 올 때마다 크게 짖고, 또 다른 개는 산책을 하다가 지나가던 사람을 물기도 해요. 이처럼 개들이 공격적인 행동을 하는 이유는 무엇 일까요? 개는 본능적으로 공격적인 행동을 해요. 생존을 위한 공격성을 갖고 있거든요. 특히 어린 개들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비해 아직 부족한 수준이어서 국가 연구방향을 설정해 역량을 집결할 필요가 있다”며 “대학, 국책연구기관, 기업이 서로 협력해 성과를 바로 산업화하는 ‘이노밸리(혁신지역)’ 형태의 지원도 적극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담그게 됐다. 현재 미국 조지타운대 생물학부에서 유전학, 발생학 등을 가르치며 새로운 대학 과학교육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생물학에서는 유전자 또는 기작이 내는 효과를 크게 둘로 분류합니다. 기준은 그것이 세포의 자율적인 효과(cell autonomous effect)인가, 비자율적인 효과(cell non-autonomous e ... ...
이전3623633643653663673683693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