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DJ CHO의 롤링수톤] 지미 헨드릭스의 ‘퍼플 헤이즈’ 기타의 신과 27클럽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떠나며 27클럽에 이름이 올랐습니다. 뮤지션과 27. 정말 관련이 있을까요? 호주 시드니대학교 음악심리학과 다이아나 케니 교수는 대중음악가에게 27세의 죽음이 특별한 것인지 검증하기 위해 통계를 이용해 분석했습니다. 1950년에서 2010년 사이에 활동한 다양한 장르의 대중음악 가수 1만 1054명을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심의 게임에 숨겨진 램지정리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이번에 소개할 ‘심의 게임’은 서로 다른 색의 펜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즐길 수 있는 게임이에요. 규칙은 무척 간단하지만, 알고 보면 램지정리라는 복잡한 수학 이론으로 만들어졌답니다. 게임을 즐기며 램지정리가 무엇인지도 함께 살펴보세요! ...
- 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세포 + 로봇 = 사이보그?!2008년, 영국 레딩대학교 연구진은 쥐의 뇌 세포 30만 개로 움직이는 로봇을 개발 했다고 발표했어요. ‘고든’이라 불리는 이 로봇은 쥐의 뇌 세포와 연결된 전극판으로부터 전기 신호를 받아 움직여요. 이 신호의 세기에 따라 바퀴 두 개를 굴려 앞으로 나아가지요. 사람의 ... ...
- Part 3. 반 고흐의 그림을 추적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반 고흐 방의 진짜 벽 색은? 테오에게. 이번에 그린 그림은 나의 방이다.벽은 창백한 보라색이고, 바닥에는 붉은 타일이 깔려 있다. 위의 글은 고흐가 동생 테오에게 쓴 편지 중 일부예요. 미국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연구팀은 편지의 내용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했어요. 고흐의 그림 ...
- [시사기획] 폴더블폰, 그분이 오신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아니라 11개 대학의 연구진과 협업한 결과”라며 대학과 기업의 협업을 강조했다. 일부는 대학에서 연구한 결과를 삼성디스플레이 연구진이 생산 공정에 적합하도록 발전시킨 것이다. 박 교수는 “폴더블폰의 안정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가령 박 ... ...
- [인터뷰] 상위 1%, KAIST 총장장학생 오현창, 1등 비결이요? 실패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KAIST에 끌렸다. “KAIST는 1학년 때 전공을 선택하지 않아요. 고등학교 때 공부만 했는데 대학을 선택하면서 평생 무엇을 할지 바로 결정하라고 하면 정말 어렵잖아요. 여기서는 1학년 때 다양한 과목을 공부하고 2학년 때 전공을 선택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아요.” 오 씨는 화학과 생명과학을 ... ...
- 2017학년도 KAIST 면접 문제 수학 2번 문항과학동아 l2018년 01호
- ...
- Intro. 수학, 미래를 보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두툼한 등산용 패딩에서 롱패딩까지. 시시각각 변하는 유행만큼 세상도 빠르게 변한다. 인공지능이 약 4000년 동안 인간의 고유 영역이었던 바둑을 따라잡은 지금, 몇몇 사람들은 미래에 인공지능이 세상을 지배하거나 사회가 붕괴할 거라고 예측한다. 알 수 없지만 알고 싶은 미래. 카를 가우스가 ... ...
- Part 2. 인공지능, 인간 못 넘는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인공지능이 프로기사를 상대로 이기는 장면을 전 세계가 목격했습니다.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인류미래연구소가 인공지능이 바둑에서 인간을 뛰어넘을 거라고 예측한 것보다 10년 정도 빠른 시기였죠. 지능뿐만이 아닙니다. 최근 보행로봇을 개발하는 회사인 미국의 보스턴 다이나믹스는 걷고 ... ...
- 시계장인은 수학천재? 태엽 시계의 반란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위해 수퍼컴퓨터를 써야 했다. 스위스 시계회사 파텍 필립도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학교와 협력해 연구소를 운영한다. 2014년, 해당 연구소의 수학자 일란 바르디는 이스케이프 휠이 없는 기계식 진동자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스마트폰이 정확한 시간을 알려주는 요즘, 기계식 시계는 어찌 보면 ... ...
이전3593603613623633643653663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