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항구가 발칵! 외래 붉은불개미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따르르르릉~!”“네~, 곤충 탐정 앤트 홈즈입니다. 뭐라구욧?부산에 수상한 개미가 나타났고요? 바로 갈게요!”부산항에서 신고가 들어왔어. 처음 보는 개미가 나타났다는데 움직이는 게 심상치 않다네? 얼른 와서 무슨 개미인지, 또 어떡해야 하는지 알려 달라는군. 서둘러 부산으로 가 보자! ... ...
- Part 3. 외래 붉은불개미의 습격, 과연 끝났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이런 개미가 우리나라에 들어왔다니 정말 큰일이야. 더 퍼지지 않게 빨리 찾아서 막아야만 해! 그러려면 반드시 여왕개미부터 찾아야 하는데…. 여왕개미야, 어디에 있니~? 여왕개미는 죽었을까, 숨었을까?정부는 지난 9월 29일부터 10월 9일까지 10일간 외래 붉은불개미를 찾기 위한 조사를 계속 ... ...
- Part 3. [활약2] 지구를 넘어 화성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큐브샛은 작지만 여러 대가 뭉치면 다목적 위성만큼 멋진 일을 해낼 수 있구나. 큐브샛 수십 대가 줄맞춰 비행하는 모습을 상상하니 정말 멋져! 그런데 감탄을 하기엔 아직 일러. 박사님께서 말씀해 주셨는데 달이나 화성은 물론, 먼 우주까지 가는 큐브샛도 있대! 달에서 물 찾고 소행성 탐사 나 ... ...
- Part 1. 남미산 개미가 부산항에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외래 붉은불개미, 넌 누구냐?지난 9월 28일 오후 5시, 부산 감만부두에서 수상한 개미들이 발견됐어요. 콘크리트 바닥 틈새로 작고, 붉은 개미 1000여 마리가 모여 있었지요. 전국의 개미 전문가들이 즉시 모여 분석한 결과, 그 개미는 바로 전세계의 골칫덩어리인 ‘외래 붉은불개미’로 밝혀졌답 ... ...
- [공룡은 왜?] 공룡 백과사전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세이스모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박사는 암컷과 수컷의 목 길이가 다르다는 주장을 내놨어요. 반면 2011년 영국 브리스톨대학교의 테일러 박사팀은 암수에 따라 디플로도쿠스류 공룡들의 목 길이가 다르지 않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지요. 대신 연령이나 좋아하는 먹잇감의 차이가 목의 길이와 연관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답니다 ... ...
- Part 2. 부리, 다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동안 다른 다리가 쉴 수 있다는 거지요. 그런데 최근 미국 조지아공과대학교와 에모리대학교 연구팀은 홍학이 근육의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한쪽 다리로 선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진동을 측정하는 판 위에 새끼 홍학을 올려놓고, 한 다리로 선 자세에서 움직임을 ... ...
- [과학뉴스] 걸으면서 커피 쏟지 않으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시상식의 전통에 따른 짧고 익살스러운 수상 소감이었지요. 한편 스위스 취리히대학교 연구팀은 호주 원주민의 전통 악기가 코골이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밝혀서 ‘평화상’을 받았어요. 또 영국의 의사인 제임스 히스콧은 나이가 들면 귀가 커지는 이유를 연구해서 ‘해부학상’을 ... ...
- Part 1. 똥냄새는 2억 8000만 년 전부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수정은 9월 말에서 10월 중순 사이에 일어난다는 사실도 발견했지요. 이후 그는 도쿄대학교 식물학 논문집에 정밀화와 함께 이 내용을 발표했고, 이 일을 계기로 식물학이 크게 발전하게 되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킁킁~! 똥냄새가 생존전략? 은행나무의 비밀Part 1. ... ...
- Part 1. 모래, 세계 곳곳에서 사라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모래가 갑자기 사라지자, 바닷속에 살던 산호도 함께 사라지고 말았어요. 캐나다 유엔대학교 연구팀이 페르시아만의 해양 생태계를 조사해 본 결과, 모래 채취 후 페르시아만 산호초 군락의 70%가 파괴된 것으로 나타났답니다. 모래는 물 다음으로 많이 쓰는 자원모래는 육지의 암석 ... ...
- [과학뉴스] 독개구리가 독을 품고도 멀쩡한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그런데 저는 포식자는 물론 다른 개구리들과도 이 수용체가 다르거든요. 미국 텍사스대학교 레베카 트래빈 연구원팀은 저와 같이 에피바티딘을 독소로 갖고 있는 개구리와 다른 종류의 독소를 갖고 있는 개구리, 그리고 독이 없는 개구리의 독 수용체가 어떻게 다른지 비교해 봤어요. 독 성분들과 ... ...
이전3673683693703713723733743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