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스페셜
"
길
"(으)로 총 1,102건 검색되었습니다.
말소리 잘 못듣는 난청 치료
길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5
이창준 IBS 인지및사회성연구단장(왼쪽)과 최병윤 분당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IBS 제공. 청신경 이상으로 소리를 인지할 수 있지만 말소리 구별 능력이 떨어지는 난청 질환인 ‘청각신경병증’을 유발하는 새로운 유전자가 발견됐다. 유전자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달팽이관 기능을 대체하는 ... ...
삼성바이오 위탁생산하는 모더나 백신 핵심 mRNA 기술 왜 확보 어렵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5.23
보호 면제나 유예가 이뤄지면 백신을 개발하지 못한 국가에서도 자체 생산할 수 있는
길
이 열릴 수 있다. 한국 정부도 이달 17일 mRNA 백신전문위원회를 개최해 mRNA 기술 개발과 관련된 정부의 부처별 지원 방향을 논의하는 등 mRNA 백신 개발을 준비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백신 지재권이 면제되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두 번째 팬데믹'을 슬기롭게 극복하려면
2021.05.23
내가 겪는 것은 오직 현재이므로 현재를 싫어하거나 부정하는 것은 불행의 지름
길
이다. 나와 타인의 노력을 과소평가하지 말 것 한정된 에너지를 가지고 살아가는 존재로써 우리가 하는 모든 행위는 에너지 소모를 불러온다. 하다못해 아침에 따듯한 이불 속을 거부하고 일어나는 행위도 ... ...
[지구는 살아있다] 운봉산 돌무더기는 '빙하기의 증거'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5.22
형태로 흘렀다는 증거를 곳곳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증거는 암괴류를 따라
길
게 나타나는 움푹 꺼진 자국입니다. 이곳은 암석 밑의 얼음이 두꺼워서 암괴가 가장 빠르게 흘렀던 자리입니다. 기후가 따뜻해지며 얼음이 녹으면 돌무더기가 내려앉으며 고랑처럼 쑥 들어간 부분이 나타나게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언론 왜곡으로 잊혀진 페니실린 탄생의 진짜 주역들
2021.05.20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과에 진학했지만 간절히 원하던 동물행동학자의
길
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수컷의 교미시간이 환경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 ...
우주정책센터 마지막 퍼즐 '센터장' 공모 놓고 관심
동아사이언스
l
2021.05.18
확대된 우주시대에 미국과 중국, 일본 등 우주개발에 주도권 경쟁에서 한국이 살
길
을 찾는 밑그림을 그리는 센터의 구조를 만드는 막중한 임무를 맡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재단 공고에 따르면 센터장은 우주 정책 분야 전문성과 조직경영에 대한 경륜과 식견을 가지고 혁신을 추진할 수 있는 산학연 ... ...
[한 토막 과학상식] "이황화탄탈럼은 부도체" 40년 물리학계 논쟁 종결
동아사이언스
l
2021.05.16
없는 물질로 비유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모트 부도체는 전자가 흐를
길
은 있지만 전자
길
안에 전자가 꽉 채워져 움직일 수 없는 형태의 물질이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고체를 구성하는 수많은 전자간 상관관계에 따른 물질변화를 밝히는 양자역학 계산법의 진전”이라며 “다양한 상전이 ... ...
AI로 맞춤형 교육과정 추천…교육부 맞춤배움
길
서비스 개시
연합뉴스
l
2021.05.16
이뤄진다. 서비스는 회원 가입 없이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맞춤배움
길
에서는 교육 과정 추천 외에도 전공·국가자격증·직업 정보 검색과 학습자 성향 검사 서비스도 제공한다. 교육부는 교육 정보 제공 기관을 전문대학으로 확장해 교육 과정 추천 서비스를 고도화해 나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주 어딘가에 반물질로 이뤄진 반별이 있을까
2021.05.11
반세계)이 있을 수도 있다”는 표현을 써도 무리는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설사 증명할
길
이 없더라도. 우주에는 1000억 개가 넘는 은하가 존재한다. 이 가운데 반물질로 이뤄진 반은하도 존재할지 모른다. 그러나 빛이나 중력파 같은 관측 데이터로는 물질 천체와 반물질 천체를 구분할 수 없다. NASA ... ...
왜 변이 코로나엔 백신 효과가 떨어질까
연합뉴스
l
2021.05.06
스파이크 단백질은 숙주세포의 ACE2 수용체와 결합해 바이러스가 세포로 들어가는
길
을 연다. 지금까지 코로나19 관련 연구는 대부분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 결합 도메인(RBD)에 초점을 맞췄다. ACE2 수용체와 직접 결합하는 RBD가 인체 면역계의 주요 표적이 될 거로 추정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