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스페셜
"
길
"(으)로 총 1,10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산업 리포트] 우주산업도 4차 산업혁명 중 '3D프린팅'
2021.07.03
올리는 것이다. 이 실험이 성공하면 현재 인공위성 산업의 판도에 엄청난 지각변동이 생
길
것으로 전망된다. 3D 프린팅 기술은 국제우주정거장(ISS) 유지·보수에도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ISS의 수리가 필요할 때 지구에서 부품을 보내면 큰 비용과 시간이 든다. 아무리 적게 잡아도 한번 수송에 ... ...
항공기에서 위성 쏜다…버진 오빗, 첫 상업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7.01
지구 중력을 벗어나는 데 드는 힘이 적게 드는 만큼 발사 비용을 아낄 수 있다. 론처원은
길
이 21m로 2단 발사체로 500km 고도 저궤도에 500kg의 탑재체를 올릴 수 있다. 버진 오빗은 고도 13.7km까지 올라간 후 론처원을 떨어트리고 로켓 엔진을 점화시키는 발사 방식을 택하고 있다. 버진 오빗의 우주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부실학회, 장롱특허 그리고 출연연
2021.07.01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과에 진학했지만 간절히 원하던 동물행동학자의
길
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수컷의 교미시간이 환경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 ...
누리호 개발하는데 고체 우주발사체 왜 개발할까
2021.06.28
사상 최대의 발사체인 스페이스론치시스템(SLS)도 중형 고체발사체보다도 큰 54m
길
이의 고체부스터를 활용한다. 전문가들은 액체 우주발사체가 정기노선 버스라면 고체 발사체는 ‘택시’에 해당한다고 평가한다. 액체 발사체가 많은 위성과 화물을 우주로 실어나른다면 고체 발사체는 짧은 ... ...
[프리미엄리포트]쓰레기 묻으면 100t 태우면 15t
과학동아
l
2021.06.27
싱가포르 국립환경청 제공 환경부가 선언한 ‘직매립 제로’를 실현하기 위해선 아직 갈
길
이 멀다. 폐기물을 소각할 시설을 확충하고, 기존에 운영 중인 소각시설을 재정비해야 한다. 게다가 폐기물을 소각하더라도 소각재를 묻을 매립지는 여전히 필요하다. 앞으로도 폐기물 처리시설을 둘러싼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뉴턴이 무너졌다
2021.06.24
할지도 모르겠다. 우선은 정밀한 도량형과 관계가 있다. 국제도량형국에서 정의하는
길
이의 단위로서의 1m는 광속에 근거를 두고 있다.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광속은 우리 우주에서 불변의 상수라는 지위를 갖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해 단위를 정의하면 편리하다. 광속은 1초에 대략 3억m(정확히는 299,7 ... ...
[강석기의 과학카페]피부에 흉터 남기지 않고 나을 수 있을까
2021.06.22
않을 사람이 얼마나 되겠는가. 상처가 났을 때 임신 24주 이전의 방법대로 회복하는
길
을 찾는 게 오늘날 피부 과학자와 의학자의 꿈이다. 50년 전인 1971년 양의 태아에서 상처가 흉터없이 치유된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그 뒤 사람에서도 24주 이전 태아까지 그러다가 이후 이런 능력을 잃는 것으로 ... ...
'예방률 47%' 초라한 성적 받은 큐어백의 mRNA백신, 과학자들 왜 실패에 주목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6.21
대체하면 면역 반응을 피하고 단백질 생산이 잘 일어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며
길
이 열렸다. 이후 비슷한 대체재들이 개발됐다.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은 RNA의 4가지 뉴클레오사이드 중 하나인 유리딘을 ‘메틸수도유리딘’으로 바꾸는 방식으로 면역 문제를 해결했다. 자연 유리딘을 아예 쓰지 ... ...
[우주산업 리포트] 우주쓰레기 청소 사업에 나선 기업들
2021.06.18
생긴 것을 확인했다. 캐나다는 이 로봇팔을 2001년부터 운영해왔다. 구멍의 크기는
길
이 17.6m, 지름은 35㎝로 로봇팔 기능에 영향을 주는 정도는 아니었다. 하지만 우주 쓰레기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ISS는 지난해에만 우주 쓰레기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유네스코 과학보고서와 한국의 과학기술
2021.06.17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과에 진학했지만 간절히 원하던 동물행동학자의
길
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수컷의 교미시간이 환경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