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스페셜
"
길
"(으)로 총 1,102건 검색되었습니다.
랜턴을 켜고 낮은 포복으로 탐험하는 '백룡동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7.31
물속에서 톡톡거린다. 최 박사는 '아시아동굴옆새우'라고 했다. 그렇게 다시 들어온
길
을 따라 아름다운 동굴 구조와 생성물을 감상하며 어느덧 동굴 입구에 다다랐다. 짧고 굵은 동굴탐사를 시작한지 2시간 30분이 흘러 있었다. 하루 입장 가능 인원을 제한하고 있는 백령동굴 입구엔 ... ...
“함께 일하고 싶은 사람 되라” 공대 여학생들에 대한 임혜숙 장관의 당부
동아사이언스
l
2021.07.29
이화여대로 부임한 뒤 공과대학장을 역임하고 대한전자공학회장직을 수행하면서 공직의
길
로 나가야겠다는 결심을 했다고 밝혔다. 임 장관은 “제도와 정책을 만들고 많은 사람들에게 이익을 주는 기관이 장이 의미가 있다는 생각을 했다”며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직에 지원해 ... ...
"한국이 유인 우주탐사 소외되지 않으려면 두 번째 우주인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7.28
아르테미스 계획을 위해 협력하는 아르테미스 협정에 서명하며 유인 달탐사 참여의
길
을 열었다. 최 책임연구원은 “유인 달탐사에 필요한 기술적 목표 중 독자 개발이든 협력을 통해 개발하든 어떤 기술을 개발할지 선정해야 한다”며 “대부분은 한국 기술로 개발이 가능하고 한국의 파이를 키울 ... ...
"국내 뇌 연구, 논문만 내지 말고 이제는 상용화도 관심 가져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7.28
기술을 상용화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서판
길
한국뇌연구원장은 "이런 자리를 비롯해 정부와 학계, 산업계, 연구소와 병원 등 다양한 관계자가 사회적 이슈와 현황을 공유하고 심도있게 토론하면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방향을 ... ...
전문가들 "'위드코로나' 국내는 아직 시기상조…하지만 언젠가 영국·싱가포르 따라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7.26
전략을 시행하다가 다시 락다운할 상황이 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정재훈 가천대
길
병원 인공지능 빅데이터 융합센터장(예방의학교실 교수)은 "영국과 이스라엘의 사례를 봤을 때 신규 확진자 수는 언제든지 다시 늘어날 수 있다"며 "전체 백신 접종율보다 중요한 것이 고령자, 기저질환자 같은 ... ...
스페이스X, 화성 너머 목성 위성 '유로파' 탐사
길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6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목성 위성인 유로파를 탐사할 유로파 클리퍼를 개발 중이다. 동아사이언스 민간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손을 잡고 화성을 넘어 목성 탐사에 도전한다. 지구와 유사해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목성의 위성 ‘유로파’에 보낼 탐사선을 우주에 쏘 ... ...
[표지로 읽는 과학]가속기 없이 만드는 강력한 방사광
동아사이언스
l
2021.07.24
네이처 제공. 이번주 네이처는 전자의 움직임으로 만들어진 레이저 빔이 생체나 물질의 구조를 들여다보는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1970년대부터 거대 규모의 ... 효율성을 높이면 대학에서도 갖출 수 있는 소형 가속기로 구동되는 X선 자유전자 레이저를 만들
길
을 열었다”고 평가했다. ... ...
[우주산업 리포트]"더 정밀한 PNT 정보를 선점하라" GNSS에 도전하는 기업들
2021.07.23
년 1460억 달러(한화 167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위치정보 기반 서비스와
길
안내 서비스가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인공위성 기반 초정밀 PNT 정보는 자율주행차나 드론처럼 무인으로 작동하는 장비가 정확하고 안전하게 움직이기 위해 꼭 필요하다. 그리고 이런 정보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우주의 '괴물' 블랙홀
2021.07.22
지평선이 공간 속의 어떤 특별한 지점도 아니다. 다만 그 경계를 넘어서는 순간 왔던
길
을 다시 돌아갈 수는 없으니 대단히 조심해야 한다. 슈바르츠실트 반지름은 질량이 주어지면 그 값에 정비례해서 결정되는 양이다. 앞서 소개했던 사례에서 태양이나 지구를 어둑별로 만들기 위해 필요했던 ... ...
기초지원연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해 세계적 분석기관으로 도약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상용화했다. 외국 제품이 독점해온 국내 시장을 대체할 수 있는 국산화의
길
을 열었다는 평가다. 한철수 연구개발장비부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시료를 원자수준으로 볼 수 있는 투과전자현미경(TEM) 중 저전압 보급형 TEM 국산화를 목표로 해 국내 처음으로 30kV급 TEM 개발에 성공했다. 2025년까지 고성능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