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를 만든 27%의 숨은 공로자, 암흑물질과학동아 l2022년 04호
-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 물질은 단 5%에 불과하다. 수정뉴턴역학과 은하의 회전속도정체가 밝혀지기 전까지는 암흑물질 또한 우주를 설명하는 한 가지 학설일 뿐이다. 암흑물질을 도입하지 않고 나선 은하의 회전 속도를 설명할 방법도 꾸준히 연구돼 왔다. 1983년 이스라엘의 ... ...
- [가상 인터뷰] 2배속으로 강의를 들어도 학습 결과가 같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영상을 빠르게 보면 학습 효과가 떨어질 거라 우려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우리 학교 심리학과 알란 카스텔 교수는 배속재생이 과연 학습 효과를 해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231명의 재학생과 함께 실험을 진행했어요. 어떻게 학습 효과를 비교했나요?우선 연구팀은 역사와 부동산에 대한 2편의 강의 ... ...
- [기획] 항바이러스제, 꼭 필요하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주로 살아남을 겁니다. 그 사례가 바로 오미크론과 델타 변이입니다.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정용석 교수는 “이번 치료제 도입으로 변이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공격 대상이 S단백질이 아니라 다른 부위이기 때문이죠. 물론 항바이러스제도 변이를 유도할 ... ...
- [지구사랑탐사대 인터뷰] 국립생태원장상 받았다 생태모방 기술로 새들을 지켜조 (鳥)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속에 충전재로 들어 있는 물새의 깃털을 꺼내어 현미경으로 관찰했어요.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의복과건강 연구실의 교수님께 이메일로 조언을 구하고, 관련 논문도 추천받아 읽었죠. 연구 방법② 적합한 인공 충전재를 찾아라!깃털과 가장 비슷한 인공 충전재를 찾기 위해 형상, 가늘기, 촉감, ...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이두희 멋쟁이사자처럼 대표 “NFT 게임으로 전 세계 1등을 꿈꿉니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붕괴돼 인기가 식은 컴퓨터공학과를 선택했어요.”대학을 졸업하고는 컴퓨터공학과 석사과정에 입학했다. 심도 깊은 연구를 하고 싶다기보다는 전문연구요원으로 군대 복무를 대체하겠다는 숨은 의도가 있었다며 솔직히 고백했다. 다만 대학원 생활이 너무 맞지 않아 중퇴하고, 게임회사의 부설 ... ...
- [이달의 식물사연] 파리를 유혹하는 갯쥐방울덩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잎을 먹게 되면 독성 때문에 죽을 수 있다. ※필자소개.박원순. 서울대 원예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롱우드 가든에서 국제 정원사 양성 과정을 밟았으며, 델라웨어대에서 대중원예 석사 학위를 받았다. 에버랜드에서 식물 전시를 담당하다가 현재는 국립세종수목원 전시기획운영실장으로 재직 ... ...
- 암흑물질의 추적자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3월 9일 오전 9시, 카르스텐 로트 미국 유타대 물리천문학과 교수(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와 화상 인터뷰를 시작했다. 로트 교수는 지난 2005년 아이스큐브를 설립할 때부터 참여해 현재는 아이스큐브 출판위원회와 연사위원회 회원으로 있다. “아이스큐브의 목적은 거대한 중성미자 망원경을 ... ...
- 지자체ㆍ대학ㆍ기업이 만들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DSC 공유대학과학동아 l2022년 04호
- 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대전, 세종, 충남 지역의 24개 대학, 이공계 분야 101개 전공학과가 모여 DSC 공유대학을 설립했다. DSC 공유대학에 입학하고 학기당 9학점 이상 이수한 학생에게는 200만 원 내외의 장학금이 지원되며, 4학기 과정을 이수하면 복수학위를 받게 된다. 협력 기업에 취업할 때 혜택도 ... ...
- [이달의 책] 다이얼로그 물리학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바뀔 수 있음을 말한다. 이 아름다움을 전하기 위해 저자인 이공주복 이화여대 물리학과 교수는 수학을 덜어내고, 논리 전개 과정을 쉽게 풀었다. 그 덕에 물리학 초심자들은 ‘내용을 알아들었다고 착각’하는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정말로 물리학을 습득하려면 ... ...
- [기획] 다리가 다글다글! 다지류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아이코, 깜짝이야! 놀랐니? 지네부터 노래기까지, 우리는 다리 많기로 이름난 다지류! 왜 이렇게 징그럽게 생겼냐고, 곤충 아니냐고 오해를 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사실 우리는 4억 년이 넘는 오랜 역사를 지닌 동물이라고. 우리에 대해 알면 알수록 다지류가 색다르게 보일걸?지금부터 꼬물꼬물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