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오늘은 나도 애국자! 마법처럼 태극기가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않는 투명인간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 지난 2월, 미국 워싱턴대학교 생물학과 제프리 리펠 박사팀은 이집트숲모기가 사람이 내뱉는 숨에 섞인 이산화탄소 냄새와 특정 색에 강하게 반응한다고 밝혔어요.연구팀은 먼저 투명한 실험실 안에 이집트숲모기를 가두고 컴퓨터 추적시스템을 ... ...
- [이달의 식물사연] 열대 숲을 밝히는 핑크 랜턴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서울대 원예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롱우드 가든에서 국제 정원사 양성 과정을 밟았으며, 델라웨어대에서 대중원예 석사 학위를 받았다. 에버랜드에서 식물 전시를 담당하다가 현재는 국립세종수목원 전시기획운영실장으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나는 가드너입니다’ ‘식물의 위로’ ‘미국 ... ...
- [과학뉴스] RNA 바이러스 기원을 찾아과학동아 l2022년 05호
- 바가 없었다. RNA 바이러스의 기원조차 몰랐다. 매튜 설리번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미생물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RNA 바이러스진화의 ‘잃어버린 고리’를 발견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4월 7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ence.abm5847 잃어버린 고리는 생물 진화과정의 순서를 나타내는 ... ...
- [이달의 책] 한양대 교수진에게 직접 듣는 바이오메디컬공학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에너지원으로 삼는 생체연료전지를 관리할지도 모른다. 한양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진인 저자 7명이 바이오메디컬공학의 세계를 책으로 풀어냈다. 바이오메디컬공학의 다양한 영역을 알기 쉽게 설명했다. 사이사이엔 앞으로 바이오메디컬공학이 가야 할 길, 바이오메디컬공학도가 갖춰야 할 ... ...
- [지구사랑탐사대 인터뷰] 국립생태원장상 받았다 생태모방 기술로 새들을 지켜조 (鳥)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속에 충전재로 들어 있는 물새의 깃털을 꺼내어 현미경으로 관찰했어요.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의복과건강 연구실의 교수님께 이메일로 조언을 구하고, 관련 논문도 추천받아 읽었죠. 연구 방법② 적합한 인공 충전재를 찾아라!깃털과 가장 비슷한 인공 충전재를 찾기 위해 형상, 가늘기, 촉감, ... ...
- [이달의 식물사연] 파리를 유혹하는 갯쥐방울덩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잎을 먹게 되면 독성 때문에 죽을 수 있다. ※필자소개.박원순. 서울대 원예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롱우드 가든에서 국제 정원사 양성 과정을 밟았으며, 델라웨어대에서 대중원예 석사 학위를 받았다. 에버랜드에서 식물 전시를 담당하다가 현재는 국립세종수목원 전시기획운영실장으로 재직 ... ...
- [이달의 이슈] 기후변화로 더 날카로워졌다...전세계를 덮친 산불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높이는 주요한 원인이라 주장한다. 지난해 12월 마리아 주브코바 미국 메릴랜드대 지리과학과 연구원은 ‘글로벌 생물학 변화’의 편집장에게 보내는 편지를 통해 “일부 지역에서 경작지 면적에 대해 잘못된 통계 수치를 제시해 기후변화가 산불에 미치는 영향을 과소평가했다”라고 말했다. doi: 1 ... ...
- [인터뷰] “코로나19는 결국 풍토병이 될 확률이 높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전인 2020년 초,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주최한 토론회에서 정용석 경희대 생물학과 교수는 일찍이 엔데믹을 예견했습니다. 전 세계가 방역 정책을 완화하며 엔데믹으로의 전환을 꾀하는 지금, 다시 그의 입장을 들어봤습니다. Q. 코로나19는 엔데믹을 맞이할 수 있을까요?엔데믹(풍토병)은 ... ...
- 겁쟁이, 꼬맹이, 또는 변덕쟁이... 암흑물질을 낚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고안됐다. 그런데 1979년, 김진의 현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당시 펜실베이니아대 물리학과 연구원)가 만약 액시온이 우주 초기부터 존재했다면 액시온은 질량이 아주 작고 암흑물질에 적당할 것이라는 이론을 제기했다. 4년이 지난 1983년, 액시온이 오늘날 우주의 형태를 만들어준 암흑물질의 후보로 ... ...
- [이달의 책] 다이얼로그 물리학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바뀔 수 있음을 말한다. 이 아름다움을 전하기 위해 저자인 이공주복 이화여대 물리학과 교수는 수학을 덜어내고, 논리 전개 과정을 쉽게 풀었다. 그 덕에 물리학 초심자들은 ‘내용을 알아들었다고 착각’하는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정말로 물리학을 습득하려면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