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양소
d라이브러리
"
영양물질
"(으)로 총 1,008건 검색되었습니다.
그 곳에 생명이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오랜 여행 끝에 마침내 이주선단이 외계행성에 도착했다. 각각의 선단은 목적지 행성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할 예정이다.그런데 이 외계행성에 다른 생명이 존재하지는 않을까. 만약 그렇다면 지구와 다른 환경에서 진화한 생명체는 어떻게 생겼고, 어떻게 살아갈까. 과연 인류는 그들과 공존할 수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먹기 위해 사는 게 아니라 살기 위해 먹는다’는 말도 있지만 모든 사람이 그렇게 고상한 존재는 아니다. 얼마 전 제대한 가수 토니 안이 한 TV 프로그램에 나와 입대하기 전 수년 동안 항우울제를 복용했다고 고백해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이때 그는 뭘 먹어도 맛있는 줄 몰랐고 그저 배를 채우기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길고 험난한 여정을 거쳐 이주할 행성에 도착했다고 해서 어려움이 끝난 것은 아니다. 아무리 지구와 닮은행성을 찾았다고 해도 사람이 그대로 정착해 살 수 있을 확률은 0에 가깝다. 사람이 살 수 있으려면 대기 성분과 기온, 생태계를 지구와 비슷하게 만들어야 한다. 한번 만들어진 환경이 지속가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배추 값이 금(金) 값'이라며 호들갑을 피우던 게 불과 10월 초순이다. 여름철 이상기후로 채소 값이 폭등했기 때문이다. 시장이나 할인마트에선 “올 겨울엔 김장도 못 담그게 생겼다”며 혀를 끌끌 차는 주부들을 어렵잖게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수백 년간 이어져 온 우리 김치재료 시장이 그리 호 ... ...
살 빼면 건강 해친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오랫동안 살을 빼면 찌는 것보다 오히려 더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경북대 의대 예방의학 교실의 이덕희 교수팀은 장기간 저체중 상태에 놓여 있던 사람의 혈액 속에 환경호르몬의 일종인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이 많이 들어 있는 것을 발견해 ‘국제비만저널’ 9월 7일자에 발표 ... ...
1992년 사무엘 웨이스 박사의 성체 신경세포 생성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어른의 뇌에서는 신경세포(뉴런)가 죽어갈 뿐 새로 만들어지지는 않는다.〃지금까지도 상당수 사람들이 믿고 있는 이 도그마는 19세기 신경해부학자들의 관찰 결과를 토대로 한다. 뇌에서 기억이 ‘온전하게’ 보존되려면 신경세포와 그 연결망인 시냅스가 안정돼야 한다는 생각과 맞물려 이런 ... ...
[생물] 생물다양성과 우리 삶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생물다양성협약생물다양성협약은 1992년 리우의 지구정상회담에서 150개국 정부가 서명한 협약이다. 생물다양성협약은 생물다양성이 생태계에 관한 것 이상으로 인류의 생존과 건강한 환경에 대한 것임을 인식한 회의다.생물다양성이란 지구상의 생물종의 다양성, 생물이 서식하는 생태계의 다양 ... ...
쫄깃쫄깃 타피오카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과거 우동과 라면은 젓가락으로 집으면 뚝 끊어지거나 씹는 맛이 푸석푸석했다. 요즘은 상황이 달라졌다. 젓가락에서 미끄러질 만큼 탱탱함을 자랑한다. 부드럽고 텁텁했던 도넛은 찹쌀떡처럼 쫄깃쫄깃한 구슬 8개가 이어진 팔찌로 태어났다. 지름이 1.5cm나 되는 두꺼운 빨대로 음료(버블 티)와 함 ... ...
[cool tech] 내 방 안의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강이나 바다로 여행을 떠나고 싶은 마음이 솟구치는 계절이다. 내친 김에 시원한 물속 깊숙이 잠수하면 어떤 광경이 펼쳐질까. 물결을 따라 하늘거리는 수초와 그 사이를 유유히 헤엄치는 오색의 물고기 무리. 그 위로 일렁이는 표면을 뚫고 내려온 햇빛이 살포시 내려앉는데…. 상상만 해도 아름답 ... ...
합성세포, 인공생명체 시대 열었나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지난 5월 20일 미국 크레이그벤터연구소(JCVI)의 연구자들은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합성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는 논문을 발표해 인공생명체를 창조했다는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다. ‘JCVI-syn1.0’으로 명명된 합성세포는 어떤 과정을 거쳐 만들어졌고 이 기술이 생명과학 분야에 주는 의미는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